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1(6); 1998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8;41(6): 792-794.
A Case of Compound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Sung Min Kim, Jae Joon Cho, Hyung Bin Huh, Chang Ho Hur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외이도에 발생한 복합 모반 1례
김성민 · 조재준 · 허형빈 · 허창호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복합 모반외이도.
ABSTRACT
Compound nevus is considered to be a common benign cutaneous tumor which is composed of nevus cells containing melanin pigment. However, compound nevus which has junctional activity has been described as actual precursors of malignant melanoma.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compound nevus of the auditory canal, causing ear canal obstruction, intermittent hearing impairment and otorrhea in a 34-year-old female patient. The compound nevus was treated with a wide excison and full thickness skin graft by endaural approach.
Keywords: Compound nevusExternal auditory canal
서론 복합 모반은 멜라닌세포 모반중 Junctional activity를 보이는 한 형태로 세포질내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는 모반 세포로 구성된 양성 피부종양이며 피부과적 영역에서는 매우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있다. 멜라닌세포 모반중 Junctional activity가 없는 피내 모반이 외이도에 발생한 경우는 국내외에서 매우 드물게 보고된 바 있으나,1-6) 본 례에서 보고하는 외이도내 복합 모반은 국내외의 문헌 보고로는 찾을 수 없었다. 외이도에 발생한 복합 모반은 외이도 폐쇄로 인한 전음성 난청과 반복되는 외이도염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드물게는 악성 흑색종으로 이행될 수 있어 임상적 접근과 조직학적 접근이 동시에 필요한 질환이다. 최근 저자들은 외이도에 발생한 복합 모반 1례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34세 여자 환자로 약 17년 전부터 촉지 되기 시작한 좌측 외이도 종물과 약 4년 전부터 발생한 간헐적인 좌측 이루, 청력감퇴 및 악취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력과 가족력상 특기 사항은 없었으며 이학적 검사상 좌측 외이도 후벽에서 유래된 유두종 형태의 진회색 종물이 관찰되었고(Fig. 1) 내시경 소견상 고막은 정상 소견을 보였으며 종물의 내측 경계는 고실륜(annulus tympanum)으로 부터 5 mm 거리에 위치하였다. 순음 청력 검사상 기도 순음 청력 평균이 우측은 5 dB, 좌측은 3 dB로 측정되었으며 고막 운동성 검사상 양측 모두 A형으로 측정되었다. 전신마취하 이내절개술(endaural approach)을 통해 외이도를 폐쇄하고 있는 종물이 제거되었으며 냉동절편(frozen biopsy)을 시행하여 양성 종양으로 확인되었다. 종물제거로 발생된 외이도의 피부 결손 부위는 이개 후방의 피부를 이용한 전층 피부이식술을 시행하여 재건되었다. 환자는 입원 6일째 퇴원하였으며 수술 후 35일째 시행한 이학적 검사상, 이식된 피부편의 정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외이도의 협착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 병리학적 검사상 육안적 소견(Fig. 2)은 1×1×1 cm 3 크기의 표면이 유두종성 모양을 보이는 모발을 포함한 진회색 종물이였고 광학현미경 소견상 진피전반에 걸쳐 모반 세포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모반 세포들이 표피의 기저세포층(basal cell layer)을 침범하는 Junctional activity를 보이는 복합 모반으로 보고되었다. 세포질내 존재하는 멜라닌색소는 폰타나은염색(Fontana silver stain)으로 증명되었다(Fig. 3). 고찰 멜라닌세포 모반은 Hippocrates에 의해 처음 기술된 이래 많은 학자들에 의해 기원과 특성, 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Mishima7)와 Shaffer8)에 의하면 모반세포는, 배아기(embryonic stage)의 원시신경릉(primitive neural crest)으로 부터 유래되어 피부의 진상피연접부에 주로 위치하는 멜라닌세포가 활성화된 집락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Masson 9)은 진상피연접부 모반의 모반세포는 전적으로 멜라닌세포에 의해 발생되나 복합 모반과 피내 모반에서 모반세포의 일부는 멜라닌세포에서 또 일부는 신경섬유초에서 생긴다고 하였다. 발생빈도는 20∼25세에서 가장 높으며 남자보다는 여자에서, 흑인종보다는 백인종에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0) 전형적인 모반세포는 원형 혹은 입방형이며 분명한 외곽경계를 갖는 균질한 세포질을 갖고 있다. 핵은 크고 원형 혹은 난형을 보이나 하부진피에서는 조직구, 섬유아세포 혹은 Schwann세포와 유사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다.1)10) 멜라닌세포 모반은 위치와 발달 단계에 따라, 모반세포가 진피와 표피의 연접부에 위치하는 모반의 초기형태인 진상피연접부 모반(junctional nevus)과 모반세포가 진상피연접부와 진피내에 동시에 존재하는 중간 발달단계의 복합 모반(compound nevus), 모반세포가 진피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마지막 발달단계의 진피 모반(intradermal nevus)으로 분류된다.1)3) 이 세 가지 형태의 모반중 진상피연접부 모반과 복합 모반은 Junctional activity를 보이며, 이는 여러 조직병리학자에 의해 악성 흑색종으로 이행될 수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멜라닌세포 모반이 악성화하는 징후로는 짧은 기간 동안의 크기 증가, 비대칭적인 색깔의 변화, 표면의 궤양이나 출혈, 염증 소견등이며 이와는 반대로 3 mm이내의 크기, 일정하고 균일한 색깔, 경계의 명확성, 크기와 색의 무변화등은 양성종양을 암시하는 임상적인 특징으로 보고되고 있다.10) 하지만 여성의 경우 임신중이나 경구 피임약을 복용시 임상양상이나 조직학적 특징의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와 감별이 필요하다.11) Green12)은 Junctional activity를 지닌 양성 멜라닌세포 모반이 존재하는 경우 악성 흑색종이 발생할 수 있는 비교위험도는 15∼30이라고 발표하였고, Cullen13)은 악성 흑색종이 발생한 환자의 20∼80%에서 멜라닌세포 모반이 이전에 존재하였다고 하였으며, Ekblad13)는 양성 색소성 병변이 악성화하는 비율은 대략, 백만명 중의 한명 수준이라고 보고하였고 예방적인 모반제거를 권유하였다. 외이도에 발생한 복합 모반은 전음성 난청과 반복적인 외이도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2)8) 악성 흑색종으로 이행할 수 있어 반드시 제거되어야한다. 경이도적(transmeatal approach) 혹은, 이내절개술(endoaural approach)을 통한 모반 제거가 가능하며 절제술후 결손된 부위를 방치할 경우 육아종의 형성으로 외이도 협착의 후유증을 남길 수 있으므로 피부이식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대퇴부 전면의 피부를 이용한 중간층 피부이식이나 이개 후방의 피부를 이용한 전층 피부이식이 모두 가능하나 이개 후방의 피부를 이용한 전층 피부이식은 수술시 같은 수술장(surgical field)으로부터 피부편을 얻을 수 있으며, 수술후 이식된 피부편의 구축이 적고 외상(trauma)이나 자극에 강하며, 함께 이식된 선조직(glandular elements) 등에 의한 윤활작용을 도울 수 있는 장점 15)이 있다. 하지만 두꺼운 피부편 자체로 인한 외이도의 협착이 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REFERENCES
1) Lee HK, Kang SH, Park NS, Lee SH. A case of huge intradermal nev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with conductive hearing loss. Korean J Otolaryngol 1995;38:463-6. 2) Moon YI, Kim CN, Lee ND. A case of intradermal nevus in external auditory canal. Korean J Otolaryngol 1978;21:647-50. 3) Youngs R, Hawke M, Kwok P. Intradermal nevus of the ear canal. J Otolaryngol 1988;17:241-3. 4) Langman AW, Yarington CT, Patterson SD. Malignant melanoma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6;114:645-8. 5) Kobayashi H. Nevus pigmentos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Report of a case. Jibiinkoka Tembo 1981;24:37-40. 6) Miyake H, Matsumura K. Nevus pigmentosus of the external auditory canal. Jibiinkoka (Japan) 1966;38:493-6. 7) Mishima Y. Macromolecular change in pigmentary disorders. Arch Derma 1965;91:591-557. 8) Shaffer B. Pigmented nevi. Arch Dermatol 1955;72:120-32. 9) Masson P. My conception of cellular nevi. Cancer 1951;4:9-38. 10) Arnold HL, Odom RB, James WD.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8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1990. p.811-3. 11) Foucar E, et al. A histopathologic evaluation of nevocellular nevi in pregnancy. Arch Dermatol 1985;121:350. 12) Green A, Mcclennan R, Siskind V. Common acquired naevi and the risk of malignant melanoma. Int J Cancer 1985;35:297-300. 13) Cullen SI. Incidence of nevi. Arch Dermatol 1962;86:88-91. 14) Ekblad GH. Treatment of benign pigmented moles. A.M.A. Arch Derm Syph 1954;70:399. 15) Moore GF, Moore IJ, Jonkers AJ, Nissen AJ. Use of full thickness skin grafts in canalplasty. Laryngoscope 1984;94:1117-8.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