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10);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10): 1294-1296.
A Case of Postauricular Dermoid Cyst.
In Hwan Moon, Woo Hyun Lee, Joon Bum Joo, Ju Eun Cho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National Police Hospital, Seoul, Korea. jechoent@yahoo.co.kr
후이개 부위에 발생한 유피낭 1예
문인환 · 이우현 · 주준범 · 조주은
국립경찰병원 이비인후과
주제어: 후이개부위유피낭.
ABSTRACT
Dermoid cysts are congenital anomalies that arise from trapped pouches of the ectoderm near the normal fold or from the surface ectoderm that has failed to separate from the neural tube. Dermoid cysts of head and neck area are relatively rare, whereas those located in the postauricular area are extremely rare. In Korea, only 3 cases of postauricular dermoid cysts have been reported. In this article, we report a case of postauricular dermoid cyst in a 21 year-old man, along with a review of articles.
Keywords: External earDermoid cyst

교신저자:조주은, 138-708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58번지  국립경찰병원 이비인후과
              전화:(02) 3400-1274 · 전송:(02) 400-0287 · E-mail:jechoent@yahoo.co.kr

서     론


  
유피낭은 태생조직의 융합기동안 비정상적으로 분리된 세포에 의해 형성된 선천성 양성종양으로 낭종의 피막은 피지선, 한선, 모낭 및 모발등의 피부부속기를 포함한 중층편평상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안에 층판형 각질(laminated keratin material)을 가진 형태를 취한다.1)2) 이는 태생조직의 융합이 일어나는 부위면 인체내 모든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난소와 천골부위에 호발한다.3) 두경부영역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며, 주로 안와주변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4) 후이개 부위에 발생한 유피낭은 매우 희귀하여 전 세계적으로 총 9예가 보고되어 있으며,5) 우리나라에서는 3예가 보고된 바가 있을 정도로 매우 드물다.6)7)8)
   최근 저자들은 21세 남자환자의 좌측 후이개 부위에서 발생한 종물을 적출하고 병리조직검사상 유피낭으로 확진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21세 남자 환자가 유년기부터 촉지된 좌측 이개 후방 종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종물의 감염으로 인해 치료를 받은적이 없었으며, 특별한 증상이 없었으므로 치료하지 않고 지내왔었다. 환자의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기할 만한 사항은 없었다. 신체 검사상 약 2×1.5 cm의 경계가 분명한 유동성의 융기된 무통성의 종물이 후이개 부위의 이개구(auricular sulcus)에서 두피에 걸쳐 촉진되었으며, 종물 표면의 피부는 정상 피부소견이었으며 누공이 관찰되지는 않았다(Fig. 1). 
   경부 전산화단층촬영상 좌측 이개 후방에 경계가 뚜렷하고, 내부는 균일한 저음영을 보이는 2×1.4 cm의 종괴가 관찰되었다. 인접한 조직의 침윤이나 주변 임파절의 비대는 관찰되지 않았다(Fig. 2).
   이상의 소견으로 표피양낭으로 추정하고 국소마취하에 종물 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종물은 주변 조직이나 이개 연골막과의 유착은 없었고 쉽게 박리되어 완전히 적출할 수 있었다. 종물은 피막에 잘 싸여진 2.2×1.5×1.4 cm의 낭성 종물이었으며 내부에는 피지가 관찰되었고, 모발등의 피부부속기는 육안적으로 보이지 않았다(Fig. 3).
   조직학적인 검사상 낭종의 피막은 피지선과 모낭을 포함한 중층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낭종내부에는 층판형 각질(laminated keratin material)과 모발이 관찰되어 유피낭으로 진단하였다(Fig. 4).
   환자는 수술후 6개월이 지난 현재 특별한 합병증 및 재발없이 외래 추적관찰 중이다.

고     찰

   유피낭은 발생학적으로 태생기의 embryonic cleft의 폐쇄시 조직내에 고립된 상피에서 기원하거나, 관통상으로 인한 표피 조직의 진피내로의 이식(implantation)에 의할 것으로 추정된다.2) 유피낭은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epidermoid, dermoid 및 teratoid 세 유형으로 구분된다. Epidermoid type은 표피양낭이라고 하며 섬유피낭에 둘러싸여 피부 부속기는 관찰되지 않으며, dermoid type은 유피낭이라고 불리며 다양한 피부 부속기가 관찰된다. 제 3 유형인 teratoid type은 기형종이라고 하며 피부 부속기와 더불어 내, 외, 중배엽의 조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4)5)
   유피낭이 가장 호발하는 부위는 난소와 천골부위로서 전체 유피낭의 약 80%가 발생하며, 두경부영역에서의 발생은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3) New 등은 총 1,495예의 유피낭 중 단지 6.9%(103예)만이 두경부 영역에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다.9) Marvin 등은 두경부 영역에 발생한 유피낭 중 50%가 안와부에 발생하였으며, 이외에도 구강내가 25%, 비강내가 13% 정도의 순으로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10) 이러한 유피낭은 이개부위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어 현재까지 해외에서 9예가, 국내에서 3예가 보고되었다. 이들의 발생위치는 이개 자체에서 발생한 경우와 본 증례와 같이 후이개 부위에서 발생한 경우로 나눌 수 있었다. 이개 자체에서 발생한 경우는 이개의 상극(superior pole of auricle)에 위치했던 5예와 이개후면에 위치했던 1예가 있었고,4)11) 나머지 예들은 모두 후이개 부위에 위치한 것이었다.5)6)7)8)12)13) Ikeda 등은 일본에서 보고된 5예 모두 이개의 상극에 발생한 것에 대해 이개의 발생시기에 상부이개를 형성하게 되는 제 1 새궁의 융합과정에서 봉입(inclusion)이 일어나 유피낭이 생겼을 것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후이개 부위의 유피낭은 대부분 일측성으로 발생하나 양측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표면에 위치하여 쉽게 발견되기도 하지만, 이개연골 후방으로 후이개두구(posterior auriculocephalic sulcus)안에 깊이 위치하기도 한다. 그럴 경우 후이개 부위의 종물로 발견되지 않고 이개가 앞쪽으로 돌출되는 양상으로만 나타나 수술시야에서 비로소 낭종이 발견되었다.13)
   Samper 등의 증례에서는 유양돌기 표면의 골미란을 보이며 인상유돌열(squamous-mastoid suture)에 인접한 골막과의 유착이 있어, 골발생시 봉합부위내로 함입이후 격리되어 유피낭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음을 추론하였다.12) 본 증례에서는 유피낭이 피하조직에 위치하였고 골막이나 연골막과의 유착은 없었다.
   유피낭의 진단에는 세침흡인세포검사, 초음파검사, 전산화단층촬영 등이 도움이 되나 확진을 위해서는 적출된 낭종의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하다.8)16) 유피낭의 조직학적인 특징으로는 낭종의 피막은 중층편평상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피지선이나 한선, 모낭 등의 피부부속기를 포함하고 있고, 낭종 안에는 층판형 각질(laminated keratin material)과 함께 모발 등을 포함한다.1) 
   후이개 부위에 발생한 유피낭과 같은 낭종성 병변중 감별진단을 요하는 것으로는 표피양낭, 기형종, 피지선종, 지방종, 혈관종, 제 1 형 새열낭종 등이 있다.4)12) 표피양낭과 기형종은 유피낭과 발생학적으로 비슷하지만 표피양낭은 피부부속기가 없는 점이, 기형종에서는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성 조직이 모두 발견되는 점이 다르다. 피지선종은 대부분 두피내에 발생하는 것으로서 일부 피부부속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낭종내에 비정형성 각질(amorphous keratin material)과 함께 국소적인 석회화나 콜레스테롤 열(cholesterol cleft) 등이 관찰된다. 지방종은 지방조직을 함유한 무통성 종괴로서 쉽게 감별이 가능하며, 혈관종은 조직내에 풍부한 혈관내피세포를 지니고 있고, 제 1 형 새열낭종은 중층편평상피와 중층섬모원주상피가 혼재되어 있으며 연골 등의 중배엽성 조직이 발견된다는 점으로 감별이 가능하다.4)5)12) 
   후이개 부위의 유피낭에 의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은 적어 대개는 미용적인 이유로 적출술을 시행하게 되나, 낭종의 불완전한 적출로 인한 재발이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완전한 수술적 적출이 필요하다.11)


REFERENCES

  1. Klintworth GK, Scroggs MW. The eye and ocular adnexa. In: Sternberg SS, Antonioli DA, Carter D, Mills SE, Oberman HA, editors. Diagnostic surgical pathology.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1999. p.990-1.

  2. Smirniotopoulos JG, Chiechi MV. Teratomas, dermoids, and epidermoids of the head and neck. Radiographics 1995;15:1437-55. 

  3. Fuchshuber S, Grevers G, Issing WJ.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 - a case report.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2;259:60-2. 

  4. Bauer DJ, Diwan R, Honig BK, Yokel B. Large asymptomatic mass on the ear. Dermoid cyst of the auricle. Arch Dermatol 1994;130:913-4, 916-7.

  5. De Souza BA, Dey C, Carver N. A rare case of dermoid cyst behind the ear. Plast Reconstr Surg 2003;112:1972. 

  6. Kim SY, Sohn HS, Park SD. A case of subcutaneous dermoid cyst. Korean J Dermatol 1989;27:329-33.

  7. Kim SH, Kim JM, Lee ES. A case of dermoid cyst. Korean J Dermatol 1987;25:689-91.

  8. Yoo YS, Yoon KS, Kang JH, Lee SS. A case of retroauricular dermoid cyst. Korean J Otolaryngol-Head Neck Surg 1996;39:1504-7.

  9. New GB, Erich JB. Dermoid cysts of the head and neck. Surg Gynecol Obstet 1937;65:48-55. 

  10. Marvin PF, David MV. Dermoid cyst of the middle ear and mastoid.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37;92:594-6. 

  11. Ikeda M, Muto J, Omachi S. Dermoid cyst of the auricle: Report of two cases. Auris Nasus Larynx 1990;16:193-7. 

  12. Samper A, Ruiz de Erenchun R, Yeste L, Bazan A. Dermoid cyst on the auriculotemporal area. Plast Reconstr Surg 2000;106:947-8.

  13. Meagher PJ, Morrison WA. An unusual presentation of bilateral prominent ears. Br J Plast Surg 2001;54:366-7. 

  14. Acree T, Abreo F, Smith BR, Bagby J, Heard JS. Diagnosis of dermoid cyst of the floor of the mouth by fine-needle aspiration cytology: A case report. Diagn Cytopathol 1999;20:78-81.

  15. Armstrong P, Wastie M. Diagnostic Imaging. 3rd ed. Blackwell Science;1992. p.265, 279.

  16. Babuccu O, Isiksacan Ozen O, Hosnuter M, Kargi E, Babuccu B. The place of fine-needle aspiration in the preoperative diagnosis of the congenital sublingual teratoid cyst. Diagn Cytopathol 2003;29:33-7.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2,029
View
38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Auricular Schwannoma After Trauma  2023 March;66(3)
A Case of Nasal Desmoid Tumor  2022 December;65(12)
A Case of Pediatric Follicular Lymphoma in the Parotid Gland  2021 June;64(6)
A Case of Follicular Lymphoma of Sphenoid Sinus and Orbit  2021 January;64(1)
A Case of Dual Ectopic Thyroid  2018 March;61(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