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2(11); 1999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9;42(11): 1385-1391.
Expressio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in Nasal Polyps.
Seon Tae Kim, Yu Jin Hwang, Hak Hyun Jung, Soon Jae Hwang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Gil Hospital, Gachon Medical School, Inchon, Korea. Rhinokim@ghil.com
2Department of Laboratory of Molecularbiology, Gil Hospital, Gachon Medical School, Inchon, Korea.
3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비용조직에서 낭성섬유증 막전도 조절자(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의 발현
김선태1 · 황유진2 · 정학현3 · 황순재3
가천의과대학 부속 길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1;분자생물학실2;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3;
주제어: 비용낭성섬유증 막전도 조절자(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돌연변이 유전자RT-PCR면역조직화학적 염색.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Cystic fibrosis (CF)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ease caused by mutations in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gene. Nasal polyps are also prominent features of cystic fibr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FTR expression and CF mutation genes in nasal polyps to verify genetic influence in the nasal polyp 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evaluated 30 nasal polyps, 10 recurrent nasal polyps, and 10 inferior turbinates. RT-PCR was done for the CFTR mRNA expression and mutaion genes were studied by RFLP. Immunohistochemical study and western blotting were done for CFTR expression.
RESULTS:
RT-PCR revealed no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s of CFTR transcripts between nasal polyps and nasal turbinates. The expression of CFTR protein was localized on apical portion of some ciliated cells on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showed no differences in expression levels of CFTR protein. Three different mutations (deltaF508, 591 del 18, G551D) were analysed. One case of deltaF508 was detected in the samples. CONCLUSIONS: The expression levels of CFTR mRNA and CFTR protein may not be associ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nasal polyps, but it needs to be studied further on the physiological base. We also need to study further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CFTR mutaion genes and the development of nasal polyps with more mutaional screenings in cDNA levels.
Keywords: Nasal polyp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CFTR)Mutation gene
서론 비용의 발생기전은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주 원인은 감염이다. 알레르기, 비내 해부학적 이상, 신경계 및 혈관계의 이상 변화 등도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최근 비용형성에 있어 유전자 질환의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1) Drake등2)은 60세 일란성 쌍둥이 남자들에서 천식이나 알레르기도 없고 주거 지역과 직업이 달랐으나 비용으로 수술받고 다시 재발하는 성향을 보여서 비용형성에 있어 유전적 경향의 가능성을 보고하였으며, 비용을 동반한 천식환자들에서 인체백혈구항원(human leukocyte antigen, HLA)형에서 유전적 경향을 보여 준다고 보고하였다. Moloney등3)은 비용을 갖는 29명의 환자에서 인체백혈구항원형 분류를 한 결과 비용과 더불어 천식과 아스피린 과민증을 갖는 환자에서 A1/B8의 발생이 높다고 하였고, Speleman등4)은 10세 여아의 비용에서 여분의 여러 개의 염색체가 증가하여 이러한 염색체의 변화에 의한 유전자형의 변화를 보여주어 세포 유전학적인 변화가 비용형성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낭성섬유증(cystic fibrosis)은 서구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상염색체 열성질환으로, 외분비선에 분포하는 낭성섬유증 막전도 조절자(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regulator, CFTR)의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하여 정상적인 기능이 일어나지 않아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CFTR 단백은 염소(Cl -)의 이동 통로 기능을 하며 주로 췌장과 땀샘의 상피세포에 존재하거나, 기도 점막하부에 있는 분비선 등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낭성섬유증은 전신증상을 초래하는데 췌장 외분비 기능부전, 만성 진행성 폐쇄성 폐질환, 땀에서의 전해질의 과다분비 등의 증상을 나타내며 청소년기나 성인 초기에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 질환으로 백인에서는 1 /3,000의 비율로 발생한다. 낭성섬유증은 염색체 7번의 장완(q31)에 있는 정상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한 것으로 밝혀진 이래 약 400개 이상의 돌연변이 유전자가 알려져 있다. 특히 exon 10에서 염기 서열중 508번째에서 phenylalanine에 해당하는 CTT 세 염기쌍이 결실된 ΔF508이 70%로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낭성섬유증 환자의 30%에서 비용이 발생되어 이러한 환자에서 비용발생에 관계되는 돌연변이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아직까지 비용과 관련이 있는 특정한 유전형은 확실히 발견되지 않았다.1) 이에 저자는 비용과 하비갑개에서 CFTR의 분포를 관찰하고, CFTR유전자의 돌연변이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비용 형성의 원인으로 유전적 배경의 가능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대상은 비용을 동반한 부비동염 환자에서 임상증상, 도말검사, 피부반응검사와 혈액검사에서 알레르기 비염이 없는 경우에 내시경 수술로 얻은 비용 30례와 술 후 재발한 비용 10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 26례, 여자 14례 이었고, 연령분포는 16세부터 65세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7세이었다. 대조군은 비중격 교정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채취한 편측의 정상 하비갑개 점막 5례와 만성비후성비염 환자의 하비갑개 점막 5례를 사용하였다. 방법 CFTR의 발현 총 RNA의 추출 및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NA를 추출하기 위하여 D용액(4.2M guanidine isothiocyanate, 0.75 M sodium citrate, 10% Sarcosyl, diethylpyrocarbonate(DEPC) water) 20 ml에 2M sodium acetate, DEPC-saturated phenol, β-mercaptoethanol을 첨가한 후 각각의 조직을 100 mg정도 넣고 유리 동질화기를 이용하여 균질화시켰다. Chloroform을 첨가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취한 후 -20℃에서 이소프로파놀(Sigma, St, Louis, Mo, USA)을 넣고 1시간 정도 배양한 후 다시 원심분리하여 총 RNA로 된 침전물을 얻었다. 이것을 70% 에탄올로 세척한 후 원심분리하여 만든 침전물을 증류수 50 μl에 녹인 후 흡광광도계(Beckman, Fullerton, CA, USA)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NA의 농도를 정량하였다.5) 이중 RNA 2 μg에 MMLV(Moloney murine leukemia virus, Life Technologies, Gaithersberg, MD, USA) 역전사 효소, 5x RT buffer, 10 mM dNTPs, RNase inhibitor, random hexamer등을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94℃에서 5분간 불활성화시켜 cDNA를 합성하는 역전사 반응을 시행하였다. cDNA을 이용하여 exon 4에서 CFTR 유전자의 발현을 보기위해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5 μl의 cDNA에 10x PCR reaction buffer, 25 mM MgCl2, 2.5 mM dNTPs, 각각 20 pmol의 CFTR sense와 antisense primer, 또는 β-actin의 sense와 antisense primer, Taq polymerase, 증류수등을 넣어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사용하였다(Table 1, Fig. 1).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Gene Amp PCR system 2400(Perkin Elmer, USA)에서 94℃에서 5분간 변성시킨 후 94℃에서 45초, 55℃에서 30초, 72℃에서 1분 주기로 약 35회 증폭한 후 최종 72℃에서 약 7분간 반응을 연장시켰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cDNA대신 증류수와 반응액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2%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을 한 후 ethidium bromide(Boerhinger mannheim, Germany) 용액으로 30분간 염색하여 확인하였다. 총 RNA의 파괴여부 및 상대적 정량비를 구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 β-actin을 사용하여 각각의 중합효소반응 띠의 밝기를 농도분석기(Image analyser, Bio-Profile, Vilber Lournat, France)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파라핀 포매조직을 자일렌을 사용하여 탈파라핀화 한 후 100%, 75% 알코올로 함수화 하였고 내재성 페록시다아제를 억제하기 위하여 3% 과산화수소를 5분간 반응시켰다. 조직내에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단백 억제물질(Research Genetics, Huntsville, AL, USA)을 실온에서 15분간 적용하였다. 단클론성 항인간-CFTR항체(Genzyme, Boston, MA)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1시간 정도 반응시켰다. 바이오틴이 부착된 이차항체(Histostain TM SP Kit, Zymed, CA, USA)를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스트렙아비딘-퍼옥시다제(Histostain TM SP Kit)를 15분간 반응시켰다. 발색제로는 스트렙아비딘에 반응하는 3-amino-9 ethyl carbarzole(Zymed)를 사용하였으며 대조염색으로 Meyer's hematoxylin을 사용하였다. 음성대조군은 일차항체대신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 후 관찰하였다. Western blotting 냉동절편 조직을 단백 용해 완충용액(TRI reagent, GibcoBRL, Gaithersburg, MD, USA)에 넣은 후 유리동질화기로 조직을 균질화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클로로포름-이소프로파놀 처리를 통하여 단백을 침전시키고 에탄올로 처리하여 침전물을 얻은 후 1% sodium dodecyl sulfate(SDS, Sigma)에 녹여 Bradford방법6)을 이용하여 단백을 정량하였다. 추출한 단백 50 μg을 전기영동 시스템(Bio-Rad, Hercules, CA, USA)에서 12% SDS-polyacrylamide겔을 사용하여 전기영동을 시행하였다. 겔로부터 나이트로셀룰로스 막으로 전이시킨 후 전이된 단백을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적 검사 때와 동일한 일차항체 및 이차항체와 반응시켰다. 이것을 화학발광체(ECL kit, Amersham, Burkinghamshire, England)에 의해 발색시킨 후 이를 Kodak-X-OMAT-AR 필름(Kodak, Rochester, NY, USA)에 넣은 후 현상하여 농도분석기로 정량하였다. CFTR 돌연변이 유전자의 검출 지놈 DNA의 분리 및 제한효소 분절길이의 다형성(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70℃에 보관된 조직에서 지놈 DNA를 분리하기 위하여 소량의 조직에 DNA 용해 완충용액(NaCl 0.25 M, Tris-HCl 50 mM/pH8.0,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5 mM, 0.5% SDS, Proteinase K 4 mg/ml)를 첨가하여 유리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 한 후 상온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에 옮기고 여기에 phenol/chloroform/isoamylalcohol(Sigma)을 가하여 다시 혼합한 후 상층액을 재차 분리하였다. 이 용액에 chloroform을 첨가하여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기고 3 M sodium acetate와 에탄올을 넣은 후 -20℃에 1시간 반응시키고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이것을 75% 에탄올로 3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증류수로 이 침전물을 녹인 후 2 μl를 채취하여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DNA 농도를 측정하고 0.1~1μg의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에 사용하였다. 지놈 DNA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분절길이의 다형성을 시행하였다. exon 4에 위치한 591번째 염기서열에서 18 염기쌍의 결실(591 del 18)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결실된 부위를 자르는 제한효소인 Alu I(TaKaRa, Shiga, Japan)으로 제한하여 결실이 있는 경우는 잘리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고(Fig. 1), exon 11의 551번째 아미노산에서 G가 A로 되는 점돌연변이(G551D)을 찾기 위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Mbo I(TaKaRa) 제한 효소로 처리하여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는 절단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Fig. 1). ΔF508의 검출 및 클로닝과 염기서열 결정 Exon 10에서 508번째 아미노산에서 3개 염기쌍, CTT의 결실(ΔF508)을 확인하기 위해 정상 염기서열을 갖는 시발체와 결실된 염기서열을 갖는 시발체로 각각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시행하여 비교하였다(Fig. 1). ΔF508의 염기서열을 확인하기 위하여 2% agarose겔에서 전기 영동된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조각으로 잘라 녹인 후 Jetsorb Kit(Genomed, Oeynhausen, Germany)를 이용하여 정제시켰다. 이것을 T4 DNA 연결효소를 이용하여 pGEM-T Easy vector(Promega, Medison, WI, USA)에 연결(ligation)하여 재조합 유전자를 만들고 competent cell(JM 109, Promega)에 혼합하여 42℃에서 1분간 열자극을 준 후 SOC를 첨가하여 37℃에서 1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이 끝난 시료를 ampicillin이 첨가된 Luria Bertani 한천 배지위에 도말하여 1시간 말린 후 다시 37℃에서 하룻 밤 배양시켜 형질 전환(transformation)을 시행하였다. 다음날 흰색으로 된 집락을 따와서 소규모정제법(minipreparation)을 시행한 후 silver sequencing으로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료분석 통계학적 분석은 SPSS 7.5 for Windows(version 7.5,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p 값이 0.05이하인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결과 CFTR의 발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Exon 4에서 CFTR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244 염기쌍 크기의 cDNA 띠가 검출되었다. 초기 및 재발 비용군, 비후성비염군, 정상대조군 등 모든 군에서 CFTR mRNA와 β-actin mRNA발현이 관찰되었다(Fig. 2). 각 군에서 CFTR mRNA 발현을 농도분석기를 이용하여 β-actin mRNA와 비교 분석한 결과 비용군과 대조군간에 CFTR mRNA 분포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Fig. 3).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CFTR 단백의 분포는 비용 30례중 5례, 재발성 비용 10례중 2례, 비후성 비염 5례중 1례와 정상대조군 5례중 1례에서만 관찰되어 각 군간의 발현율에 차이는 없었다(p<0.05). 비용군에서는 일부 상피세포에서 위증층 원주섬모세포의 첨단부위(apical portion)에서 CFTR이 발현되었고, 같은 조직에서도 전혀 발현되지 않는 부위도 있었다. 정상 대조군에서도 전체상피세포중 일부 상피세포의 첨단부위에서 발현되었다(Fig. 4). Western blotting 분석 전기영동 결과 초기 비용군 중 7례에서 재발군 중 2례에서 대조군 중 각각 2례에서 168 kD의 띠가 관찰되었다. 농도 분석기를 통하여 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과 비용군에서 양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Fig. 5). CFTR 돌연변이 유전자의 검출 제한효소 분절길이의 다형성 제한효소 분절길이의 다형성을 exon 4에서 본 결과 모든 례에서 제한효소인 Alu I으로 제한되어 결실이 없었다. exon 11에서는 모든 례에서 제한효소인 Mbo I으로 제한되지 않아 점돌연변이는 발견되지 않았다(Fig. 6). ΔF508의 검출과 염기서열 결정 CTT 세 염기쌍의 결실이 있는 ΔF508의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exon 10에서 본 결과 재발된 비용군중 한 례에서 양성으로 나왔으며(Fig. 6) 이 환자의 cDNA를 추출하여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CTT결실이 확인되었다(Fig. 7). 고찰 CFTR은 땀샘관과 췌장관, 호흡기 계통의 관강면(luminal surface)의 상피세포에 존재하는 막단백으로써 cAMP에 의해 자극받는 염소 이동통로이다. CFTR의 구조는 12개의 막확장영역과 2개의 ATP 부착영역 및 조절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낭성섬유증의 원인은 이러한 정상 CFTR에 돌연변이 유전자가 생겨 불완전 성숙 과정을 거쳐 기능을 소실하기 때문이다.7) 염소 이동 장애는 점막층으로의 Na +과 수분의 이동이 감소하고 이때 점막이 탈수화되어 끈적이는 점액이 쌓이고 이것이 점액 섬모층의 운동에 장애를 일으켜 기관지와 췌장관의 폐쇄를 초래하게 되며 이차적으로 슈도모나스 등의 균 감염으로 염증반응을 일으켜 각종 증상을 유발하게 된다.1) 비전형적인 낭성섬유증은 정상 범위의 땀검사 결과와 췌장기능을 보여 임상적 진단 기준에 맞지 않으나 돌연변이 유전자를 보여주는 경우로 이는 낭성섬유증 이형접합체(heterozygote)이며 이들은 성인까지 살면서 환경적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임상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한다.8) Stewart등9)은 정상범위의 땀검사를 보였으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있으면서 비점막에서 경상피적 전압측정 측정과 유전자 검사로 낭성섬유증로 확인된 환자 2명을 보고하였으며, Girodon등10)은 32명의 낭성섬유증이 아닌 기관지 확장증 환자에서 16개의 CFTR 돌연변이 유전자를 발견하여 낭성섬유증과의 연관성을 밝혔다. 낭성섬유증 환자에서 비용의 발생율은 소아에서는 3명중 1명이고 성인에서는 약 반 수에서 보여주고 있다. 대개는 이미 낭성섬유증으로 진단 받은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대부분은 다발성이며, 양측성 양상을 보여주었다.11) Shwachman등12)은 742명의 낭성섬유증 환자를 조사한 결과 50명(6.7%)에서 비용이 있는 것으로 나왔고 이중 41명(5.5%)은 낭성섬유증으로 진단받은 지 약 3~5년 후에 비용이 생겼다고 하였다. 지금까지 비용과 관련이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의 대부분은 ΔF508으로 가장 많이 보고되었고 그 외에 일부 다른 종류의 돌연변이 유전자들이 보고되었다.1) Varon등13)은 췌장기능 장애나 폐질환이 없이 오직 재발성 비용만 있는 13살 쌍둥이 낭성섬유증 환자 형제에서 새로운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았는데 이것은 exon 4에서 cDNA의 591번째에서 시작하여 18개의 염기서열이 결실된 것으로 이것을 591 del 18 이라고 하였다. Burger등14)은 낭성섬유증 병력이 없이 비용만 있는 7명의 환자에서 CFTR 돌연변이 유전자를 검사한 결과 G551D가 4명이나 양성으로 나와 일반적인 발생율보다 의미있게 높게 나왔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4개 군에서 ΔF508, 591 del 18과 G551D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재발된 비용 1례에서만 ΔF508이 양성으로 나왔다. 이 환자는 임상적 증상이나 일반 검사상 낭성섬유증에 부합되는 소견이 없는 건강한 40대 남자로서 가족력상 유전적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또한 이 환자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나 western blotting과 RT-PCR 결과도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정상 유전자와 ΔF508 유전자를 동시에 갖고 있는 이형접합체로 의심된다. 땀검사로 확인하지 못했지만 임상적 증세도 맞지 않기 때문에 낭성섬유증이라고 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적으며 이러한 ΔF508 유전자가 비용의 재발에 영향을 미쳤는 지는 확신할 수 없다. 지금까지 보고에 의하면 정상인의 CFTR mRNA의 발현은 다른 장기와는 달리 비강이나 기관지 상피세포에서는 각 세포당 CFTR mRNA의 발현되는 숫자(copy numbers)가 각각 1~2개의 매우 낮은 수를 보여 주었으며 잘 검출되지 않았다고 하였다.15) ΔF508 이형접합체 낭성섬유증 환자에서 조사한 결과 ΔF508과 정상 CFTR mRNA 발현이 동량으로 존재하였고, ΔF508 CFTR과 정상 CFTR의 염소이온 통로 활동도 다르지 않았다고 하였다.16) Brezillon등17)도 CFTR유전자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ΔF508 환자에서 CFTR mRNA발현과 CFTR단백의 분포양상과는 관련이 없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정상 CFTR mRNA의 발현이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CFTR mRNA의 발현정도가 비용의 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지 않았다. Puchelle등18)은 정상과 ΔF508 낭성섬유증 환자의 비용에서 CFTR의 분포를 세포수준에서 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본 결과 정상 세포에서는 첨단부위에 존재하지만 ΔF508의 경우는 세포질내에 존재한다고 하였다. 비용에서 ΔF508의 발현이 정상보다 훨씬 증가하여 염증이 이러한 CFTR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Dupuit등19)은 비점막에서의 비정상적으로 낮은 CFTR의 분포는 CF-TR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한 것이 아니라 기도 표면의 탈분화(dedifferentiation)와 재형성(remodeling)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FTR이 면역조직학적 검사상 총 50례중 9례에서만 발현되었고 또 같은 표본에서도 일부 부위에서만 발현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18)20)에서 모든 상피세포에 분포된다는 보고와는 다르지만 첨단부위에 분포되는 양상은 일치한다. 이것은 염증등에 의해 CFTR의 분포가 영향을 받아 파괴되었거나 재배치되어 다양하게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CFTR mRNA의 발현 자체가 적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Western blotting에서도 비용군 및 대조군 모두에서 정상 CFTR 단백의 발현이 매우 적게 나와 양이 극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비용 및 비점막에서 CFTR의 분포양상으로 볼때 비점막에서 CFTR의 분포가 비용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적거나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 비용형성에 유전적 배경을 밝히고자 비용군과 대조군에서 낭성섬유증 막전도 조절자(CFTR)의 mRNA 및 단백의 발현과 유전자 돌연변이를 관찰하였다. CFTR mRNA 및 단백은 비용군과 대조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어 CFTR 발현이 비용 발생 기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염소(Cl -) 이동 통로의 생리적인 기전에 대한 연구가 추가 되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비용과 관련이 있는 CFTR 돌연변이 유전자중 한 례에서 ΔF508이 관찰되어 우리나라에서도 낭성섬유증 유전자의 보유 가능성을 보였다.
REFERENCES
1) Deane PMG, Schwartz RH. Nasal polyps in cystic fibrosis. In: Settipane GA, Lund VJ, Bernstein JM, Tos M, editors. Nasal Polyps: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treatment. 1st ed. Rhode Island: Oceanside Pub, Inc;1997. p.137-46. 2) Drake-Lee AB. Nasal polyps in identical twins. J Laryngol Otol 1992;106:1084-5. 3) Moloney J, Oliver RT. HLA antigens, nasal polyps and asthma. Clin Otolarygol 1980;5:183-9. 4) Speleman F, Potter CD, Roy NV, Laureys G. Multiple polysomies in nasal polyps in children. Cancer Genet Cytogenet 1996;90:86-7. 5) Chomczynski P, Sacchi N. Single 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acid guanidinum thiocyanate phenol chloroform extraction. Anal Biochem 1987;162:156-9. 6) Bradford MM.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1976;72:248-54. 7) Welsh MJ, Anderson MO, Rich DP, Berger HA, Denning GM, Dstedgaard LS, et al. Abnormalities of airway epithlelial chloride transport in cystic fibrosis. In: Takishima T, Shimura S, editors. Airway secretion. 1st ed. New York: Marcel Dekker press;1994. p.513-26. 8) Miller PW, Hamosh A, Macek M, Greenberger PA, Maclean J, Walden SM, et al.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gene mutations in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m J Hum Genet 1996;59:45-51. 9) Stewart B, Zabner J, Shuber AP, Welsh MJ, Mccray PB. Normal sweat chloride values do not exclude the diagnosis of cystic fibrosis. Am J Resp Crit Care Med 1995;151:899-903. 10) Girodon E, Cazeneuve C, Lebargy F, Chinet T, Costes B, Ghanem N, et al. CFTR gene mutation in adults with disseminated bronchiectasis. Eur J Hum Genet 1997;5:149-55. 11) Crockett DM, Mcgill TJ, Healy GB, Fridman EM, Salkeld LJ. Nasal and paranasal sinus surgery in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Ann otol Rhinol Laryngol 1987;96:367-72. 12) Shwachman H, Kulczycki LL, Mueller HL, Flake CG. Nasal polyps in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Pediatrics 1962;389-401. 13) Varon R, Magdorf K, Staab D, Wahn HU, Krawczak M, Sperling K, et al. Recurrent nasal polyps as a monosymptomatic form of cystic fibrosis associated wih a novel in-frame deletion (591 del 18) in the CFTR gene. Hum Mol Gen 1995;4:1463-4. 14) Burger J, Macek M, Stuhrmann M, Reis A, Krawczak M, Schmidtke J. Genetic influences in the formation of nasal polyps. Lancet 1991;337:974. 15) Crawford I, Maloney PC, Zeitilin PL, Guggino WB, Hyde S, Turley H, et al. Immunohistochemical localization of the cystic fibrosis gene product CFTR. Cell Biol 1991;88:9262-6. 16) Shoshani T, kerem E, Szeinberg A, Augarten A, Yahav Y, Cohen D, et al. Similar levels of mRNA from the W1282X and the ΔF508 cystic fibrosis alleles, in nasal epithelial cells. J Clin Invest 1994;93:1502-7. 17) Brezillon S, Dupuit F, Hinnrasky J, Marchand V, Kamin N, Tummiler B, et al. Decreased expression of the CFTR protein in remodeled human nasal epithelium from non-cystic fibrosis patients. Lab Invest 1995;72:191-200. 18) Puchelle E, Gaillard D, Ploton D, Hinnrasky J, Fuchey C, Boutterin MC, et al. Differential localization of the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 normal and cystic fibrosis epithelium. Am J Respir Cell Mol Biol 1992;7:485-91. 19) Dupuit F, Kalin N, Brezillon S, Hinnrasky J, Tummler B, Puchelle E. CFTR and differentiation markers expression in non-CF and ΔF508 homozygous CF nasal epithelium. J Clin Invest 1995;95:1601-11. 20) Jang YJ, Cho JH, Lee JH, Lee CH. Localization of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in nasal polyp epithelial cell. Korean J Otolaryngol 1999;42:193-6.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