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11);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11): 1115-1119.
MUC2/5AC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through Leukotriene Receptor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Yong Dae Kim, Jae Euk Lee, Chang Hoon Bai, Young Jung Seo, Sang Baik Ye, Si Yeon So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Daegu, Korea. ydkim@med.yu.ac.kr
호흡기상피세포에서 Leukotriene 수용체를 통한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분비
김용대 · 이재억 · 배창훈 · 서영중 · 예상백 · 송시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류코트리엔 D<sub>4</sub>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MUCMUC5AC점액.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Mucin gene expression and mucin production are highly increased during inflammatory airway disorders such as, asthma, chronic bronchitis and sinusitis. Cytokines, lipopolysaccharides and other inflammatory mediators are related with secretion and production of mucin. However, among of inflammatory mediators, the relation of leukotrienes and mucin genes expression is not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MUC2/5AC genes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through leukotriene receptor in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SUBJECTS AND METHOD:
The effect of Leukotriene D4 and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pranlukast hydrate (ONO-1078) on the regulation of MUC2/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was observed in the human airway NCI-H292 epithelial cells. The mRNA levels of MUC2/5AC and the amount of mucin protein were determined b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immunoassay.
RESULTS:
Leukotriene D4 upregulated MUC2/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on a dose dependent pattern. Pranlukast hydrate (ONO-1078, 100 micrometer) downregulated the leukotriene D4-mediated MUC2/5AC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ukotriene receptor system is one of the expression mechanisms of MUC2/5AC genes and mucin secretion.
Keywords: Leukotriene D4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MUC2MUC5ACMucin

교신저자:김용대, 705-717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5동 317-1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53) 620-3784 · 전송:(053) 628-7884 · E-mail:ydkim@med.yu.ac.kr

서     론


  
인체의 호흡기상피세포는 흡입된 자극물질이나 해로운 화학물질에 대해 급성방어기전으로 점액을 분비한다. 그러나 천식, 만성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부비동염 등과 같은 만성호흡기염증질환에서는 과도한 점액분비가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점액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병의 진행을 막는데 중요하다.1)2) 염증반응은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이나 염증성 매개물질이 관여하는 아주 복잡한 과정으로 비만세포는 arachidonic acid의 lipoxigenase와 cycloxygenase에 의해 histamine, leukotriene, prostaglandin, thromboxan 등을 분비한다.3) 특히 leukotriene은 5-lipoxygenase에 의해 arachinoic acid가 leukotriene C4로 전환되고, 이것이 leukotriene D4, E4로 전환된다.4) 이들의 약리학적 작용은 기관지근수축, 혈관투과성증가, 점액분비의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따라서 이러한 leukotriene의 작용을 조절할 수 있다면 호흡기 염증반응의 기전에 대한 이해와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 개발된 leukotriene D4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길항제인 pranlukast hydrate(Onon®)가 ovalbumin에 의해 감작된 guinea-pigs의 기도 점액분비를 in vitro에서 억제시키는 것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2) 인체 호흡기 상피세포에서 leukotriene이나 이의 길항제가 점액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 연구 보고한 예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호흡기 상피세포인 NCI-H292 세포에서 leukotriene D4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길항제인 pranlukast hydrate(ONO-1078)가 점액유전자발현과 점액분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세포배양 및 대상
  
사람 호흡기 상피세포인 human pulmonary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 line(NCI-H292,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Rockville, MD)을 6개의 실험판(well-plate)에 1×106 cells/well의 농도로 배양하고, 95%의 산소와 5%의 이산화탄소가 가습화된 대기에서 37℃의 온도로 RPMI 1640배지(10% fetal calf serum, penicillin 100 U/ml, streptomycin 100 μg/ml를 추가)에 배양하였다. 배양이 어느정도 이루어지면, 세포를 24시간 동안 0.5% fetal calf serum을 포함하는 RPMI 1640배지에서 배양하였고,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에 헹구어낸 후 leukotriene D4 10 μM, 20 μM과 30 μM을 투여하여 점액유전자와 점액의 생성여부를 관찰하였다. 한편 leukotriene 수용체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배양세포에 ONO-1078을 5 μM와 100 μM 용량으로 1시간 동안 전처치한 후 leukotriene 20 μM를 투여하였다.
   정한 시간마다 Tri-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Cincinnati, OH)를 이용하여 전체 세포의 RNA를 추출하였다. 대조군은 leukotriene D4 처치를 하지 않았고, leukotriene D4는 0.1% Bovine serum albumin이 함유된 PBS에, ONO-1078은 에탄올에 용해하였다. 에탄올과 다른 용매의 최종농도는 0.1% 이하로 유지하였다. MUC2/5AC 점액유전자의 분석을 위하여 RT-PCR법을 이용하였고, 점액분비의 분석은 ELISA법을 이용하였다.

MUC2, MUC5AC 유전자의 RT-PCR 분석
   MUC2, MUC5AC mRNA의 측정은 변형된 RT-PCR 방법을 이용하였다.19) 총 mRNA를 Tri-Reagent(Molecular Research Center, Cincinati, OH)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총 mRNA를 무작위 hexanucleotide primer들과 Moloney murine leukemia virus(MMLV) reverse transcriptase(Perkin Elmer, Morrisville, NC)를 사용하여 cDNA로 역전사하였다. RT-PCR에 사용한 oligonucleotide primer는 인체 MUC2/5AC 유전자의 sense와 antisense를 사용하였다. 인체 MUC2 유전자의 primer 염기서열은 sense는 5'-TGC CTG GCC CTG TCT TTG이며, antisense는 3'-CAG CTC CAG CAT GAG TGC이다. MUC5AC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sense는 5'-ATC ACC GAA GGC TGC TTC TGT C, antisense는 3'-GTT GAT GCT GCA CAC TGT CCA A이다. PCR 과정은 초기 가열을 95℃에서 3분간 실시한 후 변성은 95℃/1분, 60℃/1분, 72℃/1분간을 34 cycles을 실시하고 신전(extension)은 72℃에서 20분간 실시하였다. PCR의 산물은 50 ng/ml의 ethidium bromide가 들어있는 1% Tris-boric acid-EDTA 완충용매에서 2% agarose gel을 통한 전기영동을 이용하였다. 띠(band)의 정도는 densit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Immunoassay를 이용한 MUC2/5AC 점액의 분석
  
배양 NCI-H292 세포에서 lysis buffer(50 mM Tris·HCL, 1 mM EGTA, 1% Triton X-100, 1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로 단백을 추출하여 정량하였다. 추출한 단백을 100 μg을 96 well에 첨가하여 40℃에서 배양시켰다. 2% bovine serum albumin으로 1시간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후, PBS용액으로 세 번 씻어 냈다. 1:100으로 희석한 MUC5AC(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또는 MUC5AC 일차항체(NeoMarkers, Inc., Fremont, CA)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이차항체인 horeseradish peroxidase-goat anti-mouse IgG conjugate(1:10,000)를 첨가시켜 1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PBS로 세번 씻은 후 3, 3, 5, 5-tetramethylbenzidine peroxidase 용액으로 발색반응을 시켜서 ELISA 판독기로 450 nm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세포군에서 측정된 MUC2/5AC 점액의 양은 IL-1β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세포군에서 검출된 양을 초과하는 만큼의 양을 백분율(% above control)로 나타내었으며 student t-test를 시행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p<0.05).

결     과

Leukotriene D4에 의한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 분비
  
배양된 NCI-H292 세포에 leukotriene D4 10, 20, 30 μM를 처치한 경우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이 leukotriene D4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점액분비도 같은 양상이었다(Fig. 1).

ONO-1078의 효과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인 ONO-1078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배양된 NCI-H292 세포에 ONO-1078(5 μM, 100 μM)을 1시간 동안 전처치하고 leukotriene 20 μM을 각각 8시간, 12시간 동안 투여한 후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분비를 관찰하였다. 5 μM의 ONO-1078을 투여한 경우 MUC2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가 약간 감소한 것 같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으며, MUC5AC의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는 큰 변화가 없었다(Fig. 2). 한편 100 μM의 ONO-1078을 전처치한 후 leukotriene D4(20 μM)를 전처치한 경우 MUC2, MUC5AC 점액유전자의 발현이 모두 대조군 정도로 감소하였고 점액의 분비도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감소하였다(Fig. 2).

고     찰

   인체에서 점액분비를 증가시키는 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세포막의 인지질에서 유래한 arachidonic acid의 대사물질인 leukotriene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져져 있다.5) Leukotriene은 lipoxigenase가 arachidonic acid에 작용하여 5-hydroperoxyeicosatetraenoic acid(HPETE)를 생성하고 이는 다시 leukotriene A4를 생성하며, 이는 다시 leukotriene B4, leukotriene C4로 전환되고, leukotriene C4는 다시 leukotriene D4, leukotriene E4로 전환된다.5)6) Leukotriene C4, leukotriene D4, 및 leukotriene E4는 slow-reacting substance of anaphylaxis(SRS-A)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서, 호흡기 염증질환 환자의 객담에서 측정되어 기관지 수축, 혈관 투과성 항진, 기도 분비 항진 등을 유발시키고, 아토피성 질환과 알레르기 반응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5)
   그 중 leukotriene D4는 급성기의 강력한 기관지 수축작용을 가지지만 지연효과는 나타내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고, 용량에 비례하여 비점막의 혈류량과 저항을 증가시키나, 소양감, 재채기 등에는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리고 leukotriene D4를 ovalbumin에 의해 감작된 guinea-pig의 기관지 상피세포의 점막층과 장막층에 동시에 투여하는 경우보다 점막층에만 투여하였을 경우에 점액분비가 증가한다고 한다.2) 그러나 leukotriene D4가 호흡기에서 발현되는 점액유전자 MUC2와 MUC5AC의 관계를 밝힌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eukotriene D4가 배양된 세포에서 MUC2와 MUC5AC의 발현을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Leukotriene D4는 비장, 말초혈관, 호흡기 상피세포에 있는 leukotriene-1(CysLT(1)) receptor 혹은 leukotriene-2(CysLT(2)) receptor에 작용하여 세포내의 칼슘을 증가시켜 세포의 탈과립을 일으킴으로써 염증작용에 의한 점액분비 증가와 기관지 수축을 일으킨다.7)8) 따라서 leukotriene receptor의 두 가지 종류인 CysLT-1 receptor와 CysLT-2 receptor에 작용하는 antagonist를 사용하여 천식이나 알레르기 반응에서 생기는 점액분비를 줄일 수 있는 것에 대해 최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보고된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중에 MK-571, montelukast, zafirlukast, pranlukast 등은 CysLT-2 receptor보다 CysLT-1 receptor에 더 친화적으로 작용하는 antagonist이다.9) 또한 이러한 물질은 β-agonist와 같은 작용을 가지고 있어 기관지 확장 효과를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운동, 찬공기, 아스피린에 의해 유발된 코막힘과 점액분비의 초기반응에 관여하여 증상을 호전시키고, 항히스타민제에 의해 효과가 더욱 증진시킨다.7) 그 중 pranlukast는 zafirlukast와는 다르게 leukotriene D4와 leukotriene E4 뿐만아니라 leukotriene C4와도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점액분비를 감소시키는 우수한 약제이다.10) Pranlukast는 γGTP를 불활성화 시켜 leukotriene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이 아니라 leukotriene receptor에 leukotriene과 경쟁적으로 작용하여 항원에 의한 기관지 수축 억제, 아세틸콜린에 의한 기도의 과민반응 억제, 호흡기에 호산구의 침윤 억제의 효과를 가진다.10) Pranlukast는 집먼지 진드기에 노출시 일어나는 항원 항체 반응에 의한 leukotriene 과다생성과 아스피린에 의한 arachidonic acid 대사과정에서의 leukotriene 과다생성에 의한 점액분비 증가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11)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천식 환자에서는 효과가 없는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지금까지 알려진 점액유전자 중, 중요한 호흡기 점액유전자는 MUC2, 4, 5AC, 5B, 6, 7과 8 등이다.12)13)14) 특히 MUC2, 5AC, 5B, 6 유전자는 모두 염색체 11p15.5에 존재하며 gel forming 점액유전자로 기도 상피의 보호와 윤활작용에 필수적인 점액을 생산한다.15) MUC2는 인간의 장과 기도에 주로 존재하고 만성기관지염이나 섬유성 낭종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MUC5AC와 MUC5B는 인간 기도에서 분비되는 점액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다.16)17) 
   호흡기 상피세포의 점액에서 발현되는 MUC2와 MUC5AC는 염증 반응에 의한 점액분비 증가시 다량으로 발현된다.18) Leukotriene D4가 호흡기상피세포의 점액 분비를 증가시키고,2) IL-β의해 증가된 MUC2와 MUC5AC가 steroid 제재에 의해 억제되지만,19) leukotriene D4가 점액분비와 MUC2와 MUC5AC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가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킨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배양된 NCI-H292 세포에서 leukotriene D4가 용량의존적으로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를 증가시키고 leukotriene 수용체 길항제인 ONO-1078(100 μM)이 leukotriene D4에 유도된 MUC2/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의 분비를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leukotriene 수용체가 MUC2/5AC 점액 발현과 점액 분비에 관여하는 하나의 기전으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Leukotriene receptor가 호흡상피세포에서 MUC2와 MUC5AC 점액유전자의 발현과 점액분비에 관여하는 하나의 과정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Johnson HG, McNee ML. Regulation of canine mucus secretion by a novel leukotriene synthesis inhibitor (U-60,257). Int Arch Allergy Appl Immunol 1984;75:97-101.

  2. Liu YC, Khawaja AM, Rogers DF. Effects of cysteinyl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pranlukast and zafirlukast on tracheal mucus secretion in ovalbumin-sensitized guinea-pigs in vitro. Br J Pharmacol 1998;124:563-71.

  3. Schleimer RP, MacGlashan DW Jr, Peters SP, Pinckard RN, Adkinson NF Jr, Lichtenstein LM. Characteriz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 release from purified human lung mast cells. Am Rev Respir Dis 1986;133:614-7.

  4. Bisgaard H, Olsson P, Bende M. Effect of leukotriene D4 on nasal mucosal blood flow, nasal airway resistance and nasal secretion in humans. Clinical Allergy 1986;16:289-97.

  5. Cho SH, Cho JS, Jang DJ, Cha CI. Effect of leukotriene D4 on Ultrastructure of nasal mucuous menbrane in Guinea pigs. Korean J Otolaryngol 1997;40:91-7.

  6. Myou S, Kamio Y, Kita T, Katayama N, Abo M, Yoshimi Y, et al. Effect of a cysteinyl leukotriene antagonist, pranlukast hydrate, on acetaldehyde-induced bronchoconstriction in asthmatic patients. Prostaglandins Leukot and Essent Fatty Acid 2001;65:41-4.

  7. Nicosia S. Phamacodynamic properties of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Monaldi Arch Chest Dis 1999;54:242-6.

  8. Martin V, Sawyer N, Stocco R, Unett D, Lerner MR, Abramovitz M, et al. Molecular cloning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murine cysteinyl-leukotriene 1 (CysLT(1)) receptors. Biochem Phamacol 2001;162:1193-200.

  9. Heise CE, O'Dowd BF, Igueroa DJ, Sawyer N, Nguyen T, Im DS,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cysteinyl leukotriene 2 receptor. J Biol Chem 2000;275:30531-6.

  10. Nakamura Y, Hoshino M, Sim JJ, Ishii K, Hosaka K, Samamoto T. Effect of the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 pranlukast on cellular infiltration in the bronchial mucosa of patients with asthma. Thorax 1998;53:835-41.

  11. Obase Y, Shimoda T, Tomari S, Mitsuta K, Fukushima C, Kawano T, et al. Efficacy and safty of long-term treatment of asthmatic patients with pranlukast, a cysteinyl-leukotriene-antagonist: Four-year follow up study. Ann Allergy Asthma Immulol 2001;87:43-7.

  12. Yoon JH, Park IY. Mucin gene expression and mucin secretion in human airway epithelium. Rhinology 1998;36:146-52.

  13. Moniaux N, Nollet S, Porchet N, Degand P, Laine A, Aubert JP. Complete sequence of the human mucin MUC4: A putative cell membrane-associated mucin. Biochem J 1999;338:325-33.

  14. Hovenberg HW, Davis JR, Hermann A, Linden CJ, Carlsted I. MUC5AC, but not MUC2, is a prominent mucin in respiratory secretions. Glycoconj J 1996;13:839-47.

  15. Desseyn JL, Guyonnet-Duperat V, Porchet N, Aubert JP, Laine A. Human mucin gene MUC5B, the 10.7-kb large central exon encodes various alternate subdomains resulting in a super-repeat. Structural evidence for a 11p15.5 gene family. J Biol Chem 1997;272:3168-78.

  16. Thornton DJ, Howard M, Khan N, Sheehan JK. Identification of two glycoforms of the MUC5B mucin in human respiratory mucus. Evidence for a cysteine-rich sequence repeated within the molecule. J Biol Chem 1997;272:9561-6.

  17. Williams SJ, Wreschner DH, Tran M, Eyre HJ, Sutherland GR, McGuckin MA. Muc13, a novel human cell surface mucin expressed by epithelial and hemop-oietic cells. J Biol Chem 2001;276:18327-36.

  18. Ali MS, Wilson JA, Pearson JP. Mixed nasal mucus as a model gene expression studies. Laryngoscope 2002;112:326-31.

  19. Kim YD, Kwon EJ, Kwin TK, Baek SH, Song SY, Suh JS. Regulation of IL-1β-mediated MUC2 gene in NCI-H292 human airway epithelial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274:112-6.

  20. Shimizu T, Hirano H, Majima Y, Sakakura Y. A mechanism of antigen-induced mucus production in nasal epithelium of sensitized ra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161:1648-54.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