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9(12); 2006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6;49(12): 1194-1200.
ROS Formation and the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ydroxypheophorbide-a on AMC-HN3 Human Head and Neck Carcinoma Cell Line.
Phil Sang Chung, Euteum Park, Ki Il Lee, Jin Chul Ahn
1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Head &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jcahn@dankook.ac.kr
2Medical Laser Research Center,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두경부 편평상피암 세포주에서 9-Hydroxypheophorbide-a를 이용한 광역학치료의 ROS 발현 양상과 세포사에 관한 연구
정필상1,2 · 박으뜸1 · 이기일1 · 안진철1,2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의학레이저연구센터2;
주제어: 광역학치료활성화 산소기9-Hydroxypheophorbid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During PDT, photosensitizer accumulates in the cell and irradiation forms ROS. ROS leads to activation of apoptoticpathway and cell death. Elevated intracellular calcium is known to play important role in apoptotic pathway. There are two type of ROS formation. The type of ROS formation differs in type of photosensitizers. We designed the experiment to define the relationship of ROS and cell death in PDT.
MATERIALS AND METHOD:
AMC-HN3 cells were cultured. Using a CaspACE assay kit, we measured caspases-3 activity after PDT. We also observed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s using confocal microscopy (calcium green-1 stain) after PDT. To determine which type of reaction occursduring ROS formation, MTT assay was performed.
RESULTS:
Confocal microscopy showed that ROS had formed at the site of photosensitizer formation after PDT. After PDT, intracellular calcium increased. MTT assay showed more viability increase in blocking type II reaction. Caspase assay showed highest level after 4hrs.
CONCLUSION:
ROS is formed at the site photosentizer formation after PDT. Type II reaction was the main type of ROS formation. Apoptosis was main pathway of cell death in low dose of photosensitizer after PDT.
Keywords: Photodynamic therapy (PDT)Reactive oxygen species (ROS)9-Hydroxypheophorbide-a

교신저자:안진철, 330-714 충남 천안시 안서동 29-1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교신저자:전화:(041) 550-1786 · 전송:(041) 556-1788 · E-mail:jcahn@dankook.ac.kr

서     론


  
광역학치료(Photodynamic Therapy;PDT)는 체내의 풍부한 산소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레이저와 레이저 빛에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광감작제를 이용한 새로운 암치료 방법이다. 현재 PDT는 접근이 비교적 용이한 식도, 폐, 후두 등의 고형 종양을 치료하는 데 있어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PDT로 종양 파괴 효과를 얻는 기전은 광감작제가 정상 세포에 비해 암세포 내에 더 효과적으로 흡수가 되며 체내 투과를 잘 하는 빛의 파장에 반응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빛을 받는 경우에 특징적인 광독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1)
   PDT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효과를 내게 된다. 우선 광감작제를 암세포 혹은 목표로 하는 조직에서 흡수시킨다. 그 후 조직에 특정 파장을 조사하면 광감작제가 활성화된다. 조직 내에 존재하는 산소분자는 빛의 조사를 받은 후 활성화산소기(Reactive Oxygen Species;ROS)로 변화된다. ROS의 발생 기전은 두 가지 반응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광감작제가 전자전달계에 관여하여 free radical이 형성되는 Type Ⅰ 반응이 있다. 또한 산소와 에너지 전이로 반응하여 활성화 산소기를 생성시키는 Type Ⅱ 반응이 있다. 이렇게 PDT를 통해 생성되는 ROS는 대표적으로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등을 들수 있다.2,3)
   본 연구에서 사용된 광감작제 9-Hydroxypheophorbide-a(9-HpbD-a)는 녹조류인 Spirulina platensis의 chloro-phyll-a로부터 금속이온을 제거한 피오파이틴-a와 여기의 phytol기를 가수분해시킨 Pheophorbide-a로부터 유도된다. 9-HpbD-a는 기존에 사용되던 광감작제인 hemato-phorphyrin derivative(HpD)가 갖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광감작제이다. 기존의 광감작제에 비해 빠르게 배설되기 때문에 체내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HpD 계열의 광감작제가 630 nm 영역의 흡수 파장에서 최대 활성을 보이는 반면 9-HpbD-a의 최대 흡수 파장은 660 nm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흡수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긴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 이렇게 긴 파장을 조사하면 빛이 조직에 더 깊이 침투되고 광역학치료의 효과가 더 높아지게 된다.8)
   본 연구에서는 인체 두경부 암세포(AMC-HN3)에서 9-HpbD-a를 이용한 PDT의 과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PDT 시행 후 광감작제가 ROS를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보고, 이때 9-HpbD-a 광감작제가 ROS를 발생시키는데 어떤 reaction type이 주로 관여하는지, 또한 PDT 시에 고사와 괴사가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PDT에 사용하기 위한 광감작제를 개발할 때 중점을 두어야 할 요소를 밝혀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광감작제 및 레이저
  
금호 생명과학연구소에서 제조한 9-HpbD-a 광감작제를 사용하였다. 녹조류의 클로로필을 산화반응과 산처리를 통해 10-hydroxypheophytin a 유도체로 만든다. 이를 유기용매로 추출한 10-hydroxypheophytin과 10-hydroxypheo-phytin a 유도체를 유기합성한 후 안정된 구조이며 동시에 대량 수율이 가능한 9-HpbD-a를 추출하였다(Fig. 1).
   레이저는 새로운 광감작제가 최대 흡수 스펙트럼을 보이는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Golden Light, Korea)를 사용하였다.

세포배양
  
인체 두경부 세포주인 AMC-HN3 세포주를 RPMI-1640(GibcoBRL, USA) 배양액 500 ml에 우태혈청(GibcoBRL, USA) 50 ml와 antibiotic-antimycotic solution(Gibco, BRL) 5.5 ml를 섞은 세포배양액으로 세포배양 플라스크(Nunc, Denmark)를 이용하여 5%의 CO2와 95%공기가 공급되고 적절한 습도와 37℃의 온도가 유지되는 배양기(Thermo Forma, USA)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의 모양을 inverted microscope(Olympus CK40, Japan)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세포들은 플라스크 바닥에 부착하여 자랐으며 트립신(GibcoBRL, USA)처리 후 계대배양하였다.

PDT 시 레이저 조사 조건
  
본 연구에서는 9-HpbD-a의 최대 광흡수도를 보이는 파장인 660 nm 다이오드 레이저(Golden Light, Korea)를 사용하였다. Ahn 등8)의 연구에 의하면 9-HpbD-a를 사용한 PDT에서 최대효과가 나타나는 레이저 조사 시간은 30분(3.2 J/cm2)이었고, 광감작제를 투여한 후 레이저 조사 시간까지의 배양시간은 최소 6시간 이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의 레이저 조사 시간은 30분, 배양 시간은 8시간으로 정하였다.

CaspACE assay
   미국 Promega사의 CaspACE assay kit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9-HpbD-a만 처리한 군과 9-HpbD-a와 PDT를 시행한 실험군에서 casp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초대배양이나 계대배양하여 세포가 배양용기의 바닥에 포화(confluence)되면, 배지를 제거한 후 트립신을 이용하여 세포를 harvest하여 5℃ 10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60 mm dish에 5×105 cells/ml씩 4 ml로 세포를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5% CO2, 37℃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FBS가 포함된 DMEM 배지로 교환해주고 9-HpbD-a를 처리한 후 30분 후에 배지를 교환하고 660 nm laser를 30분간 조사하였다. 16시간 후 트립신을 이용하여 채취하고 4℃ 14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108 cells/ml로 cell lysis buffer를 넣고 얼음에 15분간 얼리고 5분간 warm bath에 녹이는 과정을 2차례 반복한 후 4℃ 1500×g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세포 추출액에 pNA 기질을 넣고 33℃에서 4시간 결합하였다. 405 nm에서 ca-spase 활성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alcium uptake measurement by Confocal microscopy(calcium green-1)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를 이용하여 세포질내 칼슘 농도의 증가를 알아보았다. 앞의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후 PDT를 시행하였다. Gelatin 코팅을 한 2 cc glass bottom dish에 2×105 cells을 접종한 다음 48시간 후에 배지를 칼슘이 들어있지 않은 HBSS 배지로 교환한 후 각 실험군에 9-HpbD-a를 농도별로 처리하고 3시간과 5시간 동안 5% CO2, 37℃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Calcium green-1 시약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Argon laser를 이용하여 488 nm로 ex-citation시키고, ×400 영상으로 관찰하였다.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을 통해 광감작제와 ROS의 관찰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PDT 후 광감작제와 세포질내 ROS 농도의 증가를 관찰 하였다. 앞의 실험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한 후 PDT를 시행하였다. 또한 동일한 실험군으로 구성하였다. General ROS를 염색할 수 있는 H2DCF-DA와 mitochondrial ROS를 염색할 수 있는 Dihydrorhodamine-123 시약을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Argon laser를 이용하여 488 nm로 excitation시키고, ×400 영상으로 관찰하였다.

Reaction type of ROS
   광감작제가 ROS의 발생시키는 방법을 알아 보기 위해 MTT assay 방법16)을 이용하였다. 지수 성장시기의 각 세포주 들을 105 cells/ml이 되게 배지로 희석한 후 96 well plate에 well 당 100 μl씩 분주하고 24시간을 5% CO2, 37℃가 유지되는 항온 항습기에서 배양하였다. 그 다음 광감작제(75 μg/ml) 100 μl를 세포배양 배지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pH 7.3의 DPBS(Hyclone, USA) 용액으로 2 fold-dilution을 통하여 광감작제의 농도를 줄여나갔다.
   PDT만 시행한 대조군과 scavenger를 전처치 후 PDT를 시행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Type Ⅰ reaction을 차단할 수 있는 D-mannitol을 40 mM, 80 mM 두 군으로 나누어 전처리하였으며 type Ⅱ reaction을 차단할 수 있는 Sodium azide를 5 mM, 10 mM 두 군으로 나누어 전처리하였다.
   72시간을 배양한 후 각각의 well에 50 μl씩 pH 7.3의 DPBS에 녹인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2 mg/ml, Sigma)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37℃가 유지되는 5% CO2 항온 항습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의 배지를 모두 제거하고 여기에 150 μl의 DMSO(Dimethylsulfoxide:KANTO, Japan)를 첨가한 후 formazan을 잘 용해시키기 위해 mi-croplate mixer(Amersham, UK)로 10
~20분간 흔들어 주었으며 microplate reader(BIO-RAD 550, USA)로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생존율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감작에의 농도마다 4개의 well의 평균 흡광도 값을 계산하여 결과로 사용하였다.

   Cell viability(%)=   Mean optical density in test well
   Cell viability(%)=--------------------- ×100
   Cell viability(%)= Mean optical density in control well

결     과

CaspACE assay
   대조군의 caspase 흡광도보다 PDT 후 4시간째에 3.22배의 흡광도를 보였으며 8시간째에서는 1.06배, 12시간째에서는 0.68배의 흡광도를 보였다. 이는 PDT 후에 세포사가 고사의 과정을 거친다는 것을 의미하며 PDT 후 약 4시간째에 고사가 가장 활발히 일어나는 것을 말해 준다(Fig. 2).

Calcium uptake measurement by Confocal microscopy
   대조군과 9-HpbD-a를 농도별로 처리한 실험군에서 관찰하였으며 9-HpbD-a가 2.3 μg/ml, 1.1 μg/ml일 때 보다 0.51 μg/ml일 때 가장 뚜렷하게 보였다. 이는 칼슘의 세포내 유리가 9-HpbD-a가 0.51 μg/ml일 때 가장 활발하다는 것을 말해 주고 있으며 이때 고사가 가장 활발히 일어난다고 생각할 수가 있다(Fig. 3).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을 통한 광감작제와 ROS의 관찰
   PDT 후 세포질내 광감작제와 ROS 농도의 관계를 보기 위해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General ROS를 염색하는 H2DCF-DA의 분포를 보았으며 세포질 내에 축적 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같은 위치에서 광감작제의 자체 형광이 분포함을 관찰하였다. PDT 후 H2DCF-DA와 광감작제의 자체형광의 분포가 거의 일치 하는 것을 볼 수가 있다. PDT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는 H2DCF-DA는 보이지 않고 광감작제의 자체형광만 보인다(Fig. 4). Pseudocolor grading 처리를 한 후 관찰을 하였더니 더 명확하게 PDT 후 광감작제의 위치와 ROS의 위치가 일치함을 알 수가 있었다(Fig. 5).
   Mitochondrial ROS를 염색하는 Dihydrorhodamine-123 시약을 처리한 후 관찰하였다. 이득값 차이로 인해 덜 선명 하지만 PDT 후 미토콘드리아에서도 역시 ROS가 발생한다는 것을 볼 수가 있었다(Fig. 6).

Reaction type of ROS
  
Type Ⅰ reaction을 차단할 수 있는 D-mannitol을 전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 시 세포 생존율에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Fig. 7). Type Ⅱ reaction을 차단할 수 있는 Sodium azide를 전처리한 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시 유의한 세포 생존율 증가를 보였다(Fig. 8).
   이는 AMC-HN3에서 9-HpbD-a를 이용한 PDT 후에 type Ⅱ reaction을 통해 ROS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     찰

   이전까지는 Hematophorphyrin 유도체인 Photofrin 등이 PDT의 광감작제로 널리 쓰여 왔다. 하지만 이 광감작제는 약 10주까지 광독성이 지속되고 조직침투가 떨어지는 파장에서 활성화되어 점차 사용이 줄고 있는 추세이다.4) 단국대학교 의학레이저센터와 금호 생명과학연구소에서 공동 개발한 9-HpbD-a는 녹조류의 porphyrin 유도의 광감작제이며 PDT의 새로운 광감작제로써 광각받고 있다. 저자는 본 연구에서는 AMC-HN3 세포주에 대한 9-HpbD-a PDT 후 세포사가 발생하며 그 양상이 고사 혹은 괴사로 진행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ROS와 세포내 칼슘이 이 과정에 관여함을 관찰하였다.
   빛을 조사하면 광감작제가 기저 상태(S0)에서 첫 번째 여기 상태(S1)로 여기된 후 intersystem crossing을 통해 triplet 상태(T1)로 변형된다. 이 triplet 상태는 두 가지 방법으로 반응하는데 이를 type Ⅰ과 type Ⅱ reaction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5) Type Ⅰ reaction의 기전은 hydrogen atom abstraction 혹은 여기된 상태의 광감작제와 용매 혹은 다른 광감작제와 electron-transfer reaction으로 반응하여 free radical을 생성한다. 이의 대표적인 것들로는 hydroxyl radical 혹은 superoxide anions 등이 있다. 반면 type Ⅱ reaction은 여기 상태의 광감작제와 산소 분자 사이에 에너지의 전달로 인해 singlet oxygen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type Ⅱ reaction이 선호되는 환경은 oxygenated system이고 type Ⅰ reaction이 선호되는 환경은 hypoxic condition이나 극성의 환경으로 알려져 있다.5) 실험결과에서 singlet oxygen quencher인 Sodium azide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의 생존율이 hydroxyl radical scavenger인 D-mannitol을 처리했을 때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AMC-HN3 세포주에 대한 9-HpbD-a PDT에서 주된 ROS 발생 기전이 type Ⅱ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AMC-HN3 cell에서 세포 내 주된 환경이 oxygenated system 임을 시사한다.
   PDT는 in vitro 혹은 in vivo에서 괴사 과정이나 고사 과정을 통해 세포사를 일으킬 수 있다. PDT를 통해 trigger되는 세포사의 기전은 사용된 광감작제의 종류, 빛의 조사 환경, 조직의 산소화 정도와 세포의 종류 등등에 의해 결정 된다.6,7)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동일한 세포에 대한 PDT 후 세포사의 과정은 레이저 조사세기에 따라 고사와 괴사가 동시에 진행되며 그 비율이 다르다. 또한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세포사가 일어날 때 고사와 괴사가 진행되는 비율이 다르다. 돌연변이형 p53유전자를 가진 인체 방광 암종의 경우 LD50(50% lethal dose)의 광량에서는 고사가, LD90의 광량에서는 괴사를 통한 세포파괴가 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7)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낮은 광감작제 농도에서는 고사가, 높은 광감작제 농도에서는 괴사가 주된 세포사멸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광감작제의 세포내 분포는 감작제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데 흔히 사용되는 HpD류의 Photofrin, Photogem과 같은 친지질성 감작제나 5-ALA-induced protoporphyrin Ⅸ 등은 주로 사립체, 소포체막, 핵막 그리고 세포핵 주변에 축적되는 반면 A1PcS4, TPPS 등의 친수성 감작제는 세포막을 투과하는 성향이 적기 때문에 주로 간질 내나 종양의 혈관기질에 축적된다.6) 본 연구에서 사용된 9-HpbD-a는 친수성 광감각제로 자체 형광을 관찰해 본 결과 간질 내에 축적된 것을 볼 수 있어 이를 확인할 수가 있었다.
   미토콘드리아는 고사의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미토콘드리아에서 Cyto C가 방출되게 되면 Apaf-1이 형성되는 것을 trigger하게 되고 procaspase-9이 apop-tosome으로 변화시키고 이것이 autocleave되면서 활성화된 Caspase-9이 되고 이는 procaspase-3을 활성화 시켜 Caspase-3를 형성하게 되고 apoptosis를 trigger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로는 singlet oxygen이나 hy-droxyl radical은 모두 Cyto C release를 일으킨다고 되어 있다.9,10)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type Ⅱ reaction 즉 sing-let oxygen이 주된 반응으로 나와서 AMC-HN3 세포주에서 9-HpbD-a를 사용한 PDT에서는 미토콘드리아의 역할이 비교적 적음을 알 수가 있었다.
   칼슘은 이차 전령으로써 세포가 고사로 가는 과정을 조절 하는 기능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1,12,13) 여러 연구를 통해 Ca++의 농도 증가가 PDT 후 세포가 고사, 혹은 괴사로 가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다.14,15) 본 연구에서도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 영상을 통해 PDT 후의 세포 내 Ca++의 농도를 관찰하였으며 Calcium green-1으로 세포 내 칼슘을 염색하였다. 고사가 일어나는 광감작제 농도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칼슘 농도를 관찰할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AMC-HN3 세포주에 대한 9-HpbD-a PDT에서 세포사 과정에 고사 혹은 괴사가 농도에 따라 다르게 관여함을 알 수 있다. 발생되는 ROS 중에서 특히 singlet oxygen이 주로 발생되며 이것이 세포사의 triggering에 주된 역할을 한다. 즉 세포 내 환경이 산소가 풍부한 환경이라는 것이고 type Ⅱ reaction이 ROS 발생의 주된 기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DT 후에 세포 내에서 ROS가 발생하였는데 공초점 레이저주사 현미경상 광감작제가 세포의 간질 내에 축적 되었으며 동일한 위치에서 ROS가 발생 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PDT를 시행할 때 광감작제의 세포 내 침투 부위가 곧 ROS가 발생하는 부위임을 증명 하였다. 이 실험은 향후 연구에서 세포 내에 특정한 부위에 ROS를 발생시키고자 할 때 광감작제의 흡수가 되는 부위를 조정하면 된다는 실험적인 근거가 된다.

결     론

   9-HpbD-a를 사용한 PDT 후 광감작제가 흡수된 곳에서 ROS를 발생하였다. 이는 세포 내 광감작제의 target을 정해 치료 효과를 꾀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또한 ROS를 발생시키는 기전은 Type Ⅱ reaction이었다. 이는 세포 내 환경이 산소가 풍부한 환경이라는 것을 말한다. PDT 후에 4시간째에 가장 활발하게 고사가 진행하였다. 임상에서 적용이 가능한 정도의 저농도의 9-HpbD-a에서 PDT의 세포사 기전은 괴사보다는 고사가 주를 이룬다. 이 결과는 향후 9-HpbD-a를 이용한 PDT의 임상 적용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REFERENCES

  1. Ahmad N, Mukhtar H.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induced cell death, Methods Enzymol 2000;319:342-58.

  2. Oleinick NL, Evans HH. The photobiology of photodynamic therapy: Cellular targets and mechanisms. Radiat Res 1998;150(5 Suppl): S146-S56.

  3. Dougherty TJ. An update on photodynamic therapy applications. J Clin Laser Med Surg 2002;20(1):3-7.

  4. Fujishima I, Sakai T, Tanaka T, Ryu H, Uemura K, Fujishima Y, et al. Photodynamic therapy using pheophorbide a and Nd: YAG laser. Neurol Med Chir(Tokyo) 1991;31(5):257-63.

  5. Foote CS. Definition of type I and type II photosensitized oxidation. Photochem Photobiol 1991;54(5):659.

  6. Kessel D, Luo Y, Deng Y, Chang CK. The role of subcellular loca-lization in initiation of apoptosis by photodynamic therapy. Photochem Photobiol 1997;65(3):422-6.

  7. Wyld L, Reed MW, Brown NJ. Differential cell death response to photodynamic therapy is dependent on dose and cell type. Br J Cancer 2001;84(10):1384-6.

  8. Ahn JC. Anticancer effect and mechanism of photodynamic therapy using 9-hydroxypheophorbide-a and 660 nm diode laser on human squamous carcinoma cell line [dissertation]. Cheonan: Dankook Univ; 2003.

  9. Green DR, Reed JC. Mitochondria and apoptosis. Science 1998;281 (5381):1309-12.

  10. Newmeyer DD, Ferguson-Miller S. Mitochondria: Releasing power for life and unleashing the machineries of death. Cell 2003;112(4): 481-90.

  11. Hajnoczky G, Davies E, Madesh M. Calcium signaling and apopto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3;304(3):445-54.

  12. Orrenius S, Zhivotovsky B, Nicotera P. Regulation of cell death: The calcium-apoptosis link. Nat Rev Mol Cell Biol 2003;4(7):552-65.

  13. Ferrari D, Pinton P, Szabadkai G, Chami M, Campanella M, Pozzan T, et al. Endoplasmic reticulum, Bcl-2 and Ca2C handling in apoptosis. Cell Calcium 2002;32(5-6):413-20.

  14. Tajiri H, Hayakawa A, Matsumoto Y, Yokoyama I, Yoshida S. Changes in intracellular Ca2C concentrations related to PDT-induced apoptosis in photo-sensitized human cancer cells. Cancer Lett 1998;128(2): 205-10.

  15. Ermak G, Davies KJ. Calcium and oxidative stress: From cell signaling to cell death. Mol Immunol 2001;38(10):713-21. 

  16. Scudiero DA, Shoemaker RH, Paull KD, Monks A, Tierney S, et al. Evaluation of a soluble tetrazolium/formazan assay for cell growth and drug sensitivity in culture using human and other tumor cell lines. Cancer Res 1988;48(17):4827-3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