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6(10); 2003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3;46(10): 815-821.
Studies on Relationships between Inflammatory Cell, Cytokines and Clinical Features in Pediatric Otitis Media with Effusion.
Jeong Hyun Kim, Hee Dae Kim, Soon Ho Bae, Joon Kyoo Lee, Chang Guk Kim, Ae Sun Na, Yong Bum Cho, Seong Jin Ya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choyb@chonnam.ac.kr
2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소아 삼출성 중이염에서 임상적 소견과 중이저류액내 염증세포 및 Cytokine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김정현1 · 김희대1 · 배순호1 · 이준규1 · 김창국1 · 나애선1 · 조용범1 · 양성진2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진단검사의학과학교실2;
주제어: 삼출성 중이염CytokinesInterleukin 6Interleukin 10Tumor necrosis factor-α.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Retens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cytokines in the middle ear cleft can result in ongoing chronic otitis media with effus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se inflammatory cells and cytokines in the middle ear effusion (MEE) of children with otitis media with effusion.
MATERIALS AND METHOD:
We analyzed 46 pediatric middle ear effusion samples for IL-6, IL-10, TNF-alpha and inflammatory cells and trie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these cytokines, inflammatory cells and clinical features.
RESULTS:
1) The concentration of TNF-alphain MEE from children younger than 2 yea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s of children older than 2 years (p<0.05). 2) The concentration of TNF-alpha in MEE of preoperative medic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vels of non-medication group (p<0.05). 3) The concentration of IL-6 in MEE of the ears with hearing threshold poorer than 35 d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s of the ears with hearing threshold better than 35 dB (p<0.05).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NF-alpha and IL-6 are intimately involved in the inflammatory cascade of the middle ear and suggest regulation of these cytokines as possible sites of future therapeutic intervention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Keywords: Otitis media with effusionCytokinesInterleukin 6Interleukin 10Tumor necrosis factor-alpha

교신저자:조용범, 501-190 광주광역시 동구 학1동 8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62) 220-6776 · 전송:(062) 228-7743 · E-mail:choyb@chonnam.ac.kr

서     론


  
삼출성 중이염은 이통이나 발열 등의 급성 증상이 없이 중이강 내에 삼출액이 고이는 중이염의 일종으로 소아에서는 상기도 감염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고 또한 이 연령군에서 항생제요법 및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기도 하다.
   삼출성 중이염의 병인으로는 이관의 기능장애, 세균감염, 알레르기, 환경적요인, 면역체계의 이상 등이 알려져 있다. 삼출성 중이염이 만성화되는 데에는 중이강내의 국소 염증 및 면역반응의 지속이 그 원인 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따라서 최근에는 중이강내의 염증세포 및 염증의 매개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만성 삼출성 중이염의 중이저류액내의 염증세포로는 중성구 및 대식세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런 세포의 산물이 삼출성 중이염의 만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1)2) 최근에는 염증의 강력한 매개체이며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당단백질인 cytokine이 만성 삼출성 중이염의 병인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이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며 cytokine은 바이러스나 내독소 등에 반응하여 대식세포, 호중구, 림프구 등에서 생성되어 삼출성 중이염의 이환기간동안 중이내의 지속적인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중이내 점막변화 및 섬유화, 골 침식, 청력저하 등을 유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5)
   현재까지 중이저류액내에서 검출된 cytokine에는 TNF-α, IL-1β, IL-2, IL-4, IL-6, IL-8, IFN-γ, PAF 등이 있다.3)4)5)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중이저류액내의 대표적인 cytokine인 TNF-α,IL-6 및 IL-10의 분포에 대하여 알아보고 또한 중이저류액내의 염증세포의 분포에 대한 분석 및 삼출성 중이염환아의 임상적 소견간의 상호 연관성을 연구하여 이러한 cytokine 및 염증세포의 소아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및 만성화에 대한 병인론적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2년 4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삼출성 중이염으로 진단받고 환기관 삽입술을 시행받은 환아 중 검사상 필요한 양 이상의 저류액을 채취할 수 있었던 총 30명 46귀에서 채취한 중이저류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13개월부터 86개월로 평균연령은 58개월이었다. 성별로는 남아 13명, 여아 17명이었다

방  법

중이저류액의 채취 및 보관
  
고막절개 후 중이저류액을 소독된 Juhn Tym-Taps(Xomed Products, Jacksonville, Flo, USA)를 사용하여 흡입하여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저류액에 0.1 M 인산염 완충식염수 1.5 ml를 가하고 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후 하층액은 저류액내 염증세포의 분포를 조사하였으며 상층액은 추후 cytokine정량을 위해 에펜돌프 시험관에 넣어 실험시까지 -7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염증세포의 분석
  
원심분리후 하층액을 slide glass에 도말하여 Wright-Giemsa염색한 후 현미경하(200배)에서 관찰하여 염증세포의 분포를 분석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총단백량과 Cytokine의 정량
  
냉동고에 보관하였던 중이 저류액을 상온에서 녹여 총단백량 및 cytokine의 정량을 시행하였다. 총단백량의 측정은 bicinchonic acid(BCA)방법으로 BCA kit(Sigma chemical co. St Louis, USA)를 사용하였다. BCA용액과 4% CuSO4를 50:1로 하여 200 ul를 96-well에 loading하였다. 1/10로 희석한 단백질 sample과 표준 용액(bovine serum albumin:0.2, 0.4, 0.6, 0.8, 1.0, 1.2 mg/ml)를 각각 10 ul를 loading하고 37℃에서 30분간 둔 다음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ytokine의 정량은 sandwitch효소면역법(Enzyme-linked-immunosorbent assay:ELISA)으로 kit(R & D system Inc,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ELISA plate의 각 well에 cytokine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50 ul(2 ug/ml)씩을 넣어서 각각 coating한 다음 4℃에서 12시간 동안 보존하였다. Cytokine에 대한 항체를 제거하고 나서 비특이반응을 제거하기 위해 차단 용액을 200 ul씩 각 well에 넣어준 후 실온에서 2시간을 배양하고 PBS/Tween buffer로 씻어내고 표준용액과 시료를 100 ul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을 배양하고 PBS/Tween buffer로 씻어 낸 다음 biotinylated anti-cytokine antibody를 100 ul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을 배양하고 PBS/Tween buffer로 씻어 낸 다음 streptavidin-HRP을 1:2000으로 희석하여 100 ul씩 첨가하였다. 다시 PBS/Tween buffer로 씻어 낸 다음 HRP의 기질액을 100 ul씩 첨가한 후 발색이 되면 발색반응은 microplate reader set으로 430 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
   중이 저류액은 점도가 높아 정확한 농도 및 용량을 측정하기가 곤란하여 모든 저류액은 인산염 완충식염수로 희석하여 총단백량 및 cytokine을 측정하였으며 각 검체의 희석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들 cytokine의 농도를 총단백농도로 나누어 각 저류액의 총단백농도에 대한 cytokine의 농도(pg/mg TP)로 각 cytokine을 정량하였다.
   중이염 환아의 임상적 소견(성별, 연령, 일측 혹은 양측성 여부, 고막의 이학적 소견, 중이 저류액의 성상, 수술전 1개월이내 약물치료 여부, 이전 환기간 삽입의 기왕력 유무, 35 dB이상의 청력손실의 유무, 아데노이드 증식증 동반 유무, 만성 부비동염 유무, 구개열 유무 등)과의 연관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는 각 군에서 cytokine의 양성률과 각 군의 평균 cytokine 농도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cytokine에 대한 양성반응은 최저 표준 농도(lowest standard level)이상의 농도인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평균농도는 최저 표준 농도 이하로 결과는 음성으로 나온 경우를 포함한 모든 MEE의 cytokine농도를 포함하였다. 
   TNF-α, IL-6, IL-10의 농도 및 중이저류액내의 염증세포의 분포, 삼출성 통계처리는 SPSS 11.0을 사용하여 각 군에 따라 Mann-Whitney test나 Kruskal-Wallis test, Spearman 상관계수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p value 0.05이하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중이저류액내 Cytokine의 분포
  
효소면역법을 이용하여 중이 저류액내 cytokine의 검출율은 총 46예 중 TNF-α, IL-6, IL-10 각각 23예(50%), 29예(63%), 3예(6%)이었으며 cytokine의 평균 농도는 TNF-α, IL-6, IL-10 각각 81.0±29.9 pg/mg TP, 392.3±92.1 pg/mg TP, 56.9±23.6 pg/mg TP 였다. IL-10은 검출된 환자군이 너무 작아 임상소견등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통계학적인 분석을 시행하지 않았다.

중이저류액내 염증세포의 분포
  
중이 저류액내 염증세포는 주로 중성구, 대식세포, 림프구 등이었으며 중이저류액내 염증세포의 평균 구성비율은 중성구 50.3%, 대식세포 35.5%, 림프구 14.1%이었으며 호산구는 1귀의 중이저류액에서만 관찰되었다. 
   중이저류액의 성상차이에 따른 염증세포의 분포를 보면 장액성인 경우(n=19) 대식세포 30.7%, 중성구 56%, 림프구 13%를 차지하였으며, 점액성인 경우(n=23) 대식세포 37.3%, 중성구 47.2%, 림프구 15.5%이었으며, 장액점액성인 경우(n=4) 대식세포 48.3%, 중성구 40.3%, 림프구 11.5%로 중이저류액의 성상차이와 염증세포의 분포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중이저류액내 염증세포의 분포와 임상적 소견과의 연관성
  
염증세포의 분포와 수술전 약물복용 유무, 35dB이상의 청력감소 동반 유무, 이학적 소견상 고막 함몰 유무, 이전에 환기관 삽입경력의 유무 등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경검사상 고막함몰이 동반되지 않은 36귀의 중이저류액의 염증세포의 분포는 중성구 53.7%, 대식세포 32.0%, 림프구 14.3%이었으며 고막함몰이 동반된 10귀의 중이저류액의 염증세포의 분포는 중성구 37.9%, 대식세포 48.4%, 림프구 13.7%로 고막함몰이 동반된 경우 염증세포의 분포에서 대식세포의 비율이 의의있게 증가하는 소견과 중성구는 감소하는 소견을 보였다(p<0.05)(Fig. 1). 그 외 다른 변수와 염증세포의 분포간에 의의있는 상관성은 없었다.

중이저류액내 Cytokine의 분포와 임상적 소견과의 연관성

성  별
   TNF-α는 남자(22귀) 48.8±7.7 pg/mg TP, 여자(24귀) 110.6±41.0 pg/mg TP이며 IL-6인 경우 남자 476.1±109.4 pg/mg TP, 여자 315.4±74.3 pg/mg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나  이
  
24개월 미만의 소아(10귀)인 경우 TNF-α의 평균농도는 304.8±60.9 pg/mg TP이고 IL-6의 평균농도는 606.5±105.9 pg/mg TP이었으며 24개월 이상의 소아(36귀)의 TNF-α의 평균농도는 18.9±40.4 pg/mg TP이고 IL-6의 평균농도는 332.8±88.6 pg/mg TP로 24개월 미만의 소아인 경우 TNF의 농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상관계수 분석결과에서도 나이가 어릴수록 TNF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Fig. 2).

양측성
   TNF-α는 일측성인 14귀의 평균농도는 158.3±53.0 pg/mg TP, 양측성인 32귀의 평균농도는 47.3±91.7 pg/mg TP이며 IL-6인 경우 일측성인 경우의 평균농도는 357.8±88.5 pg/mg TP, 양측성인 경우의 평균농도는 407.4±95.0 pg/mg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막의 이학적 소견(고막 함몰)
  
TNF-α는 이학적 소견상 고막 함몰이 동반되지 않은 36귀의 평균 농도는 101.5±341.6 pg/mg TP, 고막 함몰소견이 동반된 10귀의 평균 농도는 13.8±24.0 pg/mg TP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IL-6는 이학적 소견상 고막 함몰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의 평균 농도는 461.3±103.7 pg/mg TP이고 고막 함몰이 동반되었던 군에서는 190.0±307.3 pg/mg TP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이저류액의 성상
   TNF-α는 중이저류액이 장액성인 19귀의 경우 평균 농도가 60.9±11.2 pg/mg TP, 장점액성인 4귀의 경우 평균 농도가 12.6±24.3 pg/mg TP, 점액성인 23귀의경우 112.2±41.3 pg/mg TP이고, IL-6는 장액성인 경우 326.4±56.0 pg/mg TP, 장점액성인 경우 111.9±161.6 pg/mg TP, 점액성인 경우 505.7±120.6 pg/mg TP로 중이저류액의 성상과 TNF-α, IL-6 농도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다.

수술전 약물 복용
   TNF-α는 환기관 삽입수술전 1개월 이내에 약물복용한 과거력이 없는 경우(19귀) 평균농도가 165.1±45.7 pg/mg TP이었으며 수술전 1개월 이내에 약물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27귀) 평균농도는 21.9±4.6 pg/mg TP로 수술전 약물복용한 경우 TNF-α농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Fig. 3).
   IL-6의 평균농도는 환기관 삽입수술전 1개월 이내에 약물복용한 과거력이 없는 경우(19귀) 평균농도가 453.0±81.7 pg/mg TP이었으며 수술전 1개월 이내에 약물복용한 과거력이 있는 경우(27귀) 평균농도는 349.5±100.0 pg/mg TP이었다.

이전 환기관 삽입술의 경력
   TNF-α는 이전에 환기관 삽입술의 경력이 없었던 41귀의 평균농도는 89.0±31.7 pg/mg TP이었으며 이전에 환기관 삽입술의 경력이 있었던 5귀의 평균농도는 16.3±17.1 pg/mg TP이었다. IL-6는 이전에 환기관 삽입술의 경력이 없었던 41귀의 평균농도는 411.1±96.7 pg/mg TP이었고 이전에 환기관 삽입술의 경력이 있었던 5귀의 평균농도는 238.0±38.6 pg/mg TP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청  력
   TNF-α는 청력감소가 없었던 28예에서는 평균 농도가 80.7±31.9 pg/mg TP, 35 dB이상의 청력감소 소견을 보였던 6귀에서는 83.5±108.0 pg/mg TP이었다. IL-6는 청력감소가 없었던 군에서는 평균 농도가 303.5±936.7 pg/mg TP, 35 dB이상의 청력감소가 있었던 군에서는 806.9±749.5 pg/mg TP로 청력 감소가 있었던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IL-6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p<0.05)(Fig. 4).

아데노이드 비대
   TNF-α는 아데노이드 비대가 없었던 21귀의 평균 농도는 149.8±43.9 pg/mg TP, 아데노이드 비대가 있었던 25귀의 경우 23.3±4.8 pg/mg TP로 아데노이드 비대가 있는 경우 TNF가 낮은 농도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IL-6는 아데노이드 비대가 없었던 군의 평균 농도는 391.2±77.9 pg/mg TP, 아데노이드 비대가 있었던 군의 평균 농도는 393.1±104.1 pg/mg TP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비동염
   TNF-α는 방사선학적 검사상 부비동염의 소견을 보이지 않았던 29귀의 평균 농도는 118.3±38.0 pg/mg TP, 방사선 촬영상 부비동염의 소견을 보인 17귀의 평균 농도는 22.9±54.1 pg/mg TP로 부비동염의 소견을 보인 환아의 귀에서 TNF-α의 농도가 낮았지만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IL-6는 방사선 촬영상 부비동염의 소견을 보이지 않은 군의 평균 농도는 320/3±69.7 pg/mg TP, 부비동염의 소견을 보인 군의 평균 농도는 533.8±123.5 pg/mg TP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구개열
   TNF-α는 구개열이 없었던 33귀의 평균 농도는 20.0±42.4 pg/mg TP, 구개열이 있었던 13귀의 평균 농도는 234.6±544.0 pg/mg TP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구개열이 있었던 군에서 TNF-α가 높게 나타났다(p<0.05).
   IL-6는 구개열이 없었던 군에서의 평균 농도는 332.6±927.5 pg/mg TP, 구개열이 있었던 군에서의 평균 농도는 570.1±948.6 pg/mg TP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고     찰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 및 만성화 기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으나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최근에는 삼출성 중이염의 병인에 중이강내에서의 cytokine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cytokine은 염증의 매개체이며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cytokine은 발열, 파골세포의 자극 및 골 흡수, 섬유 모세포의 자극 및 섬유화 유발, 대식세포의 자극, 체액성 면역조절 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고,3) cytokine의 중이내에서의 역할이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최근 동물에 실험적으로 cytokine을 투여하여 삼출성 중이염을 유발하였고 중이 조직의 상피하 부종 및 중성구 침윤 같은 병리조직학적인 변화가 초래됨이 보고되었으며 또한 중이내에 항cytokine제재를 함께 투여한 군에서는 병리조직학적으로 염증세포가 감소하는 것이 보고되었다.6)7)8)
   Yellon 등3)은 삼출성 중이염 환자의 중이저류액에서 TNF-α, IL-1β, IL-2, IFN-γ는 검출되었고 IL-4, GM-CSF는 검출되지 않아서 삼출성 중이염의 병인은 특정매개체에 의한 특별한 경로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였지만 Yeo 등9)의 보고에 의하면 IL-4도 33%에서 양성으로 나타나 모든 염증매개체의 비특이적 생산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TNF-α, IL-6, IL-10의 검출을 시도하였는데 TNF-α, IL-6의 검출율은 50%, 63%로 다른 보고에서의 검출율인 TNF-α 43%
~77%, IL-6 64.7%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3)4)5)10) IL-10은 불과 6%에서만 검출되었다. IL-10은 사람 중이내에서 검출은 거의 보고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Hebda 등11)이 보고한 바에 의하면 실험용 쥐의 중이강내에 실험적으로 S.pneumoniae를 감염시킨 후 발생한 삼출성 중이염에서 효소면역법에 의한 중이저류액내의 IL-10의 검출은 급성기에 발현되다가 7일 이상 지나면 거의 발현이 되지 않는 양상으로 다른 cytokine에 비해서 발현되는 시기가 매우 짧은 것을 보고한 바 있어서 본 연구대상의 환아의 삼출성 중이염의 일반적인 이환기간을 고려해 보면 IL-10의 검출율이 매우 낮게 나온 점과 일치하는 결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TNF-α, IL-6는 발현율이 높지만 IL-10은 거의 검출이 되지 않은 점은 삼출성 중이염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 각각의 cytokine의 발현율이 다를 것으로 추정되며 삼출성 중이염의 진행단계에 따라서 각각의 cytokine의 역할 및 cytokine간의 상호작용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NF는 감염이나 종양에서 면역체계의 중요한 매개체로서 주로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중성구 자극, 혈관내피세포와 B림프구 성장억제, 섬유모세포의 증식, 일부 종양의 출혈성 괴사를 일으키며 연골과 골 흡수의 자극, 그리고 이들의 성장억제를 유발하는 등의 작용을 한다.12) 또한 GM-CSF, IL-1, IL-2, IL-6, IL-8과 같은 인터루킨의 생성을 자극하며 collagenase, prostaglandin, pyrogen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랜 이환 기간을 가진 만성 삼출성 중이염 및 2회 이상의 환기관 유치술을 받은 군에서 TNF-α가 높게 측정되어 삼출성 중이염의 만성화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는데,13)14)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환기관 삽입술 기왕력 유무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또한 24개월미만인 경우가 24개월 이상인 소아에서보다 더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Park 등4)이 15세 미만의 소아에서 15세 이상의 성인보다 TNF-α가 더 높게 나온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Yellon 등3)의 연구에서는 소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TNF-α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보고해 본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검출을 시행하지 않은 IL-1α, IL-1β, IL-2 등도 Kim 등,15) Juhn 등16)의 보고에서는 모두 소아에서 높게 나타남을 보고하고 이런 결과에 대해 Juhn 등16)은 소아에서의 면역체계가 완전하지 않아 불필요한 자극을 제어하지 못하고, 면역조절반응이 완전치 않아서 많이 생성된다는 가정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구개열이 있는 환아에서 TNF-α가 높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는 데 Yellon 등3)의 연구에서는 IL-1, IL-2의 농도가 구개열환아에서 높게 나타났었다. 이런 결과로 구개열환아에서의 삼출성 중이염의 면역병리학적 기전이 구개열이 없는 환아에서 발생하는 삼출성 중이염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해 볼 수 있겠지만 본 연구대상의 환아에서 구개열이 있는 환아는 비교적 더 어린 나이에 환기관 삽입술을 시행받으므로 이렇게 상관성있게 나온 결과는 연령요소를 배제한 다변량 분석으로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대상환아의 수가 제한적이어서 다변량 연구를 시행하지 못하여서 추후에 더 많은 검체를 대상으로 한 다변량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술전 1개월 이내에 약물치료를 한 경우에 있어서 약물치료를 하지 않은 군에 비해 TNF-α의 농도가 낮게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Yellon 등,3) Park 등4)의 결과에서 상관관계가 없었던 것과 비교하면 차이를 보였다. 
   IL-6는 활성화 T세포, 대식세포, monocyte, 혈관내피세포, 섬유아세포들이 분비하는 cytokine으로 IL-1 또는 TNF-α의 자극에 의해 생성되며, B세포의 분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골의 재형성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출성 중이염에서의 역할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면역세포에서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하여 중이강에서 세균이나 세균에서 유리된 물질을 제거하는데 관여한다고 추정되었다. Jang 등10)은 소아 삼출성 중이염 환아 중 알레르기 양성군에서 알레르기 음성군에 비해 IL-6가 유의하게 증가함을 보고하고 알레르기성 삼출성 중이염에서 활발하게 작용함을 제시한 바 있으며 Flodin 등17)은 중이염후에 발생되는 고실경화증의 발생에 IL-6가 관여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35 dB이상의 청력감소가 동반된 귀에서 IL-6가 높게 발현되는 결과를 보여 IL-6가 중이강내 점막의 변화 및 섬유화, 골 미란 등 청력감소를 초래할 중이강내 병리학적 변화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의 보고에서 IL-6의 발현과 청력감소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한 연구가 없었으며 청력감소가 동반된 더 많은 검체를 대상으로 한 검증 및 실험적으로 IL-6를 중이강에 투여하여 병리조직학적인 변화 등을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L-10은 주로 T-helper(Th2)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도 분비된다. IL-10의 기능은 대식세포에 의한 TNF-α,IL-1, IL-12의 생산을 억제하며 class II분자나 B7과 같은 costimulator의 발현을 억제하고 T 프구 매개성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또한 B 림프구에 작용하여 항체의 생성을 촉진시키기도 한다.18) 본 연구에서는 IL-10과 다른 cytokine발현의 상관관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나 본 연구결과 불과 3귀에서만 IL-10이 양성으로 나타나 다른 cytokine과의 연관성을 찾기 힘들었으며 IL- 10에 대해서는 통계처리를 시도하지 않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원심분리후 하층액에서 세포를 모아 현미경하에서 염증세포의 분포를 조사한 결과 중이저류액의 염증세포는 중성구 및 대식세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이런 결과는 다른 연구자가 보고한 결과한 것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19)20) Juhn 등1)은 실험적으로 유발한 장액성 중이염에서 초기에는 중성구가 주를 이루다가 시간이 경과하면 대식세포가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한다고 보고하였으며, 장액성 중이염에서는 세포의 수가 적고 점액성 중이염에서는 중이저류액내에 잔존 세포가 많음이 보고된 바 있다.2) 본 저자들은 중이저류액을 장액성, 장액점액성, 점액성으로 분류하여 저류액의 성상에 따라 세포의 구성비율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을 하였는데 장액성인 경우에 비해 점액성인 경우 중성구의 비율이 감소하고 대식세포의 비율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서 이학적 소견상 고막 함몰이 동반된 군에서는 고막함몰이 없는 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고막 함몰이 발생하는 비교적 진행된 삼출성 중이염에서 대식세포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실험적으로 삼출성 중이염을 유발시킨 경우에 있어서는 그 이환 기간이 정확할 것이나 대학병원에 내원하는 삼출성 중이염의 발생시기나 이환기간을 정확히 기술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서 그 질병의 이환기간과 염증세포의 분포를 직접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성별, 양측성 유무, 이전에 환기관 삽입술의 기왕력 유무, 아데노이드 비대 유무, 부비동염의 동반 유무 등은 Yellon 등,3) Park 등4)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cytokine의 농도와는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저자들은 중이저류액에서 TNF-α, IL-6가 삼출성 중이염의 병인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IL-6가 청력감소가 있는 군에서 높게 나타나 IL-6가 중이내에서 점막손상 및 섬유화, 골미란 등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또한 고막 소견상 고막함몰이 있는 군에서 고막함몰이 없는 군에 비해 저류액내 염증세포중 대식세포의 구성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진행된 삼출성 중이염에서 대식세포의 역할이 클 것으로 사료되었다.


REFERENCES

  1. Juhn SK, Sipila P, Jung T, Edlin J. Biochemical pathology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Acta Otolaryngol (Stockh) 1984;Suppl 414:45-51.

  2. Yamanaka N, Somekawa Y, Suzuki T, Kataura A. Immunologic and cytologic studies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Acta Otolaryngol (Stockh) 1987;104:481-6.

  3. Yellon RF, Leonard G, Marucha PT, Craven R, Carpenter RJ, Lehmann WB, et al. Characterization of cytokines present in middle ear effusions. Laryngoscope 1991;101:165-9.

  4. Park CW, Lee SH, Choi JS, Jeong SW, Park HK. Relations between the concentractions of IL-1βand TNF-α and clinical features in middle ear effusions. Korean J Otolaryngol 2001;44:576-82.

  5. Maxwell KS, Fitzgerald JE, Burleson JA, Leonard G, Carpenter R, Kreutzer DL. Interleukin-8 expression in otitis media. Laryngoscope 1994;104:989-95.

  6. Lee DH, Park YS, Jung TK, Yeo SW, Choi YC, Jeon EJ. Effect of tumor necrosis factor-α on experiment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Laryngoscope 2001;111:728-33.

  7. Kim BG, Park YS, Jung DG, Park SY, Yeo SW, Chae SY. Experiment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induced by interleukin 2. Korean J Otolaryngol 2001;44:21-5.

  8. Chang KH, Yeo SW, Suh BD.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 10 in the middle ear effusion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e middle ear mucosa in the rats with experiment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1998;41:703-11.

  9. Yeo SW, Park KH, Kim KS, Lee KH, Ahn JS, Suh BD. Demonstraction of interleukin 2, interleukin 4, interleukin 7 and interleukin 2 receptor (CD25)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1995;38:501-5.

  10. Jang CH. Characterization of cytokines present in pediatric recurrent otitis media with effusion: Comparison of allergy and nonallergy. Korean J Otolaryngol 2000;43:808-12.

  11. Hebda PA, Piltcher OB, Swarts JD, Alper CM, Zeevi A, Doyle WJ. Cytokine profiles in a rat model of otitis media with effusion caused by eustachian tube obstruction with and without streptococcus pneumoniae infection. Laryngoscope 2002;112:1657-62.

  12. Beutler B, Cerami A. The biology of cachectin/tumor necrosis factor-a pri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 Rev Immunol 1989;7:625-55.

  13. Himi T, Suzuki T, Kodama H. Immunologic characteristics of cytokines in otitis media with effusion. Ann Otol Rhinol Laryngol 1992;101:21-5.

  14. Johnson MD, Fitzgerald JE, Leonard GL. Cytokines in experimental otitis media with effusion. Laryngoscope 1994;104:191-6.

  15. Kim DI, Park IS, Kim HJ, Jung YG, Rho YS, Lim HJ, et al. The roles of cytokines influencing otitis media with effusion. Korean J Otolaryngol 1995;38:1676-82.

  16. Juhn SK, Tolan CT, Garvis WJ. The levels of IL-1β in human middle ear effusions. Acta Otolaryngol 1992;493:37-42.

  17. Flodin MF, Hultcrantz M. Possible inflammatory mediators in tympanosclerosis development. Int J of Ped Otolaryngol. 2002;63:149-54.

  18. Abbas AK, Lichtman AH, Pober J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In: Cytokines. 2nd ed. Philadelphia: Saunders;1994. p.239-60.

  19. Wezyk MT, Makowski A, Krawczyk T. Cytological picture of fluid collected from middle ear course of o.m.s. in children. Otolaryngol Pol 2000;54:431-7.

  20. Rinaldo A, Ferlito A. The path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glue ear: A review.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0;257:300-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