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1(11); 199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11): 1478-1480.
Two Cases of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Young Ki Kim, Byung Am Park, Yoon Sung Cho, Yong Joo Yoo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Korea. ykkim@moak.chonbuk.ac.kr
외이도에 발생한 진피내 모반 2례
김영기 · 박병암 · 조윤성 · 윤용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외이도진피내 모반.
ABSTRACT
The intradermal nevus is composed of nevus cells which are usually referred to as the melanocytic nevi and is a form of benign cutaneous tumor. Although the intradermal nevi are common benign pigmented skin tumors, their occurrence with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uncommon. The clinical and pathologic features of the intradermal nevus arising with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re presented,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Intradermal neviExternal auditory canal
서론 진피내 모반은 색소성 모반의 일종으로 멜라닌세포계통에서 유래한 모반세포로 불리는 세포로 이루어진 양성 피부종양이다. 진피내 모반은 피부에 흔한 양성 종양이지만 외이도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최근 진피내 모반이 외이도에 발생하여 외이도를 폐쇄시킨 2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증례 1: 77세 여자 환자로 약 30년 전에 발견된 우측 외이도 종물이 점차 커지면서 청력감소가 진행되어 내원 하였다.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 유경성의(pedunculated) 회갈색 종물이 외이도 입구를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의 내측으로는 배출되지 못한 이구가 가득 차 있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순음청력검사상 우측의 기도/골도 평균 역치는 60/30 dB의 혼합성 난청소견을 보였다. 측두골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측 외이도의 입구 부위에 약 0.9×0.6 cm 크기의 연부조직 음영의 타원형 종물이 보였으며, 내측으로는 외이도를 폐쇄시키고 있는 이구의 음영이 보이고 있었다. 주변 측두골의 골 파괴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며, 중이강 및 유양동에도 특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Fig. 1). 종물은 국소마취 하에 제거되었다. 종물은 회갈색으로 크기는 1.0×0.6×0.4 cm이었고 유경성형으로 돌출 되어 있었으며, 종물의 기시부는 외이도 입구 상벽이었다. 조직 검사에서 원형 또는 입방형의 전형적인 모반세포들의 소집단이 진피층에서 관찰되었으며 멜라닌 색소도 관찰되었다(Fig. 2). 종물 제거후 노출된 부분은 국소 치료로서 상피화가 이루어졌으며, 현재 수술후 10개월 추적 관찰 결과 재발은 보이지 않고 있다. 증 례 2 59세 남자 환자로 약 50년 전에 발견한 우측 외이도 종물이 점차 커지면서 청력감소가 진행되어 내원 하였다.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 유경성의 흑색 종물이 외이도 입구를 완전히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의 내측 고막구조는 관찰할 수 없었다. 체간 및 상지에도 수개의 작은 융기형 피부 모반이 관찰되었다. 순음청력검사상 우측의 기도/골도 평균 역치는 55/20 B의 전음성 난청소견을 보였다. 측두골 전산화 단층촬영상 우측 외이도에 경계가 불분명한 연부조직 음영이 외이도 전체를 채우고 있었다. 중이강 및 유양동에도 연부조직 음영이 관찰되었으나 외이도 및 유양동의 골 파괴 소견은 보이지 않았으므로 염증성 반응이 의심되었다(Fig. 3). 국소마취 하에 종물의 절개 생검을 실시하였다. 종물은 다발성 폴립양으로 돌출 되어 외이도 전체를 폐쇄시키고 있었으며, 종물의 기시부를 찾을 수 없었다. 조직 검사에서 여러 개의 세포들이 모여 형성된 모반세포 집단들(nests)이 진피층에서만 발견되었으며, 표피층에서는 보이지 않았다(Fig. 4). 전신마취 하에 종물의 완전제거를 계획하였으나 환자의 진료 및 수술거부로 추적 관찰되지 않았다. 고찰 진피내 모반은 멜라닌세포계통에서 유래한 모반세포(nevus cell)로 이루어진 양성 피부종양이며, 보통 멜라닌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으로 불리어진다.1) 멜라닌세포성 모반(melanocytic nevus)은 모반세포성 모반(nevocytic nevus)과 동의어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모반세포집단이 표피의 기저 층에만 접하여 있으면 경계모반(junction nevi), 완전히 진피내에 존재하는 경우를 진피내 모반(intradermal nevi), 그 중간단계의 모반을 복합모반(compound nevi)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들을 각각 모반세포성 모반의 발생 단계로 추정하고 있는데 모반세포는 초기에 표피의 기저 층에 출현하여(경계 모반), 시간이 흐르면서 진피내로 하강하고(복합 모반), 마지막으로 진피내에 위치하게 된다(진피내 모반).1) 모반세포성 모반은 육안적으로 평면형(flat lesion), 융기형(slightly elevated lesion), 유두상형(papillomatous lesion), 반구상형(dome lesion), 유경성형(pedunculated lesion)으로 구분되며 육안적 형태에 따라 조직학적 소견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는데 유두상형, 반구상형, 유경성형은 대부분 진피내 모반이다.1) 진피내 모반은 성인에서 관찰되며, 보통 융기된 반구상이며, 유경성인 경우도 있고, 색조도 정상 피부색에서 흑색까지 다양하며, 흔히 거친 털을 가진다.1) 본 증례의 경우에서도 외이도 입구를 폐쇄하고 있는 불규칙한 표면을 가진 유경성의 회갈색 및 흑색 종물이 관찰되어 조직생검을 실시한 결과 진피내 모반으로 확인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전형적인 모반세포는 원형 또는 입방형이며 윤곽이 뚜렷한 균질한 세포질을 가지고 있으며, 핵은 크고 원형 혹은 난형을 보인다.1) 감별진단이 필요한 양성질환으로는 지루 각화증(seborrheic keratosis), 편평 유두종(squamous papilloma) 등이 있으며, 편평 상피암, 악성 흑색종 등의 악성 질환과의 조직학적 감별이 필요하다.2) 임상적으로 외이도 진피내 모반은 외이도 폐쇄를 일으켜 전도성 난청을 야기하며 이구전색 및 재발성 급성중이염을 유발한다.2) 본 증례 1에서는 이구전색으로 인한 전도성 난청이 있었으나 중이염은 없었으며 증례 2에서는 전도성 난청과 더불어 중이강 및 유양동에 염증반응이 관찰되었다. 외이도에 발생한 진피내 모반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있는 경우에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나2) 흑색종으로의 악성화 할 가능성 때문에 조기에 수술적 제거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저자도 있다.3) 외이도 진피내 모반의 수술적 치료는 국소 마취 하에 경이도(transcanal) 접근법으로 단순절제를 실시한다.2) 본 증례 1의 경우에서도 저자들은 국소 마취 하에 단순절제로서 제거가 가능하였으며, 외이도의 결손부는 반복적인 국소 치료로 상피화가 이루어졌다.
REFERENCES
1) Elder D, Elenitsas R. Benign Pigmented Lesion and Malignant Melanoma. In : Elder D, Elenitsas R, Jaworsky C, Johnson B, editors. Histopathology of the Skin. 8th ed. Philadelphia, New York, Lippincott-Raven ; 1997. p.625-81. 2) Youngs R, Hawke M, Kwok P. Intradermal nevus of the ear canal. J Otolaryngol 1988 ; 17 : 241-3. 3) Benmeir P, Baruchin A, Weinberg A, Nahlieli O, Neuman A, Wexler MR. Rare sites of melanoma : Melaoma of the external ear. J Cranio-Maxillofac-Surg 1995 ; 23 : 50-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