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8(1); 2005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5;48(1): 61-64.
A Study of Susceptibility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IL-13 Exon 4 G2044A Gene Polymorphism Study in Korean.
Jae Hoon Lee, Tae Wook Choi, Jung Hun Lee, Sang Heon Choi, Min Su Kim, Jung Youl Min, Jeong Joong Kim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coolnose@wmc.wonkwang.ac.kr
2Department of Anatomy,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3Genomic Research Center for Immune Disorder, Institute of Wonkwang Medical Science, College of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ksan, Korea.
IL-13 Exon 4 G2044A 유전자 다형성을 이용한 한국인 알레르기비염환자에서의 감수성에 대한 연구
이재훈1 · 최태욱1 · 이정헌1 · 최상헌1 · 김민수2,3 · 민정열2,3 · 김정중2,3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1;해부학교실2;면역질환유전체연구센터3;
주제어: IL-13알레르기비염한국인유전자 다형성.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High total serum IgE level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seen in allergic rhinitis. IL-13 provides impetus to immunoglobulin class switching to IgE. The IL-13 promoter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has been shown to be associated with allergic diseases and abnormal IL-13 production. We tested whether a polymorphism in the coding region of IL-13 gene is associated with allergic rhinitis, blood eosinophil counts and total serum IgE levels in Korean.
SUBJECTS AND METHOD:
Blood samples for genetic analysis were obtained from 307 individuals with allergic rhinitis and from 268 healthy subjects without atopic diseases. Polymerase chain reaction-based assay for IL-13 exon 4 G2044A was used for genotyping. Serum total IgE levels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immunoassay. Eosinophil values were determined by eosinophil numbers per total cell numbers per microl.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frequencies of the genotypes of IL-13 in the controls and patients (p>0.05). The frequencies of the IL-13 exon 4 2044A allele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controls and patients (p<0.05). Blood eosinophil count and total serum IgE level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genotypes of IL-13 exon 4 G2044A in allergic rhinitis (p>0.05).
CONCLUSION: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IL-13 exon 4 G2044A polymorphism might give susceptibility to the development of allergic rhinitis in Koreans.
Keywords: IL-13Rhinitis allergicKoreanPolymorphism

교신저자:이재훈, 570-711 전북 익산시 신용동 344-2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전화:(063) 850-1310 · 전송:(063) 841-6556 · E-mail:coolnose@wmc.wonkwang.ac.kr

서     론


  
알레르기비염을 비롯한 아토피성 질환들은 IgE의 증가가 특징적인 소견이다. IgE의 증가는 유전자와 환경적인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조절된다.
   Th2 cytokine인 IL-4와 IL-13은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그리고 알레르기비염과 같은 알레르기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T 림프구의 성장과 Th2 세포로 분화, B 림프구의 생산물을 IgE로 변환시키는데 관여한다.1) 알레르기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Th2 cytokine인 IL-4와 IL-13은 IL-4 receptor α(IL-4 Rα)를 공유하고 있고 유사한 생물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2) IL-4는 B 림프구의 생산물을 IgE로 변환시키는데 필수적으로 관여하며 또한 호산구의 화학주성과 접착성을 촉진한다.2) IL-13은 IgE 생산과 유지에 중요한 매개체로 작용한다.1) 그러므로 IL-4와 IL-13은 기초 IgE 수준을 올릴 수 있다. 최근 사람의 IL-4와 IL-13에 대한 이식 유전자의(transgenic) 마우스에 대한 동물 실험에서 IL-4와 IL-13 유전자의 전사의 증가는 IgE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3)
   IL-13 유전자는 염색체 5q31-q33에 위치하고 있고, 기관지 과민성, 천식 그리고 총 혈청 IgE 수준과 감수성 유전자로 보고되었다.4) 최근 IL-13유전자의 coding region의 +2044 nucleotide에서 guanosine(G)이 adenosine(A)로의 치환으로 인해 arginine이 glutamine으로 아미노산의 변화를 야기하는 유전자 다형성이 보고되었다.5) 이러한 유전자 다형성은 종족 간이나 종족 내에서 유전자와 유전자사이 혹은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전체적인 표현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알레르기비염과 IL-13유전자의 coding region에서의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 알레르기비염에서의 IL-13유전자의 coding region에서의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라 호산구 수 및 총 혈청 IgE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실험군은 2002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알레르기비염의 증상으로 원광대학병원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피부반응검사에서 알레르기비염으로 확진된 30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조군은 건강 검진을 위해 본 병원을 방문한 26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증상들과 피부 단자 검사에 음성을 보인 경우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대조군에서 27.3±11.2세, 실험군에서 26.1±10.3세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으며, 남녀성비는 대조군은 남:여=140:128, 실험군은 남:여=164:143으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방  법
   IL-13 유전자형 분석은 Miller 등6)의 방법으로 말초 혈액에서 분리된 유핵 세포로 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고자 말초 혈액내 유핵 세포를 3% dextran이 들어있는 생리 식염수로 분리하였다. 남아 있는 적혈구는 0.2% 저장식염수를 이용하여 용혈시켜 제거하고 얻어진 백혈구를 10% sodium dodecyl sulfate(SDS)로 처리한 후 phenol, chloroform 및 isopropanol을 이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PCR 방법으로 IL-13 유전자형을 확인하였다. 백혈구로부터 추출된 genomic DNA를 template로 하였으며 PCR primer(Bioneer, Daejon, Korea)는 Forward primer;5'-CTT CCG TGA GGA CTG AAT GAG ACG GTC-3'와 Reverse primer:5'-GCA AAT AAT GAT GCT TTC GAA GTT TCA GTG GA-3'을 주문제작하여 사용하였다. PCR 반응 혼합물은 genomic DNA 100 ng, primer 각각 0.5 μM씩, dNTP 혼합체 40 μM, MgCl2 2.5 mM, Tris-Hcl 10 mM(pH 8.0), Taq polymerase(TaKaRa, Otsu, Japan) 1.0 unit를 섞어 총 용량이 20 μl로 하였다. PCR 반응은 초기 denaturation 95℃ 10분 반응 후 94℃ 30초, 62℃ 30초, 72℃ 30초를 35회 반복한 후 마지막 75℃에서 5분간 extention 하여 증폭시켰다(MJ Research, Waltham, Massachusetts, USA). 증폭된 PCR 산물은 NlaⅣ(New England Biolab Inc., Beverly, MA, USA) 제한효소로 처리하고 3.5% agarose gel 에서 전기영동시켜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제한 절편 양상을 확인하고 최종 유전자형을 확인하였다.
   말초 혈액 호산구 수는 μl 당 전체 세포수 중 호산구 수로 측정되었으며, 정상 수치 범위는 40
~500/μl이었다. 혈청 IgE 수치는 electrochemiluminescence immunoassay (E170, Roche Diagnostics GmbH, Mannheim, Germany)에 의해 측정되었으며 정상 수치 범위는 0~100 IU/ml 이었다.

통계처리
  
환자군과 대조군의 IL-13 유전자 다형성 분포 차이에 대한 평가는 χ2를 사용하였다. 환자군에서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혈액내 호산구와 총 Ig E 수치는 ANOVA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통계 처리는 SPSS program version 10(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였다.

결     과

IL-13 exon 4 G2044A 유전자 다형성 유형
   IL-13의 유전자 다형성은 3가지 유형(A/A, G/A, G/G)을 보였다. 동형의 야생(homozygous wild)형인 G/G의 236 bp DNA은 NlaIV제한효소에 의해 178, 32와 26 bp 분절로 나눠지고, 이형(heterozygote)형인 G/A의 DNA는 210, 178, 32 그리고 26 bp의 분절을 보였다(Fig. 1).

IL-13 exon 4 G2044A 유전자 다형성 유형 분포
  
환자군에서 IL-13 유전자형은 G/G형이 35.5%, G/A형이 53.4%, A/A형이 11.1%였고, 대조군에서는 G/G형이 44.4%, G/A형이 47.4%, A/A형이 8.2%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두 군의 G/A 대립인자의 비교에서 환자군은 A 대립인자가 37.8%로 대조군의 31.9%에 비해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며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1).

환자군에서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호산구 수와 총 IgE 수치의 비교
  
환자군에서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평균 호산구 수는 G/G형이 397, G/A형이 381 그리고 A/A형이 500으로 A/ A형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환자군에서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평균 총 IgE수치는 G/G형이 730.9, G/A형이 559.4 그리고 A/A형이 588로 G/G형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2).

고     찰

   IL-4와 IL-13유전자는 염색체 5q31에 존재하고 있다.7) IL-4는 T helper(Th) 세포의 Th2 표현형으로의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13은 IgE를 생성하기 위해 B세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1) IL-4는 B와 T 세포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IL-13의 T 세포에 대한 작용은 아직까지 밝혀져 있지 않다.8)
   IL-4와 IL-13은 IL-4R과 IL-13R을 통해 각각 활성화된다. IL-4R은 IL-4Rα chain과 γc chain으로 구성되어 있고 IL-13은 IL-4Rα과 IL-13Rα1으로 구성되어 있다.9) 그러므로 이 두가지 cytokine들의 수용체는 IL-4Rα chain을 서로 공유하며 STAT6(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6)의 활성을 촉진한다. IL-4Rα chain은 IL-4와 IL-13의 결합과 신호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9) IL-4Rα chain은 JAK(Janus kinase)1과 관련하고 γc chain은 JAK3과 관련하며 IL-13Rα1은 TYK2와 관련한다. IL-4Rα chain과 STAT6의 결합은 STAT6의 활성화를 야기한다. STAT6의 결핍 마우스는 IgE 합성과 Th2 형 반응을 야기하지 못한다. 이러한 결과는 STAT6가 IL-4와 IL-13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분자임을 알 수 있다. STAT6유전자는 염색체 12q13-14에 존재하고 23 exon들로 구성되어 있다.10)
   IL-4와 IL-13는 유사한 생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L-13은 독특한 특징을 가진다. IL-4 결핍 마우스와 다르게 IL-13 결핍 마우스는 기생충을 제거하지 못하고, 천식에서의 점액 과분비를 담당하는 배상세포가 형성되지 못한다.11) 또한, IL-13은 IL-4에는 비의존적이면서, IL-4Rα에 의존적인 천식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IL-13은 IL-4Rα을 통하여 천식의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8) 최근, IL-13의 두가지 변이가 천식과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는데 한가지는 IL-13의 생성과 관련된 promoter에서, 또 다른 한가지는 리간드-수용체 결합을 변화시켜 IL-13 신호를 상향조절한다.12)
   최근 알레르기 질환들에 대한 IL-13 exon 4의 G2044A 유전자 다형성에 대해 많이 보고 되어 왔다.13)14)15)16)17)18)19)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영국인, 미국인과 독일인의 천식환자들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 되었으며, 코스타리카의 천식환자들에서는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되었다.13)14)15)16) 동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중국인 천식과 알레르기비염환자들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보고되었고, 일본인의 천식 및 아토피성 피부염환자들에서도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13)17)18)19)
  
본 연구에 따르면 한국인 정상대조군과 알레르기 비염환자군의 2044A의 대립인자가 각각 31.9%와 37.8%의 빈도를 보였으며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IL-13 exon 4 G2044A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알레르기 비염과의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준다. 다른 연구들을 통해 이미 보고 된 정상군의 2044A의 대립인자 빈도를 보면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 각각 21%와 24%, 동양인의 경우 본 연구는 31.9%, 일본인은 29.4% 그리고 중국인은 24.7%로 서양인에서 동양인에 비해 약간 낮은 빈도를 보였다.1)15)17)19) 한국인 알레르기 비염환자의 2044A의 대립인자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반면,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총 IgE 수치 및 호산구 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본인 아토피성 피부염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유사하였고, 아토피성 피부염환자의 피부병변과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이용한 IL-13의 생성과 IL-13 mRNA 발현에서 총 IgE 수치와 비례하지는 않는다고 보고되었다.19)
   본 연구에서 유전자 다형성 유형에 따른 총 IgE 수치의 비교에서 A/A형의 표본수가 6개로 G/G형 혹은 G/A형보다 적었으나 향후 더 많은 알레르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통해 통계학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L-13 유전자가 있는 염색체 5q31-q33의 위치에서의 다른 유전자 다형성들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알레르기비염의 발생 및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 밝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IL-13 exon 4 G2044A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 알레르기 비염의 발생에 있어 유전적 감수성 결정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Howard TD, Whittaker PA, Zaiman AL, Koppelman GH, Xu J, Hanley MT, et al. Identification and association of polymorphisms in the Interleukin-13 gene with asthma and atopy in a Dutch population. Am J Respir Cell Mol Biol 2001;25:377-84.

  2. Hershey GK, FriedrichM FL, Esswein A, Thomas ML, Chatila TA. The association of atopy with a gain-of-function mutation in the a subunit of the interleukin-4 receptor. N Engl J Med 1997;337:1720-5.

  3. Symula DJ, Frazer KA, Ueda Y, Denefle P, Stevens ME, Wang ZE, et al. Functional screening of an asthma QTL in YAC transgenic mice. Nat Genet 1999;23:241-4.

  4. Noguchi E, Shibasaki M, Arinami T, Takeda K, Maki T, Miyamoto T, et al. Evidence for linkage between asthma/atopy in childhood and chromosome 5q31-q33 in a Japanese popul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6:1390-3.

  5. DeMeo DL, lange C, Silverman EK, Senter JM, Drazen JM, Barth MJ, et al. Univariate and multivariate family-based association analysis of the IL-13 Arg130Gln polymorphism in the childhood asthma management program. Genet Epidemiol 2002;23:335-48.

  6. Miller SA, Dykes DD, Polesky HF. A simple salting out procedure for extracting DNA from human nucleated cells. Nucleic Acids Res 1988;16:1215.

  7. Ober C, Cox N, Abney M, Dirienzo A, Lander ES, Changyaleket B, et al. Genome-wide search for asthma susceptibility loci in a founder population. Hum Mol Genet 1998;7:1393-8.

  8. Wills-Karp M, Luyimbazi J, Xu X, Schofield B, Neben TY, Karp CL, et al. Interleukin-13: Central mediator of allergic asthma. Science 1998;282:2258-61.

  9. Izuhara K, Shirakawa T. Signal transduction via the interleukin-4 receptor and its correlation with atopy. Int J Mo Med 1999;3:3-10.

  10. Shirakawa T, Deichmann KA, Izuhara K, Mao XQ, Adra CN, Hopkin JM. Atopy and asthma: Genetic variants of IL-4 and IL-13 signalling. Immunol Today 2000;21:60-4.

  11. McKenzie GJ, Bancroft A, Grencis RK, Mckenazie AN. A distinct role for interleukin-13 in Th2-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Curr Biol 1998;8:339-42.

  12. van der Pouw Kraan TC, van Veen A, Boeije LC, van Tuyl SA, de Groot ER, Stapel SO, et al. An IL-13 promoter polymorphism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allergic asthma. Genes Immun 1999;1: 61-5.

  13. Heinzmann A, Mao XQ, Akaiwa M, Kreomer RT, Gao PS, Ohishima K, et al. Genetic variants of IL-13 signalling and human asthma and atopy. Hum Mol Genet 2000;9:549-59.

  14. Liu X, Nickel R, Beyer K, Wahn U, Ehrlich E, Freidhoff LR, et al. An IL-13 coding region variant is associated with a high total serum IgE level and atopic dermatitis in the German multicenter atopy Study (MAS-90).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6:167-70.

  15. Graves PE, Kabesch M, Halonen M, Holberg CJ, Baldini M, Fritzsch C, et al. A cluster of seven tightly linked polymorphisms in the IL-13 gene is associated with total serum IgE levels in three populations of white children. J Allergy Clin Immunol 2000;105:506-13.

  16. Celedon JC, Soto-Quiros ME, Palmer LJ, Senter J, Mosley J, Silverman EK, et al. Lack of association between a polymorphism in the interleukin-13 gene and total serum immunoglobulin E level among nuclear families in Costa Rica. Clin Exp All 2002;30:387-90.

  17. Wang M, Xing ZM, Lu C, Ma YX, Yu DL, Yan Z, et al. A common IL-13 Arg130Gl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among Chinese atopy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Hum Genet 2003;113:387-90.

  18. Leung TF, Tang NL, Chan IH, Li AM, Ha G, Lam CW. A polymorphism in the coding region of interleukin-13 gene is associated with atopy but not asthma in Chinese children. Clin Exp Allergy 2001;31: 1515-21.

  19. Tsunemi Y, Saeki H, Nakamura K, Sekiya T, Hirai K, Kakinuma T, et al. Interleukin-13 gene polymorphism G4257A i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in Japanese patients. J Dermatol Sci 2002;30:100-7.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