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4(5); 2001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1;44(5): 553-555.
Ancient Schwannoma in the Tracheoesophageal Groove.
Ki Hwan Hong, Seung Young Moon, Beom Kyu Kim
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College of Medicine, Institute for Speech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ju, Chonbuk, Korea. khhong@chonbuk.ac.kr
기관 식도구에 발생한 고대 신경초종
홍기환 · 문승영 · 김범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주제어: 신경초종기관식도구반회후두신경.
ABSTRACT
The schwannoma is an encapsulated nerve sheath tumor. We experienced a case of ancient schwannoma arising in the tracheoesophageal groove, probably originating from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 It was presented on the right lower lateral neck, anterior to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e CT scan and esophagography suggested a tumor in the thyroid gland and the esophagus, but the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suggested a neurogenic tumor. The mass was completely removed with careful preservation of its nerve. The mass was interpreted as an ancient schwannoma by a pathologist. The patient had a favorable postoperative course, except for a temporary vocal fold paralysis.
Keywords: SchwannomaTracheoesophageal grooveRecurrent laryngeal nerve

교신저자:홍기환, 561-712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2동 634-18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전화:(063) 250-1990 · 전송:(063) 250-1986 · E-mail:khhong@chonbuk.ac.kr

서     론


   신경초종은 신경초의 Schwann세포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양성종양으로 종물이 피막에 잘 싸여져 있고 서서히 자라다가 주위조직을 압박함으로써 증상이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다.1)
   신경초종은 두경부와 상하지의 굴측부에 호발하며2) 전 신경초종의 약 45%가 내이도, 외이도, 설, 비강, 인두, 후두 등의 두경부에서 발생하며,3) 특히 미주신경에서 기원한 신경초종이 부인강을 침범한 경우가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반회후두신경에서 기원한 신경초종이 후두내를 침범한 예가 문헌상 보고되었는데5)6) 후두에서 발생한 신경초종은 주로 감각신경에서 기원하며 상후두신경과 반회후두신경의 말단분지에서 기원한다.7) 또한 후두내 신경초종은 대부분 피열후두개주름8)을 침범하고 가성대주름9)과 피열연골10)을 침범하게 되어 연하곤란, 발성장애, 후기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초래하게 된다.11)
   최근 저자들은 아직 국내외에 보고된 적이 없는 기관식도구(tracheoesophageal groove)의 반회후두신경에서 기원한 후두외 신경초종(extralarygeal schwannoma) 1예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60세 여자 환자가 내원 9개월 전에 발생하여 서서히 자라다가 내원 4개월 전부터 급속히 커진 경부 종물을 주소로 내원 하였다. 환자는 가벼운 호흡곤란과 연하곤란을 호소하였으나 연하통, 객혈, 체중감소 등의 다른 증상은 호소하지 않았고 전신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후두내시경 소견상 성대마비 등의 후두질환은 없었다. 과거력상 특이 소견은 없었고 경부촉진상 우측 경부 흉쇄유돌근 전하방부에 약 4×5 cm 크기의 부드럽고 비압통성의 종물이 촉진되었다. 방사선 소견은 경부측방향 촬영법에서 균질하게 음영이 증가된 연부조직 음영이 보였고 식도조영술상 외부종괴에 눌려 편향된 식도 소견이 보였다(Fig. 1). 전산화 단층촬영 소견 상 우측 기관식도구를 채우는 약 5×6 cm 크기의 경계가 명확한 연부조직 음영의 종물 소견이 보이고 있었다(Fig. 2). 이러한 소견은 종양이 갑상선이나 식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으나 세침흡인세포검사상 신경초종이 의심되었다.
  
저자들은 경부접근법을 통한 종양 전적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 종양은 우측 기관식도구의 반회후두신경에서 기원하고 있었고 좌측 방향으로 기관과 식도를 밀치고 있었다(Fig. 3). 종양은 6.5×4×3.5 cm 크기의 확실하게 구별되어지고 잘 피막화된 단일 종괴였으며 반회후두신경을 보존하기 위해 최대한 조심스럽게 박리하였다.
   육안적 소견상 종양은 잘 피막화된 중등도 견고한 종물로 절단면에서 오래된 출혈과 낭형성 및 석회화 소견이 관찰되었고 H-E 염색상 핵이 책상 배열을 하고 있는 Antoni A areas로 주로 구성된 소견을 보이고 있어 고대 신경초종으로 진단되었다(Fig. 4).
   술 후 치유는 우측성대의 일시적 마비 소견 외에 순조롭게 회복하였다. 술 후 6일째 환자는 퇴원하였고 음성치료가 권장되었으며 우측성대의 마비는 술 후 5개월까지 자발적으로 완전 회복되었다.

고     찰

   신경초종은 1908년 Verocay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2) 이러한 신경초종은 말초신경, 뇌신경, 교감신경 등의 신경초에서 발생하며 대개는 단발성으로 천천히 자라며 피막으로 잘 둘러싸여 있는 양성 종양이다. 종양은 부인강(parapharyngeal space)과 같은 두경부와 상하지의 굴측부에서 호발하며 모든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20대에서 50 대 사이의 연령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여성에서 호발하며 신경과 부착되는 단일지점을 제외하면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종양이 신경초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신경외막으로 구성된 진피막(true capsule)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두경부 신경초종의 2~10%가 악성이다.13)
   고대 신경초종이란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자란 크기가 큰 종양으로서 조직학적으로 출혈, 낭형성, 석회화, 혈관주위 유리질화, 황색종 침투 등의 퇴행성 변화를 보이는 신경초종을 말한다.14) 또한 고대 신경초종은 세포 및 핵의 이형성이 뚜렷하며 Schwann세포 핵이 크고 과색소성을 띄며 다분엽화 되어 있지만 핵분열 형상은 적은 점이 특징이다.15)
   이 증례는 고대 신경초종의 무활동성 성장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성장의 교체시기를 겪은 큰 종물로서 특징적인 조직학적 소견인 퇴행성 변화를 보이고 있다. 증례에서 나타난 증상은 신경초종 크기 증가에 의한 주위조직 압박으로 나타난 것이며 우측성대의 일시적 마비는 종물이 우측 반회후두신경으로부터 기원했기 때문이다.
   S-100 단백질은 중추 또는 말초 신경계의 지지세포에 풍부하므로 신경초종의 Antoni A areas에서 쉽게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임상양상이 갑상선이나 식도종양으로 쉽게 오인될 수 있는 후두외 반회후두신경에서 기원한 신경초종이라는 희귀한 증례를 치험하였고 그 육안적, 현미경적 소견으로 고대 신경초종이라고 쉽게 진단할 수 있었으며 종양의 조심스러운 적출로 영구적 성대마비의 원인인 반회후두신경 손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Moore CE, Putzi M, McClatchey KD, Terrell J. Ancient schwannoma of the posterolateral pharynx: A benign lesion commonly mistaken for a sarco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7;117:125-8.

  2. Argeny ZB, Balogh K, Abraham AA. Degenerative (“ancient”) changes in benign cutaneous schwannoma. A light microscopic, histochem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J Cutan Pathol 1993;20:148-53.

  3. Hawkins DB, Luxford WM. Schwannoma of the head and neck in children. Laryngoscope 1980;12:1921-6.

  4. Maniglia AJ, Cahndler JR, Goodwin WJ, Parker JC. Schwannoma of the parapharyngeal space and jugular foramen. Laryngoscope 1979;89:1405-14.

  5. Hermes H. Neurinoma of the recurrent laryngeal nerveas a case report, an argument for nerve preparation. Laryngorhinootologie 1998;68:244-5.

  6. Yamamoto S. A case report of neurinoma originating from the recurrent nerve. Nippon Kyobu Geka Gakkai Zasshi 1991;39:2203-7.

  7. Phang WK, Raman R, Jayalaksim E. Neurogenous tumour of the larynx. J Laryngol Otol 1987;101:1209-10.

  8. Ogura JH, Biller HF. Cysts and tumours of the larynx. In Otolaryngology. Paparella MM, Shumrick KA, eds. WB saunders, Philadelphia;1973. p.658-65.

  9. Palva T, Hokinen K, Karja J. Neurilemmoma (schwannoma) of the larynx. J Laryngol Otol 1975;89:203-7.

  10. Hippel K, Chimelewski G. Schwannom des larynx bei Morbus Recklinghausen. Differentialdiagnostishe Erwanungenund immunhistochemischer nacheis. Laryngorhinootologie 1989;68:611-3.

  11. Jamal MN. Schwannoma of the larynx: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 Laryngol Otol 1994;108:788-90.

  12. Iliades CE, Hock H, Gelmann H. Neurilemmoma of the pharynx. Laryngoscope 1972;82:430-7.

  13. Triaridis C, Tsalighopoulos MG, Kouloulas A, Vartholomeos A. Posterior pharyngeal wall schwannoma. J Laryngol Otol 1987;101:749-52.

  14. Dahl I. Ancient neurilemmoma (schwannoma). Acta Pathol Immumnol Scand 1997;85:812-8.

  15. Wenig B. Atlas of head and neck path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1993. p.156-9.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1,716
View
11
Download
Related articles
Clinical Analysis of Tracheoesophageal Foreign Bodies  1989 ;32(3)
Pyogenic Granuloma in the Trachea  1972 ;15(4)
A Case of Schwannoma of the Tongue.  1997 February;40(2)
A Case of Ancient Schwannoma of the Lingual Nerve.  2000 May;43(5)
A Case of Schwannoma of the Trachea.  2002 October;45(10)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