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57(5); 201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14;57(5): 304-313.
doi: https://doi.org/10.3342/kjorl-hns.2014.57.5.304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Hearing Aids U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MarkeTrak Survey.
Young Soo Chang, Jeesun Choi, Ga Young Park, Hye Youn Youm, Ha Young Byun, Yang Sun Cho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yscho@skku.edu
2Soree Ear Clinic, Seoul, Korea.
3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n Armed Forces Capital Hospital, Seongnam, Korea.
보청기 착용 환자에서 MarkeTrak 기반 설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한 만족도 조사
장영수1 · 최지선2 · 박가영1 · 염혜연3 · 변하영1 · 조양선1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소리이비인후과2;국군수도병원 이비인후과3;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MarkeTrak survey is a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for hearing aid users. This investigation evaluated the level of subjective satisfaction in hearing aid users by adopting the MarkeTrak survey method.
SUBJECTS AND METHOD:
Ninety-seven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replied to the Korean version of 8th MarkeTrak survey. The satisfaction score regarding hearing aids used a 7-point scale to analyze the patient-related as well as hearing aids-related factors.
RESULTS:
Overall satisfaction rate was 60.8%. Among the patient-related factors, wome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rate (p<0.05) than men but the level of education affected the satisfaction rate (p<0.05). Hearing aids us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rate in small group communication than in other circumstances (p<0.05). The factors related to the hearing aids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rating.
CONCLUSION:
MarkeTrak survey is a useful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satisfaction about not only hearing factors but also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hearing-aids related factors.
Keywords: Consumer satisfactionHearing aidMarkeTrak

Address for correspondence : Yang-Sun Cho, MD, PhD,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81 Irwon-ro, Gangnam-gu, Seoul 135-710, Korea
Tel : +82-2-3410-3578, Fax : +82-2-3410-3879, E-mail : yscho@skku.edu


보청기는 감각신경성 난청의 대부분과 일부 전음성 난청을 가진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재활방법 중의 하나로, 난청을 극복하고 일상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보청기의 성공적인 사용에는 청력검사에 의한 청각학적 이득뿐만 아니라 보청기 착용시의 편리함, 음이나 소리의 명확도, 큰 소리를 들을 때의 편안함 등 다양한 인자들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1)
객관적인 청각학적 검사법들이 보청기 사용의 만족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평가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고 있으며, 다양한 평가 문항들이 개발되어 보청기 성공적인 처방 및 이용을 평가하는 방법이 되고 있다.2,3,4,5)
국내에서 Lee 등6)은 Satisfaction with Amplification in Daily Life(SADL)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를 시행하였고, Yun 등7)은 Abbreviated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APHAB)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 후 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를 시행한 바 있고, Chu 등8)은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IOI-HA)의 한국어판 표준화를 통하여 신뢰를 가지고 사용할 수 있는 한국어 설문지를 제시한 바 있다.
국내의 선행 연구에서는 환자의 청각학적 인자를 중심으로 보청기 사용자의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나 보청기 만족도에는 청각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요인, 보청기의 다양한 특성 및 보청기 사용환경이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좀 더 다양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청기 사용자의 인구사회학적 면과 사용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미국에서는 MarkeTrak survey라는 대규모 설문조사가 진행되고 있다.9) 1989년에 1차를 시작으로 2008년에 8차가 진행되었으며 8차 조사에서는 3174명의 보청기 사용자 및 사용 대상자에게 우편을 이용하여 7페이지 분량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참여자들에게 환자의 제반 사회 경제적 여건 및 청력관련사항, 보청기 관련 사항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환경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제8차 MarkeTrak survey를 기반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보청기 사용 환자의 만족도와 관련된 청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보청기에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군
2011년 1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대학병원 난청클리닉을 방문한 20세 이상의 환자 중 3개월 이상 보청기를 사용한 총 97명의 환자들이 참여하였다. 연령분포는 22~86세로 평균 60.3세였고, 남성이 39명, 여성이 58명이었다.

설문조사
설문조사는 제8차 MarkeTrak survey9)를 한글로 번역한 내용을 기반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우선 의료진이 응답자의 최근 청력검사 결과, 보청기의 종류, 제조회사 등 보청기 관련 제반 사항을 직접 기입하였다. 다음으로는 보청기 사용자의 일반적인 사항에 대한 질문항목으로 학력, 음주력, 흡연력, 청각과 관련하여 소음노출 또는 난청의 가족력, 고혈압 및 당뇨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마지막으로 제8차 MarkeTrak survey를 번역하여 제작한 총 43문항(Appendix)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평가 항목
MarkeTrak survey는 환자의 보청기 착용 상태에 대한 기본항목(보청기 사용기간, 가격, 구입 횟수 등), 보청기 구매 장소, 구매 상황에서의 세부 만족도, 수리 경험 여부, 보청기 음량 조절 방식, 추천의향 및 다양한 상황 속에서의 보청기 사용의 만족도 등을 포괄하는 설문조사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보청기 만족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보청기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설문항목을 통하여 7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이 중 매우 만족/만족/대체로 만족한 환자를 보청기 만족군으로, 보통/대체로 불만족/불만족/매우 불만족 환자를 비만족군으로 구분하였다.
환자와 관련된 인자로는 성별, 나이, 난청의 정도, 어음명료도치, 학력, 고혈압, 당뇨, 소음 노출력, 흡연력, 두부 외상력, 난청 가족력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난청의 정도는 500, 1 k, 2 k Hz의 3분법을 이용하여 각각 경도(25~40 dB), 중등도(41~55 dB), 중등고도(56~70 dB), 고도(71~90 dB), 심도(>91 dB)로 구분하였다.
보청기와 관련된 인자로는 보청기 모양별로 개방형, 개방형을 제외한 귀걸이형, 외이형과 외이도형, 귓속형으로 분류하였고, 이외에도 방향성 송화기 탑재 여부, 보청기 구입시의 경제적 지원 유무, 보청기 수리 경험 및 보청기 사용환경 등에 따른 보청기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보청기의 구입 장소에 따른 만족도 평가를 위하여 구입 장소를 병원과 병원 외 장소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이외에도 보청기의 종류에 따른 수리 경험과 만족도에 따른 추천 의향 등을 분석하였다.

통계 방법
각 요인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여러 항목의 설문 문항의 연관성을 분석할 때에는 multiple chi-square를 사용하였으며 2×N 테이블의 분석은 비모수적 방법인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수준은 p value<0.05로 정하였고 통계프로그램으로는 SPSS 19.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였다.



전체 환자군에서 만족도
7점 척도로 평가한 보청기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매우 만족 3.1%, 만족 29.9%, 대체로 만족 27.8%를 나타냈으며 이 세 군을 더해서 만족군은 총 60.8%였다(Fig. 1).

환자 요인과 만족도
총 97명의 환자 중 남자는 39명, 여자는 58명이었고, 이 중 만족군은 남자 18명, 여자 41명으로 여자 환자에서 유의하게 만족군의 비율이 높았다(p=0.02, chi-square test)(Table 1).
연령을 30대 이하, 40대, 50대, 60대, 70대 이상으로 구분하여 연령의 차이를 분석해 보았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78, Fisher's exact test).
난청의 정도를 경도, 중등도, 중등고도, 고도, 심도의 5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할 때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1, Fisher's exact test) 어음명료도에 대한 분석에서는 만족군에서 65.1±34.5%, 비만족군에서 62.3±30.1%로 독립표본 t 검정을 통한 평균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73, independent t test).
중졸 이하, 고졸, 대졸 이상으로 학력을 구분하여 비교하였을 때 각 군의 만족군의 숫자는 36명 중 23명(63.9%), 29명 중 23명(79.3%), 32명 중 13명(40.6%)으로 세 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chi-square test를 이용한 군 간 비교를 시행하였을 때 고졸 학력군에서 대졸 학력군보다 만족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2).
그 외에 고혈압(p=0.70), 당뇨(p=0.72), 소음 노출력(p=0.25), 흡연력(p=0.06), 두부 외상력(p=0.58), 난청가족력(p=0.61)에 따른 만족도를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보청기 요인과 만족도
디지털 보청기는 총 104대 중 102대였으며, 방향성 송화기 탑재 보청기 사용자는 총 30명이었다. 방향성 송화기 탑재 보청기 사용자 중 만족군은 19명, 비탑재 보청기 사용자 중 만족군은 40명으로 탑재 여부에 따른 만족군의 비율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74, chi-square test).
보청기의 종류는 귓속형, 외이 및 외이도형, 귀걸이형, 개방형의 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p=0.82, chi-square test).
보청기 고장으로 인한 수리 경험은 전체 환자의 57.7%에서 있었으며 장애인 및 기초생활수급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받은 환자는 전체의 20.6%였으나 수리 경험 여부(p=0.22, chi-square test)와 보청기 구입시 경제적 지원 여부(p=0.67, chi-square test)는 각 군별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보청기 사용 환경에 따른 만족도
15가지의 보청기 사용 환경에 따라 7점 척도로 만족도를 평가하고(Table 2) 각 환경에서의 만족군과 비만족군을 교차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을 때(Table 3), 한 명과의 대화 또는 소규모의 사람들과의 대화시에 만족군의 비율이 대부분의 다른 환경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구매장소에 따른 세부 만족도
구매 상황에서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부 항목으로 보청기에 대한 전문성 및 지식, 사용법 및 성능에 대한 설명, 서비스 질, 안내 서비스 및 구매 이후 서비스에 대하여 7점 척도를 이용하여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병원에서 구입한 환자는 65명,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구입한 환자는 32명으로 병원에서 구입시 전문성(p=0.01, chi-square test), 보청기에 대한 지식 수준(p=0.04, chi-square test), 성능 설명(p=0.03, chi-square test) 항목에서 병원 이외의 장소보다 만족 환자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able 4).
구매시 보청기 전반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 받은 시간은 병원과 병원 외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64, chi-square test) 50%에서 30분 이내로 사용 방법을 설명 받았고 보청기 맞춤 후에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방법 등에 대하여 추가적인 교육은 60%에서 15분 이내로 설명 받았다. 보청기가 잘 맞는다고 생각될 때까지 3회 이상 방문한 환자의 비율은 52.6%였으며(p=0.64, chi-square test), 보청기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것에 67.0%의 환자에서 2회 이내의 교육만으로 익숙해진다고 하였고(p=0.53, chi-square test) 이 항목들 역시 병원과 병원 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보청기 종류에 따른 수리 경험
보청기의 종류에 따른 수리 경험에서는 귓속형 60명 중 41명(68.3%), 외이 및 외이도형 14명 중 7명(50%), 귀걸이형 12명 중 5명(41.6%), 개방형 11명 중 3명(27.2%)에서 수리 경험을 갖고 있었고 귓속형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리 경험을 나타내었다(p=0.04, Fisher's exact test).

보청기 사용 후 추천의향
추천의향을 확인하였을 때 82명(79.5%)의 환자에서 주변 이웃이나 가족에게 보청기를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대답하였고, 만족군 59명 중 55명(93.2%), 비만족군 38명 중 27명(71.1%)이 각각 추천의향을 나타내 만족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추천의향을 나타냈다(p=0.01, chi-square test).



보청기 처방이나 맞춤의 적절성 평가에 있어서 자가 설문 평가법은 환자의 착용 전후의 청각학적 이득과 주관적 만족도를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청기 처방의 적절성에 대하여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설문지를 이용한 국내 연구는 환자의 청각학적 이득과 만족도를 평가하는 데 주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6,7) 청각학적 요인 이외에도 만족도에 영양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Hawes 등10)은 보청기가 눈에 잘 띄는지 여부, 편안한 착용감, 조용한 방에서의 청취, 시끄러운 방에서의 대화, 조작의 간편성, 삽입 및 제거의 간편성 등이 있음을 보고하였고, Kochkin11)은 청력의 개선, 소리의 질, 신뢰성, 다양한 환경에서의 유용성, 구입 후의 서비스 및 편안함 등이 관련 있음을 보고하였다. Kochkin은 보청기 사용 환자에서 다양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하고자 MarkeTrak survey를 고안하여 1989년 1차를 시작으로 2008년의 8차조사까지 진행하고 있다. MarkeTrak survey는 미국 인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 규모, 연령, 수입, 지역 등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대표 집단을 선정하여 우편을 이용한 설문방식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보청기 사용자 및 보청기 사용 대상자들에 대한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보청기 사용 환경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고 있다.
국내에서 Lee 등6)은 SADL 설문지를 이용하여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여 경도/중등도 난청 환자, 혼합성 난청 환자, 고막형 또는 외이도형 사용자에서 만족도가 높음을 보고하였다. Yun 등7)은 APHAB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 전후 이득을 비교하였고 중등도 난청과 편평형 순음청력패턴에서 보청기 사용 후 이득이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보청기 사용 환자의 청각학적 요인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시행된 바가 있지만, 다양한 보청기 사용 환경이나 기계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드물어서, 보청기 사용에 따른 개괄적인 만족도를 파악하기는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MarkeTrak survey의 양식을 이용하여 본원을 방문한 국내의 보청기 사용자들의 만족도와 제반 환경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MarkeTrak survey는 총 43항목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로, 본 연구자들은 이를 번역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그 내용으로 환자의 보청기 착용 상태에 대한 기본항목(보청기 사용기간, 가격, 구입 횟수 등), 보청기 구매 장소, 구매 상황에서의 세부 만족도, 수리 경험 여부, 보청기 음량 조절 방식, 추천의향 및 다양한 상황 속에서의 보청기 사용의 만족도 등을 포괄하는 설문조사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중 만족도와 관련된 임상적 의의를 갖는 항목들을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만족도는 60.8%로 미국의 2008년 MarkeTrak survey의 74%보다는 다소 낮다. 이에 대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의 보청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아직까지는 청력회복에 대한 기대가 크고 상대적으로 고가의 기기이므로 환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다소 떨어지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 비교에서는 여자사용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만족군의 비율이 높았다. 이는 Cook과 Hawkins12)가 IOI-HA를 이용한 만족도 조사에서 남성에게서 "남아있는 활동 제한(residual participation restrictions) 척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대한 분석에서는 학력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고졸 학력군에서 대졸 이상의 학력군보다 만족군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 이유로 대졸 이상의 학력군에서는 상대적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높은 기대에 비하여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중졸 학력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적 여건으로 보청기 가격에 대한 부담이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나 이러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향후 환자군의 경제적 여건을 함께 분석함으로써 확인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 외 고혈압, 당뇨, 흡연력, 소음 노출력, 두부 외상력, 난청가족력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만족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보청기 사용 환경에 대해서는 Table 2에서 제시한 15가지 환경 속에서 현재 착용중인 보청기가 얼마나 만족스러웠는지를 7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각 환경에서의 교차분석을 통하여 유의하게 만족군의 비율이 높은 환경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Table 3). 일반적으로 보청기 사용시 조용하고 소음이 적은 환경에서 큰 도움이 되고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매 상황에서의 만족도와 관련해서 환자들은 병원에서 구입시 전문성, 보청기에 대한 지식의 수준, 성능 설명 등의 항목에서 병원 이외의 장소보다 만족 환자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아 병원에서 구매할 경우 좀 더 전문적인 치료로써 받아들이고 보청기 판매에 있어서 전문성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환자군이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보청기의 종류에 따른 수리 경험에서는 귓속형을 사용하는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잦은 수리 경험을 갖고 있었고, 이는 귓속형 보청기의 작은 공간에 많은 부품과 기능을 넣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계적 오류 등이 자주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MarkeTrak survey를 기반으로 한 보청기 만족도와 제반 환경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청각학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구사회학적 요인 그리고 보청기와 관련된 요인들이 만족도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대상이 한 병원을 방문한 환자들에 국한되어 있고 연구에 참여한 보청기 사용자의 숫자가 대표성을 가지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같은 내용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다기관에서 대규모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보청기 사용에 대한 좀 더 정확하고 폭 넓은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를 정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보청기 사용 실태와 시기에 따른 만족도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난청 환자들이 보청기를 이용하여 좀 더 성공적으로 재활할 수 있는 방법과 환경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REFERENCES
  1. Hickson L, Clutterbuck S, Khan A. Factors associated with hearing aid fitting outcomes on the IOI-HA. Int J Audiol 2010;49(8):586-95.

  2. Cox RM, Alexander GC. Validation of the SADL questionnaire. Ear Hear 2001;22(2):151-60.

  3. Cox RM, Alexander GC. Measuring Satisfaction with Amplification in Daily Life: the SADL scale. Ear Hear 1999;20(4):306-20.

  4. Cox RM, Alexander GC, Gray GA. Audiometric correlates of the unaided APHAB. J Am Acad Audiol 2003;14(7):361-71.

  5. Cox RM, Alexander GC. The abbreviated profile of hearing aid benefit. Ear Hear 1995;16(2):176-86.

  6. Lee IY, Byun JY, Kim H, Chang MK, Cho JS, Cha CI. The application of the satisfaction with amplification in daily life scale in hearing aid users.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4;47(12):1217-23.

  7. Yun DH, Yoon TH, Lee KS. Subjective satisfaction in hearing aid users by APHAB.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2000;43(7):698-702.

  8. Chu H, Cho YS, Park SN, Byun JY, Shin JE, Han GC, et al. Standardization for a Korean adaptation of the international outcome inventory for hearing aids: study of validity and reliability.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12;55(1):20-5.

  9. Better Hearing Institute. Marke Trak survey. [cited 2011 October]. Available from: URL: http://www.betterhearing.org/publications/marketrak/index.cfm.

  10. Hawes NA, Durand RM, Clark SR. Understanding desired benefits of a hearing aid: a consumer behavior perspective. J Acad Rehabil Audiol 1985;18:112-22.

  11. Kochkin S. MarkeTrak III identifies key factors in determining customer satisfaction. Hear J 1993;45(8):39-44.

  12. Cook JA, Hawkins DB. Outcome measurement for patients receiving hearing aid services. Laryngoscope 2007;117(4):610-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