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10);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10): 983-987.
Computed Tomographic Findings of Inverted Papilloma in Sinonasal Tract.
Sang Woo Kim, Seung Kyu Chung, Hyo Yeol Kim, Hun Jong Dhong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skchung@smc.samsung.co.kr
반전성 유두종의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김상우 · 정승규 · 김효열 · 동헌종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전산화 단층촬영반전성 유두종신생물비부비동.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Inverted papilloma (IP) is the common benign tumor in the nasal cavity and paranasal sinus. Because CT scan has become common and necessary prior to surgerie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interest for CT finding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CT characteristics of IP in comparison to other benign tumors.
SUBJECTS AND METHOD:
The patient group for IP included 56 patients who had received an endoscopic sinus surgery at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March 1995 and September 2002. The control group included 50 random patients having other benign lesions. The CT findings have been analyzed, and medical charts have been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CT characteristics such as surface irregularity, air sign between tumor and surrounding tissues, bony thickening, choanal extension, and bony destruction have been compared. The statistic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with Chi-square.
RESULTS:
Surface irregularity was observed in 78% of the IP group. However, only 28% of the control group showed surface irregularity (p<0.0001). The air sign was observed in 46% of the IP group, whereas it was only observed in 18% of the control (p=0.005). Bony thickening was observed in 57% and 30% of the IP group and the control, respectively (p=0.009). Choanal extension was shown in 54% of the IP group and 26% of the control, which excludes four instances of antrochoanal polyp (p=0.018). Bony destruction was not well observed in either group.
CONCLUSION:
The CT characteristic findings of IP are very specific and thus greatly helpful in the diagnosis of the disease.
Keywords: X-ray computed tomographyInverted papillomaNeoplasmParanasal sinus

교신저자:정승규, 135-710 서울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3410-3571, 3579 · 전송:(02) 3410-3879 · E-mail:skchung@smc.samsung.co.kr

서     론


  
비강에서 발생하는 반전성 유두종은 재발을 잘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2) 내시경 수술의 발전으로 재발을 많이 줄일 수 있게 되었다.3)4)5)6) 따라서 내시경으로 제거가 가능한 초기 유두종을 찾는 것은 완치를 위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반전성 유두종의 진단은 내시경 관찰과 방사선학적 검사, 그리고 조직 검사가 있다. 내시경 수술의 발전과 함께 전산화 단층 촬영이 부비동염의 진단에 기본적인 방법이 되면서 반전성 유두종의 방사선학적 소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전산화 단층 촬영이 보급되기 전에는 단순 방사선 촬영 등을 시행하였으나 그 소견은 비강 내 다른 종양에서 보이는 소견과 다를 바가 없었다.7)
   전산화 단층 촬영이 보편화 되고 수술적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하게 됨에 따라 반전성 유두종에 대한 소견이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Woodruff 등8)은 구심적 성장을 하고 후비공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석회화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 균질한 종괴를 특징적인 소견으로 보고하였고, Dammann 등9)은 특히 표면의 불규칙성이 대표적 소견이라고 보고하였다.
   반전성 유두종의 존재 여부와 범위를 보는데 MRI도 우수한 진단 방법의 하나이지만10)11)12) MRI 역시 다른 종양과 반전성 유두종을 구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현실적으로 코막힘을 호소해서 오는 환자 모두에게 MRI를 시행하기는 경제적인 면에서 불가능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보이는 반전성 유두종의 특징적인 소견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반전성 유두종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1995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시행 받고 조직 검사 소견상 반전성 유두종으로 확진된 5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 중 23예는 이전에 부비동 수술을 받은 적이 있는 환자였다. 반전성 유두종에서 특이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기간 부비동 내시경 수술을 시행 받고 다른 양성 종양으로 확진된 685명 중 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대조군은 비용 45예, 상악 후비공 용종4예, 그리고 1예의 혈관종이 포함되었다. 반전성 유두종 환자군은 남자 44명, 여자 12명이었고 연령은 30세부터 73세까지(평균연령 54.5세) 였고 대조군은 남자 40명, 여자 10명 연령은 12세부터 77세까지(평균연령 43.2세) 였다. 모든 환자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을 분석하였고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에서는 표면의 불규칙성(Fig. 1), 종양과 주변 조직 사이의 공기음영소견(Fig. 2), 골부의 비후(Fig. 3), 후비공으로의 연장소견(Fig. 4), 골파괴 소견(Fig. 5)의 다섯가지 소견을 조사하였다. 공기음영 소견이란 병변과 주변 조직 사이에서 관찰되는 일련의 종양과 공기 사이의 계면으로 정의하였다(Fig. 2). 전산화 단층촬영은 GE high speed advantage(GEHSA, USA)를 이용하였으며 관전압 120 KVP, 관전류 100 mA를 2초간 주고 3×3 mm(slice thickness, space)로 촬영하였다. 통계분석은 Chi-square로 시행하였다.

결     과

   표면의 불규칙성은 반전성 유두종 환자에서 42예(78%)에서 관찰되어 14예(28%)에서 관찰된 양성 종양군들에 비하여 자주 관찰되었다(p<0.0001).
   골부의 비후는 반전성 유두종 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31예(57%), 15예(30%)에서 관찰되어 반전성 유두종에서 흔한 소견이었으며(p=0.009), 반전성 유두종의 경우 수술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65%에서 전산화 단층촬영상의 골부의 비후가 반전성 유두종의 기원과 일치하였다.
   주변 조직과의 공기음영 소견은 반전성 유두종 군에서 25예(46%), 다른 양성 종양군에서 9예(18%)에서 관찰되어 마찬가지로 반전성 유두종 군에서 흔히 보이는 소견이었다(p=0.005).
   후비공으로의 연장소견은 대조군에서 상악동 후비공 용종의 4예를 제외하면 반전성 유두종에서 29예(54%), 대조군에서 13예(26%)에서 보여 반전성 유두종에서 자주 관찰되었다(p=0.018).
   골파괴 소견은 이전에 수술을 받지 않은 31예의 증례로 분석하였으며, 이중 2예에서 관찰되었고 그 중 1예는 편평세포암종과 혼합되어 있는 증례였다(Fig. 5). 대조군에서 골파괴의 소견을 보인 증례는 없었다.
   특징적이 표면의 모습과 공기음영 소견 그리고 후비강까지의 연장 소견을 모두 고려할 때 반전성 유두종은 54명 중 50명(92.5%)에서 해당되었다.

고     찰

   반전성 유두종은 비강과 부비동에 생기는 드물지 않게 관찰할 수 있는 종양으로 비강과 부비동 종양의 약 4% 정도를 차지하며 78
~100%에서 편측성으로 나타난다.8)9) 10~25% 정도의 높은 재발율, 그리고 편평세포암종과의 연관성이 약 5~8%정도로 보고되어 세심한 고찰이 필요한 양성 종양이며, 비용을 비롯하여 비강 내 생기는 다른 종류의 종괴와 감별할 필요가 있다.8)9)12)13)
   이 종양에 관한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들이 최근 보고되고 있으며 여러 소견 중에 흔히 관찰되는 소견은 표면의 불규칙성이다.9)14) 이번 연구에서 약 78%의 빈도로 관찰된 이런 소견은 비용 및 다른 양성 종양에서는 28%정도로 관찰되어 반전성 유두종에서 흔히 관찰되는 소견이었다. 이런 표면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하여는 종양과 공기와의 계면이 필요하며, 이런 종양과 공기의 계면이 관찰되기 어려운 경우로는 병변이 비용과 같이 팽창성을 보이거나 주변의 점막이 부어 있는 경우, 그리고 주변에 분비물 등이 있는 경우이다.
   공기음영 소견이란 종양과 주변의 조직와 사이에서 관찰되는 일련의 작은 공기음영들이 모여 있는 소견이라 정의하였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반전성 유두종 환자군에서 46%, 대조군에서 18%를 보였다. 이러한 소견이 보이는 이유는 반전성 유두종의 표면에 요철이 있으며 이 종양이 주변으로의 팽창 소견을 보이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염증이 있는 비용의 경우는 주변의 장기와 밀접한 접촉이 있어 공기음영 소견이 잘 나타나지 않게 된다.
   골변화에 대하여는 많은 보고가 있지만 주로 압력에 의한 미란이나 변형이지 골파괴 소견은 아니다.7)8)9)14) 이런 변형은 구심성 방향으로 자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비강의 내측에서 발견되며 만약 외측의 주변부에서 나타나면 악성 종양 등을 의심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양이 성장하게 되면 성장으로 인한 압력 때문에 종양 주변의 골부는 얇아지고 휘어지며 미란이 일어나고 경화성 변화가 나타난다.7)8)9)14)15)
   반전성 유두종 환자의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보이는 골변화 중에서 가장 쉽게 찾을 수 있는 소견은 내부에서 혹은 외측에서 관찰되는 골부의 비후로 이번 연구에서는 반전성 유두종의 57%에서 관찰되었다. 특히 이런 모양이 관찰되는 경우에 골부의 비후가 반전성 유두종의 기시부와 65%에서 일치하였기에 수술 시에 유두종의 기시 부위로 의심하고 수술에 임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또한 골부의 비후가 있는 부위에서는 수술 시 출혈이 많이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것은 종양이 커지면서 기원이 되는 부위가 종양 내부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하여 혈류가 증가하여 생기는 현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반전성 유두종의 경우에는 종양이 자라면서 주변의 정상적인 구조를 변형 시키지만 다른 주변의 구조를 침습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반전성 유두종이 자라는 공간에 있는 비중격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는 것과 반전성 유두종이 주변의 부비동 내로 자라 들어가고 비인강으로 연장되는 소견을 보면 알 수 있다. 비인강으로의 연장 소견 또한 반전성 유두종의 특징적 소견의 하나라고 발표된 적이 있다.7)8)14) 비인강으로 연장된 종양이 보이는 경우는 소아에서 주로 관찰되는 상악 후비공 용종이 있다. 상악 후비공 용종도 주로 편측으로 생기는 특성이 같지만 발견되는 나이가 다르고 표면의 모습으로 감별이 가능하다.14) 저자의 경우 비인강으로의 연장 소견은 54%에서 관찰되었고 상악 후비공 용종의 4예를 제외하면 대조군에서는 26%의 빈도를 보여 반전성 유두종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볼 수 있었다.
   반전성 유두종은 양성 종양으로 골파괴 소견은 흔하지 않으며 외측 부에서 골파괴 소견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동반된 편평세포암종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8)9)14) 이번 연구에서도 골파괴 소견이 보인 2예 중 1예는 편평세포암종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였다.

결     론

   반전성 유두종의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보인 표면의 불규칙성, 주변 조직과의공기음영 소견, 골부의 비후, 후비공으로의 연장 소견은 다른 양성 질환군의 소견과 비교해 볼 때 특이한 소견이었으며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이런 소견이 있는 경우는 반전성 유종의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REFERENCES

  1. Montgomery WW, Turner PA, Montgomery SK, Joseph MP. Inverted papilloma. Ann Otol Rhinol Laryngol 1986;95:215-21.

  2. William L, Ho BT, Shaari CM, Biller HF. Inverted papilloma: A report of 122 cases. Laryngoscope 1995;105:282-8.

  3. Stankiewicz JA, Girgis SJ. Endoscopic surgical treatmemt of nasal and paranasal sinus inverted papillo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3;109:988-95.

  4. Tufano RP, Thaler ER, Lanza DC, Goldberg AN, Kennedy DW. Endoscopic management of sinonasal inverted papilloma. Am J Rhinol 1999;13:423-6.

  5. Chee LW. Sethi DS. The endoscpic management of sinonasal inverted papillomas. Clin Otolaryngol 1999;24:61-6.

  6. Lund VJ. Optimum management of inverted papilloma. J Laryngol Otol 2000;114:194-7.

  7. Lund VJ. Lloyd GA. Radiological changes associated with inverted papilloma of the nose and paranasal sinuses. Br J Radiol 1984;57:455-61.

  8. Woodruff WW, Vrabec DP. Inverted papilloma of the nasal vault and paranasal sinuses: Spectrum of CT findings. Am J Roentgenol 1994;162:419-23.

  9. Dammnann F, Pereira P, Laniado M, Plinkert P, Lowenheim H, Claussen CD. Inverted papilloma of the nasal cavity and the paranasal sinuses: Using CT for primary diagnosis and follow-up. Am J Roentgenol 1999;172:543-8.

  10. Yousem DM, Fellows DW, Kennedy DW, Bolger WE, Kashima H, Zinreich SJ. Inverted papilloma: Evaluation with MR imaging. Radiology 1992;185:501-5.

  11. Roobbottom CA, Jewell FM, Kabala J. Primary and recurrent inverting papilloma: Appearances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in Radiol 1995;50:472-5.

  12. Petit P, Vivarrat-Perrin L, Champsaur P, Chagnaud C, Vidal V, Gaubert JY, et al. Radiologic follow-up of inverted papilloma. Eur Radiol 2000;10:1184-9.

  13. Lesperance MM, Esclamado RM. Squamous carcinoma arising in inverted papilloma. Laryngoscope 1995;105:178-83.

  14. Savy L, Lloyd G, Lund VJ, Howard D. Optimum imaging for inverted papilloma. J Laryngol Otol 2000;114:891-3.

  15. Buchwald C, Nielsen LH, Ahlgren P, Nielsen PL, Tos M. Radiologic aspects of inverted papilloma. Eur J Radiol 1990;10:134-9.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