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8);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8): 881-885.
A case of Basal Cell Nevus Syndrome with Acute Maxillary Sinusitis.
Kwang Hoon Kim, Young Ho Song, Kyung Seob Rho, Hoe Young Ahn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급성 상악동염으로 발현된 기저세포모반증후군 1예
김광훈 · 송영호 · 노경섭 · 안회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기저세포모반증후군상악동염.
ABSTRACT
A basal cell nevus syndrome, known as the Gorlin syndrome, is a rare autosomal dominant disorder, occuring especially in the oriental population. It is a complex hamartomatous/neoplastic syndrome with multisystemic manifestations involving the five major features: (1) multiple basal cell nevi, occasionally basal cell carcinoma usually seen at an early age; (2) multiple jaw cysts; (3) skeletal abnormalities of ribs, skull, and spine; (4) ectopic calcification; (5) palmar and plantar pits. Because patients are predisposed to this disorder prior to basal cell carcinoma of the skin, ovarian fibroma, and medulloblastoma,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management is frequent examination and early treatment of small tumors. We report here about a 16-year- child with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who has developmental multisystemic disorders which coincided with the basal cell nevus syndrome. The patient underwent a sinus operation and now is under a cautious follow-up.
Keywords: Basal cell nevus syndromeMaxillary sinusitis

교신저자:송영호, 130-702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 1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전화:(02) 958-8484·전송:(02) 958-8470·E-mail:khuent@khmc.or.kr 

서     론


   Gorlin-Goltz 증후군 또는 기저세포암증후군으로도 불리워지는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은 동양인에게는 매우 드문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이다.
   이 질환은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되며, 새로운 돌연변이가 흔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매우 다양한 임상양상을 보인다.1)2) 과오종과 신생물이 혼재된 양상의 증후군으로 많은 신체기관의 특징적 임상양상을 보인다. 주로 피부에서 기저세포모반 때때로 기저세포암종, 중추신경계에서는 수아세포종, 그리고 골격계에서는 다발성 악골 낭종(jaw cysts)과 이중 분리된 늑골 및 천막의 이소성 골화 등을 보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매우 많은 증상들이 혼재하여 나타날 수 있다.1) 또한 피부 기저세포암종의 유발 경향이 크기 때문에 신중한 추적관찰이 요구되며 다발성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 역시 용이하지 않다.3)
   저자들은 현재까지 국내에 보고되어 있지 않았던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의 증례로서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급성 상악동염으로 발현된 환아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어려서부터 중등도의 정신지체가 있었던 16세 환아로 내원 하루 전 발생된 우측 안면부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전신적인 위생 상태가 불량하였고, 구강에서 심한 악취가 나고 있었다. 과거력상 1999년 10월 본원에서 양측 발의 다지증으로 수술받은 병력이 있었고(Fig. 1) 이외 특이 사항 없었다. 가족력상 부모 양측 모두 경도의 정신지체가 있었으며 모친의 하악골에 여러 개의 낭종이 관찰되었다. 이학적 검사상 우측 안면부는 부종이 심하였고 압통이 동반된 2×2 cm 크기의 종물이 촉지되어 주사기로 시험적 천자를 하였으나 흡인되는 것이 없었다. 우측 상악의 두 번째 대구치가 심하게 부식되어 있었고 주위 잇몸이 괴사되어 심한 악취를 동반한 농성분비물이 배출되었다. 환아는 전신에 상처에 의한 반흔으로 보이는 병변이 퍼져 있었으며 배부에 커피색 모반이 관찰되었다. 내원시 혈액 검사에서 백혈구 수치가 14,700/μl로 증가된 것 이외에는 검사상의 특이 사항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상 부비동 단순촬영에서 우측 상악동 전체에 음영이 증가되어 있었으며 치성의 낭종과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좌측 상악동에도 치성 낭종이 있었다. 구강의 파노라마 촬영상 하악의 좌우측 상행지, 정중부 등에 크기가 큰 다발성 낭종들이 관찰되었다(Fig. 2). 경부 컴퓨터전산화촬영에서 우측 상악동에 부비동염 소견 관찰되었으며, 우측 뺨 부위가 미만성으로 음영이 감소되어 있어 치성 부비동염에 이차적인 안면부 봉와직염이 의심되었다(Fig. 3). 또한, 2×2×4 cm 크기의 지방종이 같은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2×4×4 cm 크기의 낭종이 하악골의 양측 가지에서 나타났다(Fig. 4).
   환아는 우측 치성 부비동염과 이의 이차적인 안면부 봉와직염 진단하에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치아의 부식은 구강외과에서 치료를 시작하였다. 환자에 대한 평가과정에서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이 의심되어 추가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전신에 걸쳐 시행한 방사선 검사에서 두개골 정면 촬영상 천막의 골화(Fig. 5), 흉부 방사선 촬영상 우측 4번째 늑골의 이분화(Fig. 6), 수부 촬영상 4번째 중수골이 짧은 Albright 증후, 추골 촬영상 추골 및 골반뼈의 경한 형태적 이상 등이 관찰되었다. 배부에서 관찰된 커피색 모반에 대한 생검에서 기저세포모반의 결과를 얻었으나 손바닥과 발바닥의 소와(pits)는 나타나지 않았다. 안과 검사에서 두 눈 사이가 80 mm로 넓어져 있었고, 우안 홍체의 결손(coloboma), 선천성 백내장 및 매우 심한 약시가 관찰되었다.
   환아는 우측 상악 낭종에 발생한 세균감염이 상악동을 침범해 치성 부비동염 및 안면부 봉와직염이 유발된 상태였다. 따라서 부식된 대구치와 잇몸에 대한 국소적인 치료 및 봉와직염에 대한 보존적인 치료를 하였고, 1개월 후에 우측 Caldwell-Luc 수술 및 낭종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시행한 외과병리검사상 치성각화낭종이었다(Fig. 7). 환자는 현재 추적관찰 중이며 남아 있는 악골 낭종에 대해서는 임상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추가로 치료할 예정이다.

고     찰

   모반양 기저세포암종 증후군(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또는 Gorlin 증후군이라 불리는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은 상염색체 우성 경향의 매우 다양한 형태학적인 발현을 보이는 유전 질환으로서 동양에서는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1894년 Jarish가 처음으로 이 질환의 많은 증상들을 기술하였고, 1959년 Howell과 Caro가 처음으로 기저세포모반과 피부암을 비롯한 많은 기관의 이상의 연관성을 기술하였다.4) 이어 1960년 Gorlin과 Goltz가 이 증상들을 하나의 증후군으로 정의하였으며,5) 1987년 Gorlin이 이전에 자신이 Gorlin-Goltz 증후군이라 명명했던 질환의 주요한 특성을 기술하였다(Table 1).6)
   1992년 Farndon 등은 유전학적 연구보고에서 이 증후군과 관련된 유전자가 9번 염색체의 장암 22.2~31(9q22.2~q31)에 걸쳐 위치하고, 가장 가능성 있는 위치는 DNA 표지자 D9S12과 D9S53 사이라고 하였고,7) 1994년 Wicking 등은 추가적인 가계 분석을 통해 유전자의 위치가 DNA 표지자 D9S196과 D9S180 사이에 위치한다고 하였다.8) 이후 이 질환은 PATCHED(PTCH)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Drosophilia patched 유전자에 대한 사람에서의 상동유전자이다.9)
   이 증후군은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초기 증상을 보이는 다기관성 질환이다.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척추나 늑골이상, 두개내 천막의 골화, 다발성 기저세포암종, 악골의 치성 각화낭종증, 손바닥과 발바닥의 소와 등이 있다.10) 부비동내 발생하는 낭종은 치성 또는 비치성일 수 있으나, 이 증후군에서 흔히 보이는 각화낭종은 치성낭종으로 각질화된 상피로 덮여 있으며 65~75%에서 나타난다. 손·발에 생기는 소와는 10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해 점차 그 수가 증가한다. 이밖에 정신지체, corpus collosum의 무형성, 그리고 선천성 수뇌증과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11) 그리고 동반되는 가장 빈번하게 보고되는 종양 중 하나로 수아세포종이 있으며,12) 난소의 골화 및 섬유종, 심장의 섬유종, 구개열, 그리고 사시나 녹내장과 같은 안과적 이상 등도 보고되었다.13) 본 증례에서는 상악의 부비동염을 동반한 치성 낭종을 비롯하여 하악의 다발성 치성 각화낭종증, 이분화된 늑골, 두개내 천막의 골화, 짧은 4번째 중수골, 척추와 골반의 경도의 형태적 이상, 양발의 다지증, 배부의 기저세포모반이 나타났으며 정신지체, 양안격리증, 우안의 선천성 백내장, 홍체결손, 완맹에 가까운 심한 약시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다발성 기저세포암종이나 손·발의 소와는 나타나지 않았다.
   진단에 있어 고해상도 컴퓨터전산화단층촬영은 치아의 침범뿐 아니라 매우 작은 영역이나 질환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14) 1991년 Lovin 등은 자기공명영상촬영이 기저세포모반증후군에서 나타나는 낭종성 병변의 파악에 도움이 된다 하였다.15) 현재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의 색출이 진단에 가장 신빙성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단지 연구목적으로 적합할 뿐 임상적인 도구가 되지 못하고 있다.
  
낭종의 치료는 낭종을 적출하고 개방형 팩킹(open packing)을 하고 일차봉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남아 있는 점막이나 미세 낭종으로 인해 재발되는 것을 막기 위해 낭종의 점막을 절제하고 골성 내강을 소작시킨다.16) 반면에, 얼굴과 경부에 발생한 기저세포암종은 수술을 통해 절제해야 한다. Cryosurgery나 국소적인 fluorouracil의 도포는 넓게 분포된 기저세포상피종의 치료방법으로 사용된다.17) 그러나 방사선치료는 주변조직의 악성변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16)
   낭종과 모반은 광범위한 수술적인 절제에도 불구하고 재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환자를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하여야 한다. 만일 유전학적인 연구가 가능하다면 환자의 가족에 대하여 시행하고 추적 관찰해야 하는데 이는 가족들에서도 이 증후군의 징후가 발생하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기저세포모반증후군은 동양인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질환이다. 저자들은 치성의 급성 상악동염의 치료과정에서 다발성의 상, 하악의 낭종을 발견하고, 추가적인 환자에 대한 평가 과정을 거쳐 기저세포모반증후군으로 진단한 증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Gorlin RJ, Sedano HO. The multipl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revisited. Birth Defects Orig Artic Ser 1971;7:140-8.

  2. Howell JB.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Profile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oncogenesis. J Am Acad Dermatol 1984;11:98-104.

  3. Kopera D, Cerroni L, Fink-Puches R, Kerl H. Different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J Am Acad Dermatol 1996;34:937-9.

  4. Howell JB, Caro MR. The basal cell nevus. Its relationship to multiple cutaneous cancers and associated abnormalities of development. Arch Dermatol 1959;79:67.

  5. Gorlin RJ, Goltz RW. Multiple nevoid basal-cell epithelioma, jaw cysts and bifid rib: a syndrome. N Engl J Med 1960;262:909-12.

  6. Gorlin RJ. Nevoid basal-cell carcinoma syndrome. Medicine (Baltimore) 1987;66:98-113.

  7. Farndon PA, Del Mastro RG, Evans DG, Kilpatrick MW. Location of gene for Gorlin syndrome. Lancet 1992;339:581-2.

  8. Wicking C, Berkman J, Wainwright B, Chenevix-Trench G. Fine genetic mapping of the gene for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Genomics 1994;22:505-11.

  9. Hahn H, Wicking C, Zaphiropoulous PG, Gailani MR, Shanley S, Chidambaram A, et al. Mutations of the human homolog of Drosophila patched in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Cell 1996;85:841-51.

  10. Colton JL, Kavey RE, Palmier CE, Tunnessen WW Jr. Cardiac tumors and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Pediatrics 1991;87:725-8.

  11. Gorlin RJ, Yunis JJ, Tuna N. Multipl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odontogenic keratocysts, and skeletal abnormality: A syndrome. Acta Dermatology-Venereology 1963;43:39-55.

  12. Lacombe D, Chateil JF, Fontan D, Battin J. Medulloblastoma in the nevoid basal cell carcinoma syndrome. Genetic Counselling 1990;1:273-7.

  13. Evans DG, Ladusans ET, Rimmer S, Burnell LD, Thakker N, Farndon PA. Complications of the Gorlin-Goltz syndrome. Journal of Medical Genetics 1993;30:460-4.

  14. Lehrman BJ, Mayer DP, Tidwell OF, Brooks ML. Computed tomography of odontogenic keratocysts. Computed Medical Imaging Graph 1991;15:365-8.

  15. Lovin JD, Talarico CL, Wegert SL, Gaynor LF, Sutley SS. Gorlin's syndrome with associated odontogenic cysts. Pediatric Radiology 1991;21:584-7.

  16. EL-Abdin H, Ruprecht A, Gailani MA. Basal cell nevus/bifid rib syndrome (Gorlin-Goltz Syndrome). A five-year follow-up of a case. Journal of Oral Medicine 1987;42:280-3.

  17. Tsuji T, Otake N, Nishemura M. Cryosurgery and topical fluorouracil-a treatment method for wide spread basal cell epithelioma in basal cell nevus syndrome. Journal of Dermatology 1993;20:507-1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