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7(2); 2004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4;47(2): 91-98.
Clinical Use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Kyung Su Kim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임상적 이용
김경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서     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작용 기전이나 부작용이 aspirin과 비슷하므로 흔히 아스피린 유사 약물(aspirin-like drugs), 해열진통제(analgesic-antipyretic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NSAIDs)라고도 하며 아편계 약물에 대칭되는 용어로서 비마약성 진통제(non-narcotic analgesic)라고도 한다. 현재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cyclooxygenase 활성을 억제하여 prostaglandin과 thromboxane의 생성을 억제한다. 항염증계 약물에 속하므로 중등도 이하의 통증에 효과가 있고 장기적으로 사용하여도 아편계 약물이 나타내는 호흡 억제나 육체적 의존성과 같은 금단 현상이 없으며, 일반적으로 통증이나 염증의 증상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고유의 항염증, 진통, 해열 작용 이외에 항암작용과 Alzheimer씨 병의 치료 등의 여러 용도로 현대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다.2)3)4)5)6)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작용기전과 부작용, 약물의 종류 등을 언급하여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에 대한 이해 및 이의 적절한 사용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작용 기전

   Aspirin과 그 유사 약물의 작용 기전은 최근에야 밝혀졌는데, Vane과 Botting이 미량의 aspirin이나 indomethacin이 prostaglandin 생합성을 효소 단계에서 억제하며, 또한 염증과 발열의 병인에 있어서 postaglandin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서 현재 항염증 약물의 작용기전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prostaglandin 생성의 억제에 기인한다.7)

염증반응
  
항염증 약물은 prostaglandin 생합성 과정에서 cyclooxygenase를 억제하여 염증 반응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임상 증상을 제거하지만 염증 부위로 동원되는 백혈구는 막지 못한다. 이는 여러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 뿐만 아니라 화학주성 물질(chemotactic agent)로 작용하는 leukotriene의 생성에 관여하는 lipoxygenase를 항염증 약물이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통  증
  
심하지 않는 둔통에 대하여 항염증 약물들은 효과가 크나 통증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 차이가 있다. Aspirin은 수술 후 만성 통증에 대하여는 아편계 진통 약물보다 완화 효과가 더 크다. Aspirin을 투여하여 prostaglandin의 합성과 유리를 억제하면 통각 수용체의 기계적 자극이나 다른 통증 매개물질에 대한 감수성은 경감된다. 따라서 염증이 없는 조직에서는 aspirin이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며 prostaglandin을 직접 투여하여 통증이 발생하였을 때에도 aspirin은 효과가 없다.

발  열
  
고열은 체온 조정온도(set point)가 높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prostaglandin은 이 조정 온도를 높게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Aspirin을 투여하면 prostaglandin의 생성이 억제되고 조정온도는 정상으로 되돌아 가서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홍반과 부종
  
염증성 반응에 있어서 홍반이 발생하는 것은 염증 부위에서 PGE가 생성되어 피부표면에서 혈관 수축성 물질의 작용을 길항하여 혈관을 확장시킬 뿐만 아니라 또 교감신경 말단에서 PGE에 의하여 catecholamine의 유리가 억제됨으로서 혈관이 확장되고 국소 혈류가 증가하여 야기된 현상이다. 또한 prostaglandin은 kinin, histamine, PAF 및 5-HT 등과 함께 모세혈관에서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을 일으킨다. Aspirin은 이러한 prostaglandin을 억제하여 홍반과 부종에 효과를 보인다.

Cyclooxygenase 활성 억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작용 기전은 주로 prostaglandin의 합성 억제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aspirin 및 기타 유사 약물들이 cyclooxygenase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Fig. 1). Aspirin은 cyclooxygenase를 비가역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이며, aspirin을 제외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가역적으로 억제한다.
   Cyclooxygenase는 두 가지 형이 있는데 세포의 구성성분으로 되어 있는 cyclooxygenase-1(COX-1)과 염증 매개 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cyclooxygenase-2(COX-2)가 있다. COX-1은 주로 혈관 내피세포, 위 점막 및 콩팥 등에 존재하면서 위 점막 보호 작용이나 콩팥 혈류를 조절하는 항상성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하여 COX-2는 염증 매개 물질에 의하여 생성된 후 염증부위에서 염증을 일으키고 유지시키는 작용을 한다. 최근 COX-2에 의해 암이 유도되는 것이 증명되어 COX-2 억제에 의한 항암작용이 관심을 끌고 있다.2)3)8)9)
   Aspirin을 위시한 대부분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COX-1과 COX-2를 모두 억제시킨다. 그러므로 이들은 COX-2 억제에 의한 항염증 효과뿐 아니라 COX-1 억제에 따른 위궤양 등의 부작용도 같이 보인다. 특히 aspirin과 indomethacin은 COX-1 억제작용이 강하여 위궤양 발생 작용이 강하고, ibuprofen 등의 propionic acid와 diclofenac 등은 COX-1과 COX-2 억제작용이 비슷하여 aspirin과 indomethacin보다는 적으나 위궤양 발생의 부작용이 나타난다. 최근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COX-2 specific inhibitor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10)11) COX-1 억제 작용이 상대적으로 약한 약물로서 etodolac 및 nabumetone이 있으며, 이들도 부작용이 적은 약물이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공통적인 약리학적 특성

   항염증 약물은 정상인의 콩팥 기능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울혈성 심 부전증 환자나 만성 신부전증 환자 등에서는 기능을 저하시킨다. 정상인의 경우 prostaglandin은 콩팥 혈관 확장에 별 영향이 없지만 울혈성 심 부전등에서는 norepinephrine과 angiotensin 등에 의한 혈관 수축이 이미 일어나 있기 때문에 이를 현저히 길항한다.12)
   장기간 이러한 진통약을 복용하는 사람은 콩팥순환 기능에 관계하는 prostaglandin의 감소로 인하여 드물게는 콩팥의 유두 괴사(papillary necrosis)와 만성 간질성 신장염(interstitial nephritis)이 나타난다. 이들 질환은 서서히 발병하여 세뇨관 기능 장애로 지내다가 계속 남용하면 비가역성 콩팥 부전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콩팥 장애는 특히 여성에 흔하다. Phenacetin은 콩팥 독성이 강하여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13)14)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약리학적 특성과 용량을 Table 1에 정리하였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공통적 부작용

   위나 장에서 궤양을 유발하는 빈도가 높으며 약물 치료에 있어서 장애가 된다.
   경구적으로 복용시 국소 자극 작용과 점막 손상으로 인하여 산(酸)이 위점막을 통하여 역확산(back diffusion) 됨으로서 조직 손상을 야기하고, 위나 장 점막의 prostaglandin(주로 PGI2와 PGE2) 합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이들 prostaglandins는 생리적으로 위 분비 억제와 점막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장의 점액 분비를 촉진시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항염증 약물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이 소화 불량이나 속쓰림, 심하면 위나 장의 궤양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 억제는 lipoxygenase 대사물의 증가를 야기하고 이는 항염증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궤양 형성을 촉진시킨다고 한다.15)16)
   혈소판의 thromboxane A2(TXA2) 생성의 억제로 혈소판의 응집 억제와 출혈 시간을 연장시킨다. 특히 aspirin은 비가역적 cyclooxygenase 억제제로 혈소판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다시 이루어 질 때까지 상당히 오랜 기간 영향을 미친다.
   자궁 운동의 억제, 임신 기간의 연장 및 분만지연과 분만 후 출혈 과잉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종류

Salicylate 유도체
  
해열 진통과 항 염증 약물 중에는 aspirin이 표준약물이다. 이 약물은 안전하면서도 효력이 크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내성이나 중독 현상이 흔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임상 적응증으로, 해열 목적으로 사용 시는 대증요법이기 때문에 원인 질병의 진행이나 치료에는 별 영향이 없다. 성인에서는 325
~650 mg을 매 4시간 마다 경구적으로 복용한다. 주로 두통, 관절통, 근육통, 신경통 및 생리통에 효과적이다. 또한 초기 삼출성 염증(exudative inflammation)을 억압시켜 통증, 종창 형성, 운동 불능, 국소 발열 등을 해소시켜 준다. 그러나 병의 진행은 막지 못하며 후기 육아종증 염증(granulomatous inflammation) 및 상처형성(scar formation) 등에는 효과가 없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경우 많은 새로운 치료약물의 개발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salicylate가 표준 약물로서 사용되며, 관절 및 주위조직의 염증 반응을 억압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항염증 목적으로는 대량의 salicylate(매일 5~6g)를 사용한다. Sulfasalazine은 salicylate나 다른 aspirin계 약물이 잘 듣지 않는 경우 2차 선택약으로 사용 된다.
   임상 적응증중 심혈관계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소량의 aspirin으로서도 혈소판에서 TXA2의 합성을 억제하며 혈소판 응집을 억제한다는 점에서 관상동맥 질환이나 수술 후 심부정맥 또는 혈전 등을 예방할 목적으로 aspirin을 사용한다. 하루 또는 이틀마다 40
~325 mg을 투여하여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소량의 aspirin은 내피세포에서 생성되는 PGI2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혈소판에서 생성되는 TXA2는 선택적으로 감소된다.17)18)19)
   한편, 임산부에서 볼 수 있는 자간전증(preeclampsia)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 이를 예방하고자 하루에 60
~100 mg을 투여한다. 이때 PGI2의 생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TXA2의 생성을 억제하여 발병의 위험을 감소시킨다.20)21)
   Salicylic acid는 각질 용해제로서 국소적으로 사용한다. 사마귀나 티눈 제거 목적으로 10
~20%(in colloidon)액을 사용한다.
   Salicylate에 의한 독작용은 주로 사고로 인한 과량 복용(10
~30 g)으로 많이 나타나고 주로 어린이에서 빈발하며 그 외 종종 과민성 반응을 나타낸다. 콩팥 부전이나 간 부전 및 출혈성 질환이 있는 환자나 발열과 탈수가 심한 소아들에게서 salicylate의 독작용이 흔히 나타난다.22)
   경한 만성 중독을 salicylism이라 하는데 이는 과량을 장기간 반복하였을 때 두통, 졸음, 이명, 청력 장애, 시력 혼미, 혼돈, 권태, 발한, 구갈과 호흡, 오심 및 구토 등을 나타내며 가끔 설사 증세도 나타난다. 심한 중독에서는 중추신경계의 장애와 함께 정신의 혼돈 및 전신적인 경련 등이 나타난다. 유아나 소아에서 상기도 감염으로 열성 질환(febrile disease)이 있을 경우 과량의 salicylate를 복용하면 산혈증 현상을 나타내기 쉽다. 일반적으로 출혈 현상이 잘 나타나고 가끔 심한 독성 뇌병증(encephalopathy)을 나타내어 다른 뇌성질환과 감별이 어려워질 때도 있다.23)
   가장 흔히 나타는 부작용으로는 상복부 불쾌감, 오심, 구토 및 식욕 부진 등의 소화기계 증상이며 가끔 복부 통증도 나타난다. Salicylate를 투여한 환자의 5% 정도에서 간 비대증(hepatomegaly)과 황달이 나타나는데 이때에는 약물을 중단하는 것이 좋다. 특히 수두나 유행성 감기를 앓는 유아 및 2세 미만의 소아에서 salicylate의 투여로 독성 뇌병증과 심한 간손상을 동반하는 Reye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24)25) Reye 증후군은 치명적이므로 유아나 소아에서 salicylate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Aspirin을 복용하면 정상인에서도 출혈시간이 연장된다. 이는 aspirin에 의하여 혈소판의 cyclooxygenase가 억제되어 TXA2의 생성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간 기능장애나 저 prothrombin 혈증, vitamin K 결핍 또는 혈우병(hemophilia)환자에 있어서는 출혈이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aspirin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일회 용량으로 0.65 g의 aspirin을 정상인에 투여하였을 경우 4
~7일간은 평균 출혈 시간이 2배로 증가한다. 혈액 응고 방지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환자에서 aspirin을 사용할 때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며, 수술을 해야 할 경우에는 1주일 전에 aspirin의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Pyrazolon 유도체
   Phenylbutazone, oxyphenbutazone, antipyrine, aminopyrine 및 apazone등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Phenylbutazone
   Phenylbutazone의 해열과 진통 효과는 salicylate보다 약하나 항염증작용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독성은 salicylate와 다르게 무과립성 백혈구 증가증(agranulocytosis)을 유발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해열과 진통을 목적으로 1차 약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임상 적응증으로는, 급성 통풍,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및 골 관절염 등에 사용되고 있다. 다른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가 실패한 경우에만 phenylbutazone을 사용하여야 한다.
   부작용이 상당히 많이 나타나므로 복용자 중 10~45%의 환자가 견디어 내기 힘들다.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의 10
~15%에서는 약물의 복용을 중지해야 한다. 가장 흔한 것은 오심, 구토, 위장 장애 및 피부 발진 등이고 심한 경우 설사, 현기증, 도취감, 신경증, 시력 혼미 등이 나타난다.

Apazone(Azapropazone)
Aspirin과 비슷한 pyrazolon 유도체로서 항염증과 진통 해열 효과는 phenylbutazone과 비슷하다. 강력한 요산 배설 효과가 있어서 급성 통풍에 사용한다. 주로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골 관절염에 사용된다.

Para-aminophenol 유도체

Acetaminophen(Paracetamol)
  
Phenacetin과 acetaminophen은 aspirin만큼 해열진통 효과가 크지만 항염증 효과는 매우 약하여 항염증 목적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 phenacetin은 독성이 심하여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acetaminophen은 phenacetin보다 부작용이 적고 나타나더라도 약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Phenacetin이나 acetanilid는 체내에서 acetaminophen으로 전환되어 진통과 해열 작용을 나타낸다. Acetaminophen의 prostaglandin 생합성 억제 작용은 약하다. 치료 용량으로 단회 또는 반복 투여 하더라도 심맥관계나 호흡계는 영향이 없다.
  
치료양의 acetaminophen에서는 부작용이 잘 나타나지 않으나 가끔 피부 발진 등 알러지 반응이 있고 심한 경우는 약물성 발열 및 점막 손상이 일어난다. 예민한 사람은 백혈구 감소 또는 범혈구감소증(pancytopenia) 등도 나타나며 심한 경우 치명적인 간 괴사가 일어날 수 있다.26)27)28)
   Acetaminophen을 장기간 사용하면 세뇨관 괴사나 저혈당성 혼수(hypoglycemic coma)가 발생하기도 한다. Aspirin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해열 또는 진통 목적으로 사용한다.
   Acetaminophen은 정제, 캡슐, 좌약, 용액등 여러 제제 형태가 있으며 함량 역시 다양하게 판매되고 있다. 경구용으로 하루에 325
~1000 mg을 복용하되 하루에 4000 mg을 넘지 말아야 한다. 어린이에게는 단회 투여로 나이와 체중에 맞추어 40~480 mg이고, 24시간 내에 5회 이상 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Indomethacin, Sulindac 및 Etodolac

Indomethacin
  
Indomethacin의 효과가 aspirin보다 강력하지만 부작용 또한 빈발하므로 치료량으로 비교하면 saliylate 보다 우수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Indomethacin은 다핵성 백혈구의 운동도 억제한다.
   경구투여로 위장관에서 완전히 흡수되며 혈중에서 90%가 혈장 단백과 결합하고 조직에도 널리 결합한다.
   부작용의 빈도가 상당히 높기(35~50%) 때문에 일반적인 해열 진통제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부작용으로는 주로 위장 장애와 조혈 장기에 있어서 중성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드물게는 재생 불량성 빈혈 등이 일어난다. 가끔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골 관절염 및 강직성 척추염에 사용하며 다른 해열제에 듣지 않는 Hodgkin 병의 발열에도 효과적이다.
   용량은 초기에 25 mg을 하루에 2
~3회 투여하고 매주 25 mg 또는 50 mg씩 증량하며 총량이 150~200 mg이 될 때까지 증량한다.

Sulindac
   구조적으로 indomethacin과 비슷하며, 약리작용도 비슷하나 효력은 indomethacin에 비해 반 정도로 약하다. Sulindac은 그 자체는 약리 작용이 거의 없으며 체내에서 대사된 sulfide 대사물이 cyclooxygenase.를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다. 경구 투여시 약 90%가 흡수되고 위장관계의 부작용이 indomethacin에 비하여는 적으나 다른 진통 해열제에 비하면 부작용이 빈발하는 편이다. 주로 위장관계와 중추신경계(10%)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가끔 피부발진과 가려움증도 일어난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 관절염 및 강직성 척수염에 주로 사용한다.
   Sulindac은 성인에서 150
~200 mg을 하루 두 번 투여한다. 식후나 음식물과 함께 투여하고 400 mg을 넘지 말아야 한다.

Etodolac
  
Cyclooxygenase 억제제로서 항염증 효과를 가진 약물이며 최근에 개발되었다. 이 약물의 특징은 동물실험에서 항염증 효과를 일으키는 약 용량과 위 자극을 일으키는 약 용량의 차이가 다른 약물보다 크다. 다른 약물보다 위장 장애가 적다. 아마도 위점막에서 PGE2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작용이 약하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Etodolac의 단회 경구 용량은 200
~400 mg으로서 골 관절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효과가 있다.

Fenamate 유도체
   N-Phenylathranilic acid 유도체로서 mefenamic, meclofenamic, flufenamic, tolfenamic 및 etofenamic acid 등이 있다.
   Fenamate 유도체는 항염증 작용 및 해열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약물과는 달리 prostaglandin의 효과도 일부 봉쇄한다. Fenamate는 항염증, 해열 및 진통 효과를 가지고 있으나 주로 진통 목적으로 사용되고 원발성 월경통에 사용된다. Meclofenamate가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골 관절염에 사용되기는 하지만 초기 치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로 잘 흡수되고 약 50%가 뇨와 대변으로 배설된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관 장애(약 25%)로 소화 불량, 상복부 불쾌감 및 내장 염증이 나타난다. Fenamate계통은 특징적으로 심한 설사를 일으키며 지방변을 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 가끔 자가 면역에 의한 용혈성 빈혈 등을 초래한다.
   소아나 임산부 및 만성 위장관 장애를 가진 사람에게는 이 약물은 금기이며 설사나 피부 발진이 일어나면 즉시 투약을 중지해야 한다. 류마티스성 질환, 연조직(soft tissue) 손상, 근골격계 질환 및 월경 곤란 등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Mefenamic acid는 급성 통증의 초기에 500 mg, 그 후 250 mg을 음식물과 함께 매 6시간 마다 투여한다. Meclofenamate sodium은 하루 200
~400 mg을 2~3회 나누어 복용한다.

Tolmetin 및 Ketorolac

Tolmetin
  
Tolmetin은 주로 항염증 효과를 강하게 나타내는 약물이지만 해열 진통 효과도 가지고 있다. 경구 투여로 신속하게 흡수되며 혈중 최고 농도는 20
~60분에 도달하고 반감기는 약 5시간이다. 흡수 후 99%가 혈장 단백과 결합하고 대부분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설된다.
   복용한 환자의 25
~40%에서 부작용을 경험하게 되며 이중 위장관의 부작용이 가장 흔하다. 특히 상복부 불쾌감,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이 주된 증상이며 위 궤양과 십이지장 궤양도 나타날 수 있다. 그 외 신경과민, 불안, 불면증, 특히 시력장애가 올 수 있으며 때로는 피부 발진과 두드러기 등도 나타나며, 출혈 시간의 연장도 나타난다. 임상적으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에 주로 사용된다.
   Tolmetin soldium의 초기용량은 400 mg씩 하루 3회 복용하며 하루 최대 용량은 2 g이다.

Ketorolac
  
Ketorolac은 강한 진통 작용을 가지나, 항염증 효과는 중등도 이며, 해열 효과도 가지고 있다. Ketorolac은 경구 투여로 잘 흡수되며, 근육 주사로도 사용한다. 투여 후 30
~50분에 최고 혈중 농도를 보이며, 반감기는 4~6시간이다.
Ketorolac은 눈의 염증이나 계절성 알레르기결막염에 사용된다. Ketorolac의 주 용도는 수술 후 통증에 마약성 진통제 대신 사용한다. Ketorolac의 경구 용량은 5
~30 mg이며, 근육 주사 용량은 30~90 mg이다. 부작용으로는 졸음, 어지럼증, 두통, 위장관계 통증, 소화 불량 및 오심 등이 있으며, 주사부위의 통증이 있을 수 있다.

Propionic acid 유도체
   Propionic acid 유도체로는 ibuprofen외에 naproxen, fenoprofen, ketoprofen, flubiprofen, oxaprozin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외 fenbufen, carprofen, pirprofen, indobufen, tiaprofenic acid등이 개발 되어 있다.
   Propionic acid 유도체는 약리 작용과 부작용이 다른 aspirin 약물과 비슷하나 이 약물은 투여 시 대부분 환자들이 잘 견뎌내므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들 약물은 효력의 차이가 있으나 약력학적 차이는 거의 없다. 대부분이 항염증, 해열 및 진통 효과를 가지고 있고 혈소판 응집을 방해하여 출혈 시간을 연장시킨다. 대부분 위장에 미란(erosion) 등 부작용을 일으키나 aspirin보다 덜하다. 이들은 모두 정도는 다르나 prostaglandin의 생합성을 억제한다. 특히 naproxen은 aspirin 보다 cyclooxygenase 억제 작용이 20배나 강하고 ibuprofen, fenoprofen은 aspirin과 비슷하다.
   Propionic acid 유도체는 백혈구 이동에 대한 억제 작용이 강하며 특히 naproxen이 강하다. 약물 상호 작용으로서 propionic acid는 혈소판의 기능장애 또는 위장 손상 등의 부작용을 일으킴으로 항응고제와 병용 시에 주의를 요하고 furosemide와 항고혈압 약물과 병용하면 이들 약물의 작용이 감소된다.
   임상적으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 관절염, 급성 통풍성 척추염 및 강직성 척추염 등에 사용하여 근육과 관절 부위의 염증과 통증 해소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근육과 연조직 손상에 의한 통증에도 사용된다.

Ibuprofen
  
Ibuprofen은 보통 하루 1200
~1800 mg을 나누어 복용하며 골 관절염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에는 1일 용량 3,200 mg 까지도 사용한다. 경도 내지 중등도의 원발성 월경통에는 보통 400 mg을 매 4~6시간마다 투여한다. 위장 장애를 줄이기 위하여 우유나 음식을 함께 복용한다.

Naproxen
  
Naproxen은 보통 하루 250
~500 mg씩 2회 투여한다.

Fenoprofen
   제제로는 fenoprofen calcium을 200
~600 mg씩 3~4회 투여한다.

Diclofenac
  
Diclofenac은 진통, 해열 및 항염증 작용을 가진 Phenylacetic acid 유도체이다. Cyclooxygenase를 억제하며 이 작용은 indomethacin이나 naproxen보다 강하다. Diclofenac은 백혈구 세포내 유리 arachidonate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Diclofenac은 경구 투여로 완전히 흡수되며 투여후 2
~3시간에 혈중 최고 농도에 이르며,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 관절염 및 강직성 척추염에 사용된다.29)30)
   환자의 20%에서 부작용이 나타나며 위장관계 부작용이 가장 흔하다. 일부환자에서는 혈장 transaminase치가 중등도로 상승하나 대부분 가역적이다.
   Diclofenac sodium을 1일 150
~200 mg을 2~4회 나누어 복용한다.

Oxicam 유도체
   Oxicam 유도체로서 piroxicam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 이 약물이 소화기계에 대한 부작용이 적고 작용 지속 시간이 긴 약물로 평가되었다. 그 후 이 계통의 약물을 개발하던 중 meloxicam이 cyclooxygenase-1에 대한 억제 작용은 적고, cyclooxygenase-2에 대한 억제작용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위궤양 발생이 적은 약물로서 개발되었다. 현재 부작용이 적은 약물로서 meloxicam과 비슷한 약물이 개발되고 있으며, tenoxicam, ampiroxicam, droxicam, piroxicam, cinnoxicam 및 sudoxicam 등이 개발되어 사용 중이거나 임상실험중에 있다.

Piroxicam
   최근에 소개된 oxicam 유도체로서 항염증, 진통 및 해열제로서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골 관절염에 대한 장기 치료에는 효과가 aspirin이나 indomethacin 또는 naproxen과 비슷하다. 장점으로서 반감기가 길어서 하루 한번 투여하여도 효과적이다. Prostaglandin 생합성을 억제하는 작용은 indomethacin과 유사하며 중성 백혈구의 활성을 억제한다. Piroxicam은 해열 진통 효과도 있다.
   부작용의 발생율은 약 20%에서 부작용이 나타나며 5%의 환자는 부작용 때문에 약물 투여를 중단하여야 한다. 부작용으로는 위장 장애가 가장 많고 소화성 궤양의 발생율은 1%이하이다. Aspirin에 과민성이 있는 환자는 piroxicam에 의하여 기관지 수축이 유발될 수 있다.
   임상 용도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골 관절염 치료에 쓰이며 그 외 강직성 척추염, 월경통, 수술 후 동통, 급성 통풍 등에도 쓰인다.
   Piroxicam의 하루용량은 20 mg이다. 약물투여를 시작하여 7
~12일이 경과 한 후에야 일정한 혈장 농도에 도달하므로 치료 효과는 2주 이후에야 확실하다.

Nabumetone
  
Nabumetone은 cylooxygenase-2에 대한 선택성이 큰 약물로서 항염증 작용뿐 아니라 해열, 진통작용도 있으나, 부작용은 다른 비 스테로이드성 항 염증 약물보다 적게 나타난다.
   Nabumetone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골 관절염에 주로 사용된다. 부작용으로는 하복부 불편감, 피부발진, 두통, 어지럼증, 가슴 쓰림, 귀울림 및 가려움증이 잇으나, 위궤양 발생율은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보다 훨씬 적다.

선택적 COX-2 억제제
  
최근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인한 위장장애가 적은 선택적 COX-2 억제제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주 성분은 celecoxib, rofecoxib 등으로 진통, 소염 이외에도 COX-2와 연관된 항암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8)9)10)11)

결     론

   이비인후과 환자의 많은 부분에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이 처방되고 있다. 각 약제는 고유의 성분상 특성이 있으며 다른 약물과 병용 처방시 약물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이런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본 논문이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이해 및 사용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약제의 처방시 상기 위험성을 인지하고 처방하는 것이 약화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홍기환.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및 통풍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In: 김경환 엮음.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제 4 판. 서울: 의학문화사;1998. p.345-64.

  2. Romano M, Claria J. Cyclooxygenase-2 and 5-lipoxygenase converging functions on cell proliferation and tumor angiogenesis: Implications for cancer therapy. FASEB J 2003;17:1986-95.

  3. Chan AT. Aspiri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lorectal neoplasia: Future challenges in chemoprevention. Cancer Causes Control 2003;14:413-8.

  4. Breitner JC. NSAIDs and Alzheimer's disease: How far to generalise from trials? Lancet Neurol 2003;2:527.

  5. Etminan M, Gill S, Samii A. Effect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risk of Alzheimer's diseas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BMJ 2003;327:128.

  6. Hoozemans JJ, Veerhuis R, Rozemuller AJ, Eikelenboom P.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yclooxygenase in Alzheimer's disease. Curr Drug Targets 2003;4:461-8.

  7. Vane JR, Botting RM. New insight into the mode of anti-inflammatory drugs. Inflamm Res 1995;44:1-10.

  8. Gasparini G, Longo R, Sarmiento R, Morabito A. Inhibitors of cyclooxygenase 2: A new class of anticancer agents? Lancet Oncol 2003;4:605-15.

  9. Gately S, Kerbel R. Therapeutic potential of selective cyclooxygenase-2 inhibitors in the management of tumor angiogenesis. Prog Exp Tumor Res. 2003;37:179-92.

  10. Koki AT, Masferrer JL. Celecoxib: A specific COX-2 inhibitor with anticancer properties. Cancer Control 2002;9:28-35.

  11. Graham GG, Graham RI, Day RO. Comparative analgesia, cardiovascular and renal effects of celecoxib, rofecoxib and acetaminophen (paracetamol). Curr Pharm Des 2002;8:1063-75.

  12. Fowles RE. Potential cardiovascular effects of COX-2 selectiv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J Pain Palliat Care Pharmacother 2003;17:27-50.

  13. Bing RJ. Cyclooxygenase-2 inhibitors: Is there an association with coronary or renal events? Curr Atheroscler Rep 2003;5:114-7.

  14. Giovanni G, Giovanni P. Do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COX-2 selective inhibitors have different renal effects? J Nephrol 2002;15:480-8.

  15. Peskar BM. Role of cyclooxygenase isoforms in gastric mucosal defence. J Physiol Paris 2001;95:3-9.

  16. Hochberg MC, Dougados M. Pharmacological therapy of osteoarthriti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2001;15:583-93.

  17. Sleight P. Current options in the managem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m J Cardiol 2003;92:4N-8N.

  18. Cannon CP. Elderly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Higher risk and greater benefit from antiplatelet therapy and/or interventional therapies. Am J Geriatr Cardiol 2003;12:259-62.

  19. Noronha B, Duncan E, Byrne JA. Optimal medical management of angina. Curr Cardiol Rep 2003;5:259-65.

  20. Coomarasamy A, Braunholtz D, Song F, Taylor R, Khan KS. Individualising use of aspirin to prevent pre-eclampsia: A framework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BJOG 2003;110:882-8.

  21. Coomarasamy A, Honest H, Papaioannou S, Gee H, Khan KS. Aspirin for prevention of preeclampsia in women with historical risk factors: A systematic review. Obstet Gynecol 2003;101:1319-32.

  22. Wrathall G, Sinclair R, Moore A, Pogson D. Three case reports of the use of haemodiafiltration in the treatment of salicylate overdose. Hum Exp Toxicol 2001;20:491-5.

  23. Courts NF. Salicylism in the elderly: "A little aspirin never hurt anybody"! Geriatr Nurs 1996;17:55-9.

  24. Glasgow JF, Middleton B. Reye syndrome--insights on causation and prognosis. Arch Dis Child 2001;85:351-3.

  25. Casteels-Van Daele M, Van Geet C, Wouters C, Eggermont E. Reye syndrome revisited: A descriptive term covering a group of heterogeneous disorders. Eur J Pediatr 2000;159:641-8.

  26. Artnak KE, Wilkinson SS. Fulminant hepatic failure in acute acetaminophen overdose. Dimens Crit Care Nurs 1998;17:135-44.

  27. Lewis RK, Paloucek FP. Assessment and treatment of acetaminophen overdose. Clin Pharm 1991;10:765-74.

  28. Flanagan RJ, Meredith TJ. Use of N-acetylcysteine in clinical toxicology. Am J Med 1991;91:131S-139S.

  29. Boelsterli UA. Diclofenac-induced liver injury: A paradigm of idiosyncratic drug toxicity. Toxicol Appl Pharmacol 2003;192:307-22.

  30. Schalnus R. Topical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therapy in ophthalmology. Ophthalmologica 2003;217:89-9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