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5(6); 2002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2;45(6): 589-593.
Laser-Assisted versus Coblation-Assisted Partial Turbinoplasty: Comparison by Their Postoperative Outcome.
Soon Kwan Hong, Sun Ok Yoon, Su Kyoung Park, Ji Yeon Son, Eun A Kim, Yoon Hee Cho, Jee Yun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soonkwan@unitel.co.kr
레이저 대 Coblation 하비갑개성형술:수술 성적에 의한 비교 연구
홍순관 · 윤선옥 · 박수경 · 손지연 · 김은아 · 조윤희 · 김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레이저Coblation하비갑개성형술.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Conventional turbinoplasty and laser-assisted partial turbinoplasty (LAPT) are commonly performed to control nasal obstruction secondary to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Coblation, one of radiofrequency electrosurgeries,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as a new treatment modality for turbinate surgery.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outcome of Coblation-assisted partial turbinoplasty (CAPT) with that of LAPT.
MATERIALS AND METHOD:
Forty-one patients with nasal obstruction due to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refractory to medical therapy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with a follow-up period of 6 months. Twenty-one patients (42 sides) were treated with LAPT, and 20 patients (39 sides) with CAPT. Postoperative changes in degree of nasal obstruction, minimal cross-sectional area (MCA) and nasal volume from the nostril to 5 cm posteriorly (V5), operation time, duration of crust formation, operation-associated pain, intraoperative bleeding and episodes of delayed bleeding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surgical methods.
RESULTS:
Crust was formed for a shorter postoperative period and operation-associated pain was less in the LAPT group. Nasal patency (MCA and V5) was more improved and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CAPT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nasal obstruction and operation-associated bleeding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orough knowledge of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LAPT and CAPT is required for clinicians to make appropriate use of surgical tools for the given patient characteristics and medical environment.
Keywords: LasersCoblationTurbinoplasty

교신저자:홍순관, 158-710 서울 양천구 목6동 911-1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650-5010 · 전송:(02) 2649-5595 · E-mail:soonkwan@unitel.co.kr

서     론


   비폐쇄를 유발하는 하비갑개의 만성적 비후에 대한 치료에는 보존적 및 외과적 치료법이 있다. 비점막 혈관수축제의 경구 복용,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비강 분무, 스테로이드의 하비갑개 주사 등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을 경우 하비갑개의 외측골절전이(out-fracture), 전기 혹은 약물 소작, 점막 하 온열수술, 하비갑개성형술, 하비갑개의 부분 혹은 전 절제술 등의 외과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전통적인 하비갑개성형술은 과도한 골과 연 조직을 절제한 후 점막 피판으로 절제면을 덮음으로써 출혈과 상처치유 면에서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1) CO2 레이저를 이용한 하비갑개성형술(laser-assisted partial turbinoplasty;이하 LAPT)은 전통적인 방법에 비하여 하비갑개를 감소시키는 양은 적지만 비폐쇄 개선 면에서는 비슷한 효과를 보이는 유용한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2)3) 최근 신경외과, 심장내과, 비뇨기과, 종양학과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무선주파(radiofrequency)를 하비갑개성형술에 적용하여 특별한 합병증 없이 환자의 비폐쇄 및 하비갑개 비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연구들이 보고되었다.4)5)6)7)8)9) Coblation 하비갑개성형술(Coblation-assisted partial turbinoplasty;이하 CAPT)도 이와 같은 radiofrequency를 이용한 수술방법으로서 소개되었으나10) 임상적인 면에서 기존의 수술방법들과 뚜렷이 비교되어 보고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하비갑개의 만성적 비후 환자에 대하여 LAPT 혹은 CAPT를 시행한 후 그 수술성적을 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각 장단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0년 9월부터 2001년 6월 사이에 비폐쇄를 주소로 본원 이비인후과를 내원한 환자 중 비중격기형,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상기도 감염 및 전신 질환 등 다른 동반 질환이 없고 1~3개월 간의 비점막 혈관수축제의 경구 복용(pseudoephedrine 3 mg/kg/day),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비강 분무(fluticasone propionate nasal spray, 100~200 μg/day) 및 식염수 분무 등의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아서 LAPT 혹은 CAPT를 시행받았던 하비갑개 만성 비후 환자 41명과 그 81측의 비강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과거에 비강 수술을 받았던 환자는 제외하였다. 이들은 모두 수술 6개월까지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환자들이다. LAPT는 21명(42측)에서 시행되었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29.7세(17~60세), 남녀 비는 19:2이었다. 또한 CAPT는 20명(39측)에서 시행되었고 평균 연령은 31.8세(17~52세), 남녀 비는 17:3이었다.

방  법

LAPT 방법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1:1,000 epinephrine과 2% lidocaine이 반씩 섞인 용액을 묻힌 면거즈를 비강 속에 충분히 넣어 약 30분간 국소 마취한 후 면거즈를 제거하였다. CO2 레이저(Model 30C;Sharplan Lasers Inc., Allendale, NJ)를 사용하여 4~7 W 강도에서 연속(continuous), 비초점(defocusing) 및 비접촉 양식으로 하비갑개 전방 1/3부위의 점막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우선 straight tip(No. 14631;Sharplan Lasers Inc.)으로 하비갑개 전단을 조사한 다음, 우측 하비갑개인 경우에는 straight tip with 90° right-hand mirror(No. 14632)로, 좌측 하비갑개인 경우에는 straight tip with 90° left-hand mirror(No. 14633)로 하비갑개 측면을 조사하였다.

CAPT 방법
   LAPT와 같은 방법으로 면거즈로 국소 마취한 후 ENTec Coblator Plasma Surgery System(Arthrocare, Sunnyvale, CA)의 ReFlex 45 wand(Arthrocare)를 사용하였다. ReFlex 45 wand를 하비갑개 전단으로부터 하비갑개의 약 1/3길이 만큼 점막 하로 삽입한 후 4~6의 출력 수준(output power level)으로 10~15초간 시술하였다.10) 이 과정을 하비갑개 한 측당 2~3곳에 시행하였다. 이때 환자가 통증을 느끼면 epinephrine이 1:100,000 농도로 섞여 있는 2% lidocaine 혼합 용액을 약 1~2 ml 국소침윤 마취하였다.
   LAPT 및 CAPT 두 군 모두에서 술 후 통원치료 시 가피가 용이하게 제거될 때까지 무리한 제거는 하지 않았는데, 가피가 제거될 때까지는 1주일 간격으로 통원치료를 하였고 그 이후는 1개월 간격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술 후 1~2주간의 비점막 혈관수축제(pseudoephedrine 3 mg/kg/day)와 점액용해제(acetylcyteine 400~600 mg/day)의 경구 복용 및 약 4주간의 식염수 분무를 하도록 하였다.

LAPT와 CAPT의 비교방법

각 군에서 비폐쇄감 및 비개존성의 수술 전후 비교
   비폐쇄감은 100 mm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하여 각 비강에 대하여 구하였다. 종이에 그려진 100 mm 선을 환자에게 보여주고 0 mm는 전혀 코가 막히지 않은 상태, 100 mm는 완전히 코가 막힌 상태라고 환자에게 상상케 한 후, 환자의 비폐쇄감 정도를 직접 연필로 100 mm 선상에 표시하게 한 다음 0 mm에서 그 표시점까지의 거리를 자로 측정함으로써 구하였고, 단위는 편의상 mm대신 점(score)으로 나타내었다.
   비개존성은 Eccovision Acoustic Rhinometer(Model AR-1003;Hood Laboratories, Pembroke, MA)를 이용한 음향비강통기도검사로 구하였다. 환자를 편안한 상태에서 의자에 바르게 앉게 하고 환자 몸과 nosepiece의 장축이 약 15도 정도를 유지하게 한 후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검사하였다. Nosepiece를 비전정부에 밀착하되 비전정부가 찌그러지지는 않도록 주의하였다. 각 비강에 대하여 최소단면적(minimal cross-sectional area, 이하 MCA라 함)과 비공으로부터 후방 5 cm까지의 비강용적(이하 V5라 함)을 구하였다.
   각 군에서 비폐쇄감, MCA, V5의 수술 전 값과 수술 6개월 후의 값을 Wilcoxon matched-pairs test로 비교하였다.

비폐쇄감 및 비개존성의 두 군간 비교
   위에서 구한 비폐쇄감, MCA, V5의 술 전 값과 술 후 값 및 각 값의 수술 전후 변화정도(각각 비폐쇄감, MCA, V5라 함)에 대하여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Mann-Whitney test로 비교하였다.

수술 소요시간, 가피형성 기간, 통증, 출혈의 두 군간 비교
   마취시간을 제외한 수술 소요시간(분), 수술 후 가피 형성기간(주)에 대하여 두 군간의 차이를 Mann-Whitney test로 비교하였다. 또한 수술 시의 통증 유무, 출혈 유무, 수술 후 지연성 출혈 유무에 대하여 두 군간의 차이는 Fisher's exact test로 비교하였다. 면거즈로 국소 마취한 후 LAPT 혹은 CAPT를 시행할 때 환자가 통증을 느껴 국소침윤 마취가 필요했을 경우 수술 시 통증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고, 수술 시 혹은 수술 직후 비강 패킹이 필요할 정도의 하비갑개 출혈이 있는 경우를 수술 시 출혈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또한 수술 후 귀가한 후 출혈이 있어서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지혈을 한 경우를 지연성 출혈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한편 모든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5%로 하였다.

결     과

각 군에서 비폐쇄감 및 비개존성의 수술 전후 비교(Table 1)
   LAPT군의 비폐쇄감, MCA, V5는 술 전 79.1±8.2점, 0.49±0.14 cm2, 5.26±2.28 cm3에서 술 후 26.4±14.1점, 0.63±0.10 cm2, 5.83±1.66 cm3로 변화하였는데 이 차이는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test). 또한 CAPT군의 비폐쇄감, MCA, V5는 술 전 80.7±11.0점, 0.49±0.20 cm2, 5.11±2.08 cm3에서 18.7±6.4점, 0.78±0.15 cm2, 6.15±1.70 cm3로 변화하였는데 이 차이도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Wilcoxon matched-pairs test). 즉 두 군 모두에서 비폐쇄감과 비개존성이 의미 있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폐쇄감 및 비개존성의 호전도에 대한 두 군간 비교(Table 1)
   LAPT군의 술 전 및 술 후 비폐쇄감, MCA, V5 값은 CAPT군의 각 해당 값과 비교하여 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또한 LAPT군의
비폐쇄감(48.0±23.3점)은 CAPT군의 비폐쇄감(58.1±20.4점)과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Mann-Whitney test). 그러나 LAPT군의 MCA(0.13±0.12 cm2)와 V5(0.52±1.96 cm3)는 CAPT군의 MCA(0.27±0.15 cm2)와 △ V5(0.98±1.15 cm3)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p<0.05, Mann-Whitney test). 즉 비폐쇄감의 개선정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으나 비개존성의 개선정도는 CAPT군에서 더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수술 소요시간, 가피형성 기간, 통증, 출혈의 두 군간 비교(Table 2)
   LAPT군의 수술 소요시간과 가피형성 기간은 5.6±1.2분, 1.9±0.6주이었고 CAPT군에서는 각각 3.2±1.0분, 3.2±0.9주이었으며 이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Mann-Whitney test). 또한 LAPT군의 42측 중 2측(4.8%)에서 수술 시 통증이 있었고 CAPT군에서는 39측(100.0%) 모두 국소침윤 마취를 필요로 하는 통증이 있었는데 이 차이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Fisher's exact test). 그러나 수술 시의 출혈이나 수술 후 지연성 출혈 면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Fisher's exact test)(Table 2). 즉 LAPT군에 비하여 CAPT군에서 수술 소요시간은 짧고 가피형성 기간은 길며 수술에 따르는 통증도 많으나 수술 시 혹은 수술 후 출혈에 있어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고     찰

   전통적인 하비갑개성형술은, 비폐쇄를 유발하면서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적인 하비갑개 비후에 대하여 효과적인 외과적 치료방법이다.1) 그러나 수술과 관련된 통증, 출혈, 가피형성, 유착, 염증, 건조감 등의 문제를4)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덜 침습적인 하비갑개성형술이 최근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레이저를 이용한 수술방법도 그 중 하나로써 점막의 생리기능을 비교적 보존시키면서 비폐쇄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2)3) 또한 무선주파에 의해 간접적으로 저온의 열이 발생하여 조직이 흡수됨으로써 하비갑개 비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들도 소개되었다.4)5)6)7)8)9)10) 즉 무선주파는 전기소작(450~600°C)이나 레이저(300~600°C)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40~100°C의 저온의 열을 발생함으로써 병변 주위에 대한 열 손상이 적고,10) 또한 하비갑개 점막하층에서 작용하므로 점막층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9) Somnus system(Somnus Medical Technologies, Sunnyvale, CA)은 먼저 소개된 무선주파 장비로써 이를 이용한 하비갑개성형술 효과에 대하여는 비교적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다.4)5)6)7)8)9) 즉 이를 이용한 하비갑개성형술 후 비폐쇄 및 비개존성은 개선되고4)5)6)7)8)9) 점막 생리기능 및 상피는 비교적 보존되며8)9) 레이저 하비갑개성형술에 비하여 증상 개선이 더 일찍 이루어진다고 보고되었다.8) 그 이후 등장한 Coblator system은 단극(unipolar) 방식인 Somnus system과는 달리 양극(bipolar) 방식을 취함으로써 좀더 병변 특이적으로 작용한다고 하나10) 다른 수술방법과의 장단점에 대하여 뚜렷이 비교되어 있지는 않다.
   Coblation이란 냉절제(cold ablation) 혹은 조절 절제(controlled ablation)를 뜻하는 신조어이다. 조직과 전극사이에 등장성 식염수를 넣은 후 무선주파를 주면 plasma라고 부르는 전리 증기층(ionized vapor layer)이 형성되어 조직과 전극사이에 전위차가 만들어진다. 이때 전극을 띤 입자들이 조직 내로 침투하여 세포의 분자 연결을 분리시키고 저온의 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분자구조의 해리와 저온의 열이 조직의 절개 및 열응고 흡수를 가능하게 한다.10) 따라서 Coblation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하비갑개성형술 외에 수면무호흡증의 치료를 위하여 연구개나 설근의 부피를 감소시킬 경우 및 편도적출술 등에도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술 6개월 후 LAPT군과 CAPT군 모두에서 비폐쇄감과 비개존성이 의미 있게 개선되었고 비폐쇄감의 개선정도( 비폐쇄감)는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비개존성의 개선정도( MCA 및 V5)는 CAPT군에서 더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증상의 개선정도는 두 군에서 비슷하나 객관적인 하비갑개 부피의 감소량은 LAPT보다 CAPT에서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음향비강통기도검사를 통한 객관적인 척도들이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과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Rhee 등8)은 레이저 하비갑개성형술 시행 시 8주 후에 증상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여 Somnus system에 의한 하비갑개성형술 시행 시 2~3일만에 증상이 개선되며, 그러나 비개존성은 수술 8주 후 두 군에서 모두 현저하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수술 전과 6개월 후만을 비교하여 어느 군에서 더 일찍 증상개선이 이루어지는지를 파악하지는 못하였으나 장기간의 관찰에서는 증상변화 결과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CO2 레이저를 사용한 데 대하여 Rhee 등8)은 diode 레이저를 사용하였던 점이 방법상의 차이점이었다.
   CAPT는 단지 ReFlex 45 wand를 하비갑개 당 2~3곳 삽입하여 10~15초간 작동시킴으로써, 점막표면을 전반적으로 기화시키는 LAPT보다 수술 소요시간이 짧았다. 그러나 CAPT군에서 가피형성 기간은 길었는데, 이 결과는 저자들이 연구를 시작할 때의 예상과는 반대였다. 이는 삽입한 wand의 위치와 관련이 있지 않나 생각한다. 즉 wand를 점막 하로 삽입할 때 점막표면 매우 가까이에 wand가 위치하면 점막표면이 미란(erosion)되어 가피가 오래 지속되고 치유기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다.11) 따라서 CAPT 시행 시에는 wand를 점막표면에 너무 가깝지 않게 삽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CAPT군에서 수술 시의 통증이 많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국소침윤 마취가 필요한 경우를 통증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CAPT 시행 시 국소침윤 마취 후에는 별 통증이 없었고, 따라서 국소침윤 마취 과정을 연구방법상 전처치로 간주하여 배제한다면 CAPT와 관련된 통증은 LAPT와 비슷할 것으로 생각한다. 다만 LAPT에 비하여 CAPT에서 국소침윤 마취 과정이 더 필요하다는 사실은 하나의 취약점일 수 있다. 수술과 관련된 출혈 면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CO2 레이저2)3) 및 Somnus system을 이용한 하비갑개성형술4)5)6)7)8)9)에 관한 연구 보고에서도 두 방법 모두 출혈은 비교적 적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LAPT 후 섬모상피 및 그 점액섬모수송 능력은 일정기간이 지나면 회복이 되고2) Somnus system에 의한 하비갑개성형술 후에도 조직소견, 점액섬모수송 능력 및 섬모운동횟수는 비교적 보존된다고 보고되었다.8)9) 향후 Coblation 하비갑개성형술 후 비폐쇄감의 개선속도, 후각의 개선정도, 점액섬모수송 능력, 섬모운동횟수, 점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에 있어서의 연구도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가피형성 기간 및 수술에 따르는 통증 면에서는 레이저 하비갑개성형술이 유리하고 비개존성의 개선정도 및 수술 소요시간 면에서는 Coblation 하비갑개성형술이 유리하지만 비폐쇄감의 개선정도나 수술에 따르는 출혈 면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두 수술 방법의 특성, 차이점 및 장단점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숙지하여 환자 조건 및 진료상황에 맞추어 수술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Passali D, Lauriello M, Anselmi M, Bellussi L. Treatment of hypertrophy of the inferior turbinate: long-term results in 382 patients randomly assigned to therapy.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108:569-75.

  2. Kubota I. Nasal function following carbon dioxide laser turbinate surgery for allergy. Am J Rhinol 1995;9:155-61.

  3. Inouye T, Nakanoboh M, Tanabe T, Ogura M. Laser surgery for allergic and hypertrophic rhinitis. Ann Otol Rhinol Laryngol 1999;108:3-19.

  4. Li KK, Powell NB, Riley RW, Troell RJ, Guilleminault C. Radiofrequency volumetric tissue reduction for treatment of turbinate hypertrophy: a pilot stud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8;119:569-73.

  5. Utley DS, Goode RL, Hakim I. Radiofrequency energy tissue ablation for the treatment of nasal obstruction secondary to turbinate hypertrophy. Laryngoscope 1999;109:683-6.

  6. Smith TL, Correa AJ, Kuo T, Reinisch L. Radiofrequency tissue ablation of the inferior turbinate using a thermocouple feedback electrode. Laryngoscope 1999;109:1760-5.

  7. Fischer Y, Gosepath J, Amedee RG, Mann WJ. Radiofrequency volumetric tissue reduction (RFVTR) of inferior turbinate: a new method in the treatment of chronic nasal obstruction. Am J Rhinol 2000;21:355-60.

  8. Rhee CS, Kim DY, Won TB, Lee HJ, Park SW, Kwon TY, et al. Changes of nasal function after temperature-controlled radiofrequency tissue volume reduction for the turbinate. Laryngoscope 2001;111:153-8.

  9. Coste A, Yona L, Blumen M, Louis B, Zerah F, Rugina M, et al. Radiofrequency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f turbinate hypertrophy. Laryngoscope 2001;111:894-9.

  10. Woloszko J, Gilbride C. Coblation technology: plasma mediated ablation for otolaryngology applications. Sunnyvale, California: Arthrocare Corp;2000. (procedure CD)

  11. Pazos G, Mair EA. Complications of radiofrequency ablation in the treatment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1;125:462-7.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3,302
View
28
Download
Related article
The Long Term Efficacy of Microdebrider Assisted versus Coblation Assisted Inferior Turbinoplasty.  2011 August;54(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