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0(8); 1997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997;40(8): 1147-1155.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n Diagnosis of Thyroid Nodule.
Kyung Tae, Hyung Seok Lee, Suk Joo Choi, Joon Soo Park, Kyung Sung Ahn, Dong Woo Park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College of Medicine,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갑상선 결절의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와 전산화 단층 촬영의 의의
태 경1 · 이형석1 · 최석주1 · 박준수1 · 안경성1 · 박동우2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1;진단방사선과학교실2;
ABSTRACT
BACKGROUND:
The workup of thyroid nodule is complex, and there are many and varied indications for thyroid imaging. Ultrasonography is first-line structural investigative modality in thyroid nodular disease. It can effectively differentiate a solid from a cystic lesion. Ultrasonography is also the best study available to measure nodule size. Computed tomograph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extension of thyroid nodules and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or local recurrence.
OBJECTIVES:
We analysed Ultrasonographic(US) and Computed Tomographic(CT) findings of thyroid nodule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a benign and a malignant mass and to evaluate the differential findings, if any.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80 cases with a pathologically proven thyroid nodule(US in 47 cases, CT in 33 cases) at the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uly 1995 to July 1996. US and CT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analysed about size, multiplicity, solid and cystic change, margin, calcification, and invasion of adjacent structur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1) Invasion of adjacent structures was observed in 4 cases(25%) in CT, and it was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of malignacy. 2) Thyroid nodule with cervical lymphadenopathy was observed in 4 cases(25%) in CT, and it was proved as significant finding of malignancy. 3) The solid pattern of thyroid nodules was observed in 13 cases(81.3%) in CT, and it was pro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ding of malignancy. 4) The other findings of CT and US which were examined,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benignancy and malignancy.
CONCLUSION:
CT has a significant role of differentiation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 of thyroid gland by detection of invasion of adjacent structures, solid pattern, and cervical lymphadenopathy.
Keywords: Thyroid noduleUltrasonographyComputed tomography
서론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내분비 질환으로 경부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갑상선 결절의 선별 검사로 갑상선 스캔이나 초음파촬영술이 시행되어 왔으나 적극적인 치료가 고려되는 상황에서 병변의 부위, 조직면, 병변의 양상, 경부 림프절 등의 평가를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점차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는 1967년 Fujimoto등에 의해 보고된 이래 최근에는 고해상능 초음파 기기의 개발로 수술 여부와 방법 등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는 간편하고 비침습적인 검사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전산화 단층 촬영술은 객관적인 종양의 발견 및 병변의 범위 파악에 큰 도움이 되어 최근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에 의한 갑상선 병변의 병리적 소견 예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갑상선 결절의 영상 소견으로 조직학적 진단을 내리기는 어려우나 저자들은 수술전 초음파 촬영술과 전산화 단층 촬영술을 시행한 증례에서 각각의 소견으로 양성 및 악성 결절의 감별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고 가능하다면 감별에 도움이 되는 소견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7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최근 1년간 한양대학교병원에서 수술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예중 초음파 촬영술을 시행한 47례와 전산화 단층 촬영술을 시행한 33례를 대상으로 하여 두경부 영역을 전공한 방사선과 의사와 함께 주위 조직 침범 여부, 경부림프절 종대 유무, 결절의 크기, 병소의 다발성, 낭성 변화 유무와 결절내 격막 형성 유무, 결절내 석회화 여부 및 석회화의 형태, 주위 조직과의 경계, 내부 형태와 음영도, 조영 증강 여부, 혈관 분포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사용한 초음파 기기는 Acuson 128 XP,(Acuson Computed Sonography, Mountain View, CA, USA), Diasonic Spectra(Milpitas, CA, USA)로 환자는 앙와위에서 어깨 밑에 베개를 받쳐서 목을 신전시킨후 종횡단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 기기는 Somatom Plus 4, 24(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를 이용하여 조영제를 정맥 주사한 후 횡단면의 영상을 얻었다. 악성과 양성 종양간의 소견 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학적 유의성은 chi-square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1. 조직학적 결과 및 성별 분포 초음파 촬영술을 시행한 47례중 양성 종양이 34례, 악성 종양이 13례 였다. 양성 종양은 선종성과형성이 28례, 여포상선종이 6례 였고, 악성 종양은 유두상암 10례, 여포상암 1례, 수질성암 1례, 휘르트레세포암 1례 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5례, 여자가 42례 였으며 평균 연령은 47.6세 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술을 시행한 33례중 양성 종양이 17례, 악성 종양이 16례 였고, 양성 종양은 선종성과형성이 13례, 여포상선종이 4례 였고, 악성 종양은 유두상암 14례, 여포상암 1례, 수질성암 1례 였다. 성별분포는 남자가 5례, 여자가 42례 였으며 평균 연령은 42.9세 였다(Table 1). 2. 주위조직 침범 여부 및 경부림프절 종대 유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전례에서 주위조직 침범이 없었고, 경부림프절 종대는 악성의 2례(15.4%)에서 보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악성 4례(25%)에서 주위조직 침범을 보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고, 경부림프절 종대는 악성의 4례(25%)에서 동반하여 역시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Table 2, 3)(Fig. 1). 3. 결절의 크기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과 악성에서 16에서 30mm 사이가 22례(64.7%), 11례(84.6%)로 가장 많았다.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에서는 31에서 50mm 사이가 6례(35.3%), 악성에서는 16에서 30mm 사이가 7례(43.8%)로 가장 많았다(Table 4). 4. 병소의 다발성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 21례(61.8%), 악성 10례(76.9%)에서 단발성 결절이었고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 14례(82.4%), 악성은 16례(100%) 모두에서 단발성 결절을 보였다(Table 5). 5. 낭성 변화 유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에서 고형성 결절이 15례(44.1%), 낭포성 결절이 19례(55.9%) 였고, 악성에서는 고형성 결절이 9례(69.2%), 낭포성 결절이 4례(30.8%)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에서 고형성 결절이 7례(41.2%), 낭포성 결절이 10례(58.8%) 였고, 악성에서 고형성 결절이 13례(81.3%), 낭포성 결절이 3례(18.7%)로 고형성 결절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악성을 시사하였다(Table 6)(Fig. 2). 6. 주위 조직과의 경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 30례(88.2%)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4례(11.8%)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였으며, 악성 8례(61.5%)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5례(38.5%)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 14례(82.3%)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3례(17.7%)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였으며, 악성 9례(56.2%)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7례(43.8%)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였다.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할수록 악성의 경향을 띠었다(Table 7). 7. 결절내 석회화 여부 및 석회화의 형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 14례(41.2%), 악성 5례(38.5%)에서,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 8례(47.1%), 악성 7례(43.7%)에서 결절내 석회화를 동반하였다. 석회화의 형태는 양성, 악성 모두에서 미세 석회화 형태가 가장 많았다(Table 8)(Fig. 3). 8. 내부 형태와 음영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양성에서는 결절 내부가 불균질한 경우가 24례(70.6%), 악성에서는 균질한 경우가 7례(53.8%)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음영도는 양성에서는 등에코가 17례(50%), 악성에서는 저에코가 7례(53.8%)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에서는 불균질한 경우가 11례(64.7%), 악성에서는 균질한 경우가 10례(62.5%)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음영도는 양성, 악성에서 저밀도가 16례(94.1%), 16례(1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Table 9)(Fig. 4). 9. 혈관 분포도 초음파 검사(Acuson 128 XP)를 시행한 예중 양성, 악성에서 결절 피막 부위에서 혈관 분포가 없었던 것이 14례(66.7%), 5례(62.5%)로 다수를 차지하였고, 중앙부에서는 양성에서는 약간의 혈관 분포가 있었던 것이 10례(47.6%)로, 악성에서는 중등도의 혈관 분포를 나타낸 것이 6례(75%)로 다수를 차지하였다(Table 10). 10. 조영 증강 여부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양성, 악성 모두 약간의 조영 증강을 나타낸 경우가 11례(64.7%), 11례(68.8%)로 다수를 차지하였다(Table 11). 고찰 갑상선 결절은 성인의 1∼3%에서 관찰되는 비교적 흔한 질병으로서 경동맥질환이 의심되어 검사하는 남자의 7.9%, 여자의 20.6%에서 무증상 결절이 발견된다. 갑상선 결절은 남녀 비가 1:3.5로 보고된 바와 같이 여자에서 호발하며 연령은 악성 질환에서 양성 질환보다 약간 고령층이 많았으나 감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갑상선 종양의 평가에 있어 갑상선 스캔, 초음파 검사, 전산화 단층 촬영 등의 검사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중 초음파는 병변의 고형성 및 낭성 성분의 구분에 있어 우수하여 일차적 검사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주위 조직과의 관계 및 종양의 범위 파악에 있어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이 초음파보다 우수하다.2)3) 그러나 초음파와 전산화 단층 촬영 모두 병변의 악성도 파악에 있어서 특이도가 높지 않아 악성 및 양성 종양의 감별이 매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초음파 소견 중 악성종양을 시사하는 것은 후방 음영 증강을 동반하지 않은 저에코 종괴, 불완전하고 불규칙한 변연부 달무리(halo), 불분명한 경계, 미세석회화, 갑상선 주변 구조의 침범, 경부 림프절 종대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초음파 소견만으로는 악성 종양과 양성 종양은 잘 감별되지 않으며 갑상선 종괴의 진단에 있어 가장 정확한 방법은 세침 흡인 세포 검사이다.4) 성 등5)과 서 등6)은 경부림프절 종대를 보이는 예는 악성 질환의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경부 림프절 종대는 갑상선암 중 15∼20%에서 관찰되며 특히 유두상암과 수질성암에서 주로 보인다. 림프절 종대에 갑상선암 특히 유두상암의 전이를 시사할 수 있는 유일한 소견은 미세석회화 및 낭성변화가 동반된 경우에 한한다.7) 그러나 경부 림프절의 석회화는 갑상선암의 전이 외에도 점액성암의 전이, 육아종, 결핵, 방사선 치료나 항암치료후의 림프종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8)9)10)11) 위 등12)은 결핵성 림프절염, 원발병소가 명시되지 않은 전이암, 결절성 림프종 등 총 73명을 대상으로 경부 림프절 질환의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을 분석하였을 때 림프절의 석회화는 결핵성 림프절염의 5례(15.6%), 전이암 2 례(6.9%)에서 보였는 데 전이암의 경우 모두 갑상선암의 유두세포암에서만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악성 4례(25%)에서 경부 림프절 종대를 동반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또한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이 초음파 검사 소견보다 주위조직과의 관계 및 침범여부, 경부 림프절 종대등의 검사에 더 민감하였다. 낭종성 결절은 2mm, 충실성 결절은 4mm까지 발견이 가능하다고 보고 되었으나1) 최근 고해상력기기의 발전으로 그 이하의 크기라도 거의 발견되며 양성과 악성간에 결절의 크기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13) 저자들의 경우도 결절 크기에 의한 양성, 악성 감별 차이는 없었다. 다발성 결절의 악성 질환 빈도는 1∼6%정도이므로 결절의 다발성을 앎으로써 양성과 악성 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14)15)16), 최근 성 등은 다발성 결절을 가진 53례중 39.4%에서 갑상선암으로 진단되어 다발성 결절이 양성 질환만을 시사하는 소견이 아니라고 하였다.5)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결절의 다발성과 양성, 악성 질환의 감별은 통계학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낭포성 갑상선 결절의 경우 얇고 분명한 전후 벽을 가지며 내부에는 내부에코가 없는 형태로 보인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낭포성 종괴내에 미세한 에코나 얇은 중격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는 낭포내의 출혈이나 액화 괴사 등의 결과로 보고 있다.17) 갑상선 결절에서 단순낭포는 양성이지만 드물며, 대개 낭포성 변화를 보이는 경우는 양성 질환으로 생각하였으나 박등은 양성 결절의 48.4%, 악성 결절의 13.4%에서 낭포성병변을 보인다고 하였다13). 저자들의 경우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악성에서 고형성 결절이 13례(81.3%), 낭포성 결절이 3례(18.7%)로 고형성 결절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악성을 시사하였다. Solbiati등1)은 초음파 소견상 양성 결절의 경계가 더 명확하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악성 13례 가운데 주위와 경계가 매끈했던 것이 3례(23%) 였고, 분엽상을 보인 것이 5례(38.5%)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한 것이 8례 였고, 5례(38.5%)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여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할수록 악성의 경향을 띠었다. 초음파 상에서는 종양 내부의 미세석회화가 유두상암과 수질성암 등 갑상선암의 거의 대부분에서 발견된다는 보고도 있으나4) Solbiati등18)은 갑상선 종괴의 미세석회화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각각 59%, 95%로 갑상선암의 대부분에서 미세석회화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나 석회화가 관찰되지 않을 경우 갑상선암의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절 내부에 흩어진 석회화음영은 양성과 악성 감별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나1)13)19), 성 등5)은 작은 점상의 불규칙한 석회화를 보일 경우 악성 결절의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는 석회화 유무와 양성, 악성 질환의 감별에 있어서 통계적 유의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Solbiati등1)5)20)은 저농도 결절이 악성의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으나 저자들의 경우는 통계학적 유의성을 찾을 수 없었다. 결론 1995년 7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최근 1년간 한양대학병원에서 수술하여 병리학적으로 확진된 예중 초음파촬영술을 시행한 47례와 전산화 단층 촬영술을 시행한 33례를 대상으로 하여 두경부 영역을 전공한 방사선과의사와 함께 주위 조직 침범 여부, 경부림프절 종대 유무, 크기, 병소의 다발성, 낭성 변화 유무와 결절내 격막형성 유무, 결절내 석회화 여부 및 석회화의 형태, 주위 조직과의 경계, 내부 형태와 음영도, 조영 증강 여부, 혈관 분포도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산화 단층 촬영상 주위 조직 침범 소견이 있는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악성을 시사하였다. 2) 전산화 단층 촬영상 경부림프절 종대가 있는 경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악성을 시 사하였다. 3)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악성에서 고형성 결절이 13례(81.3%), 낭포성 결절 이 3례(18.7%)로 고형성 결절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악성을 시사하였다. 4)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예중 악성 8례(61.5%)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5례(38.5%)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였으며,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예중 악성 9례(56.2%)에서 주위와 경계가 분명하였고, 7례(43.8 %)에서 경계가 불분명하여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주위와 경계가 불분명할수록 악성의 경향을 띠었다.
REFERENCES
1) Solbiati L, Volterrani L, Rizzatto G:The thyroid gland with low uptake lesions evaluation by ultrasound. Radiology. 1985;155:187-191 2) Radecki PD, Arger PH, Arenson RL:Thyroid imaging:Comparison of high-resolution real-time ultrasound and computed tomography. Radiology. 1984;153:145-147 3) Silverman PM, Newman GE, Korobkin M, Workman JB, Moore AV, Coleman RE: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thyroid disease. AJR. 1984 ;141:897-902 4) Solbiato L, Cioffi V, Ballarati E:Ultrasomography of the neck. Radiol Clin North Am. 1992;30:941-954 5) 성영순·김기범·이종민·김태헌·강덕식:다결절성 갑상선종에서 발생한 갑상선암의 초음파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28:671-678 6) 서형심·황인성·김양수:갑상선결절:초음파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0;26:934-939 7) Mancuso AA, Maceri D, Rice D, Hanafee W:CT of cervical lymph node cancer. AJR. 1981;136:381-385 8) 김영주·성기준·강영재·김명순:경부 임파선 결핵의 전산화단층 촬영소견. 대한방사선학의회지. 1992;28:182-187 9) 옥철수·박찬섭·이소현·서창해·안병엽·정원균:경부 임파절 질환의 전산화 단층촬 영 영상:형태학적 소견에 대한 분석.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2;28:817-822 10) Friedman M, Shelton VK, Magee M, Bellity P, Grybayskar V, Skolnik E:Metastatic neck disease:Evaluation by computed tomography. Arch Otopharyngol Head Neck surgery. 1984;110:443-447 11) Miller EM, Norman D:The role of computed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neck masses. Radiology. 1979;122:145-149 12) 위주환·김홍수·김동호·소현순·이학송:경부 임파절 질환의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감별 진단을 중심으로.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4;31(2):191-196 13) 박용현·이종대·유형식:결절성 갑상선종의 초음파 검사의 의의. 대한초음파의학회지. 1987;6:106-113 14) 최순섭·이관세·김건상·박수성:갑상선 결절의 고해상능 초음파 검사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5;21:558-563 15) Beuglet CC, Golberg BB:New high-resolution ultrasound evaluation of diease of the thyroid gland. A review article. JAMA. 1983;249:2941-2944 16) Simeone JF, Daniels GH, Mueller PR:High-resolution real time sonography of the thyroid. Radiology. 1982;145:431-435 17) Sacker JP, Passalaqua AM, Blum M, Amorocho L:A spectrum of diease the thyroid gland as imaged by gray scale water bath sonography Radiology. 1977 ;125:467-472 18) Solbiati L, Ballarati E, Cioffi V, et al:Microcalcifications:A clue in the diagnosis of thyroid malignancies. Proceedings of the 76th Meeting of Radiologic Society of North America. Chicago. 1990;p140 19) 박해원·박성학·박인규·김용주·강덕식:갑상선 종괴의 초음파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4 ;20:789-794 20) 김태헌·서경진·김용주·강덕식:갑상선암의 초음파 검사 소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89;25:387-39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