|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7(12); 201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4;57(12): 847-849.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4.57.12.847
Trichofolliculoma in External Auditory Canal.
Ju Young Hong, Ho Joong Kim, Sun A Choi, Seung Geun Yeo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yeo2park@gmail.com
외이도에 발생한 피지모낭종(Trichofolliculoma) 1예
홍주영 · 김호중 · 최선아 · 여승근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ABSTRACT
Trichofolliculoma is an uncommon follicular hamartoma of hair follicle tissue, typically occurring on the face and skin of the head and neck and appearing as papules or nodules. Dents in the central portion and immature white hair may be observed. Asymptomatically, trichofolliculoma occurs at any age but rather frequently in adults in many cases. A 47-year-old man presented a right ear canal mass, which had not been treated for 12 years. The tumor began to increase its size 4 years ago. A little red bump blocked the entrance of the right external auditory canal and there was a little dinge at the center of bump with growing black hair. This case was first reported in our country. Thus, we report this rare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eywords: External auditory canalTrichofolliculoma

Address for correspondence : Seung Geun Yeo,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892 Dongnam-ro, Gangdong-gu, Seoul 134-727, Korea
Tel : +82-2-958-8474, Fax : +82-2-958-8470, E-mail : yeo2park@gmail.com


모낭종은 모낭에서 기원하여 분화하는 양성 과오종성 종양으로 대부분 단발성으로 주로 얼굴 및 두경부에 발생하며 피부색의 구진 또는 결절로 나타난다. 중앙 부위에 함몰이 있으며 백색의 미성숙모가 관찰되기도 한다.1,2) 전신질환이나 다른 피부 질환이 병행되거나 선행되지 않으며 대부분 자각 증세는 없으며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어느 연령층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성인층에서 호발한다.
저자들은 현재까지 임상적으로도 드문 위치인 외이도내에 발생한 모낭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7세 남자 환자로 약 12년 전 우측 외이도에 종괴가 발생하였으나 크기 변화 및 통증이 없어서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내던 중, 4년 전부터 서서히 크기가 증가되어 2013년 7월 18일 내원하였다. 종괴는 육안 소견상 우측 외이도 입구를 막고 있었으며 1×1.5×1 cm 크기로 피부색보다는 약간 붉은 융기된 형태로 중앙에 함몰부위가 있고 검은색 모가 관찰되었으며 통증이나 청력감소 등의 다른 증상의 호소는 없었다(Fig. 1). 환자는 과거력으로 3세경 척추 손상을 입어 단신(150 cm)으로 척추 변형이 있었고 12년 전 우측 안면부를 관통하는 총상으로 안면, 경부 수술의 경험이 있었다. 종괴가 외이도를 거의 막고 있었으며 내원 당일 시행한 순음청력 검사 및 임피던스 검사에서 6분법에 의거 우측은 23 dB, 좌측은 21 dB, 양측 A형으로 정상 소견을 보였다. 시행한 측두골 컴퓨터단층촬영 결과 과거 유양동 삭개술을 시행 받아 유양돌기 함기세포는 감소되어 있고, 우측 측두골의 경화가 보이며, 이소골은 정상적으로 유지되어 있었고, 중이와 S상정맥동 및 경막에는 특이적 소견이 보이지 않았다(Fig. 2). 2013년 8월 21일 국소 마취하 절제 생검을 시행하여 종괴를 완전 적출 하였으며 크기는 1.5×1.0×1.0 cm였고 병리조직검사에서 중앙에 편평상피로 둘러싸인 확장된 일차 모낭이 표피와 연결되어 있으며 안에 각질로 차있고 일차 모낭으로부터 방사상 모양으로 뻗어나간 잘 분화된 이차 모낭이 관찰되어 모낭종으로 확진되었다(Fig. 3). 환자는 수술 7일 후 제거 부위 합병증이나 재발 소견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모낭종은 단발성으로 발생하는 보기 드문 양성 과오종성 종양으로 1924년 Fessler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 된 후 1944년 Miescher가 모낭종(trichofolliculoma)이라는 명칭을 처음으로 사용하였다.1,2,3)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고 외국보고는 총 8예, 국내는 2예 확인되었다. 국내 2예에서 비전정 1예, 안검주위에 1예 보고되었지만, 귀에 발생한 예는 처음이었다.
대부분 성인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모낭종이 고도로 구조화된 종양이기 때문에 어린 연령층에서 찾아보기 힘들다고 해석할 수 있다.
모낭종의 발생 부위에 대해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을 종합해보면, 해외에서는 대부분 코에 발생하였으나, 국내에서는 견갑부와 비전정 2예 발생하였다.2) 그러나 병변은 두경부 피부, 구강내 등 어느 곳에도 발생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개는 단발성으로 남녀비는 남자가 84%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 형태는 직경 0.5~1 cm의 반구형의 단일 결절로 주로 안면, 두피에 잘 발생하며 전형적인 병변의 특징으로 중앙에 분화구 모양의 함몰된 부분(umbilication)이 있고 대개는 feather hair 또는 wisp of wool이라고 불리는 백색의 양털 같은 미성숙모 다발이 존재한다.4,5) 그러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리조직학적 소견이 반드시 필요하며, 대개 하나 또는 수개의 불규칙한 낭포성 공간이 있는데, 이를 일차 모낭이라 하며, 그 주위에 가지 모양으로 퍼져있는 중층편평 상피로 구성되고, 방사상으로 뻗은 작은 이차 모낭으로 구성된다. 일차 모낭의 중심부에 위치한 낭종성 공간은 피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차 모낭은 보통 모발을 포함한 모낭의 전층을 보이며 피지선 세포의 작은 군집을 이차 모낭의 벽에서 볼 수 있다.6,7)
임상적 감별질환으로는 결절의 중앙 함몰부위가 관찰되는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피지샘증식증(sebaceous hyperplasia), 유피낭종(dermoid cyst), 정중 코 유피낭 샛길(median nasal dermoid fistula), 모낭피지샘 낭성 과오종(folliculosebaceous cystic harmatoma) 등이 있다.8) 결절이나 종괴의 형태를 세심하게 관찰하지 않으면 임상적으로 특징적인 차이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진단 내리기가 쉽지 않아 병리조직학적 소견으로만 확진된다.5,9)
일반적인 치료는 단순 외과적 절제술이 권고되고 있으며, 재발 및 악성화로 이행되는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다. 그러나 악성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병변 제거 후에는 조직검사 결과를 확인하여야 하고, 침습이 확인된 경우는 광범위 절제나 방사선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10)
본 증례에서는 동일 부분의 외상과 수술 이후 발생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모낭종보다 크기가 큰 상태이고 함몰부위에 백색 미성숙모가 아닌 검은색을 띠는 모발들이 관찰되었고, 10년 이상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모낭종의 형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부분 모낭종의 경우는 미용적인 이유로 치료를 하지만, 본 증례의 환자는 외이도를 막고 있는 종괴 제거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이 필요하였고, 외이도에 발생한 모낭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Kim CW, Kim KJ, Lee ES. Trichofolliculoma. Korean J Dermatol 1986;24(4):544-6.

  2. Kim KM, Ko JK, Lee A, Kang CS, Kim BK, Kang SJ. Trichofolliculoma in Korean patients: a report of six cases. Korean J Pathol 2000;34(11):957-60.

  3. Miescher G. Trichofolliculoma. Dermatologica 1944;89:193-4.

  4. Steffen C, Leaming DV. Trichofolliculoma of the upper eyelid. Cutis 1982;30(3):343-5.

  5. O'Mahony JJ. Trichofolliculoma of the external auditory meatus. Report of a case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81;95(6):623-5.

  6. Klein W, Chan E, Seykora JT. Tumors of the epidermal appendages. In: Elder DE, Elenitsas R, Johnson Jr BL, Murphy GF, editors. Lever's histopathology of the skin. 9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5. p.871.

  7. Mckee PH, Calonje E, Granter SR. Pathology of the skin with clinical correlations. 3rd ed. London, England: Elsevier Mosby;2005. p.1542-6.

  8. Seong SY, Kim BG, Lee HR, Hong HJ. A case of sebaceous trichofolliculoma on the right cheek.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1;54(9):650-3.

  9. Gray HR, Helwig EB. Epithelioma adenoides cysticum and solitary trichoepithelioma. Arch Dermatol 1963;87:102-14.

  10. Stern JB, Stout DA. Trichofolliculoma showing perineural invasion. Trichofolliculocarcinoma? Arch Dermatol 1979;115(8):1003-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