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3(3); 2000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0;43(3): 344-346.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Il Whan Jang, Jeung Gi Jenun, Byung Yuk Yoo, Geun Shin Lyu
1Department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Inchon, Korea.
2Department of Pathology, Gachon Medical School, Gil Medical Center, Inchon, Korea.
상악동에 발생한 우상암
장일환1 · 전정기1 · 유병욱1 · 유근신2
가천의대학부속 길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1;병리학교실2;
주제어: 우상암상악동.
ABSTRACT
Verrucous carcinma is a variant of well-differentiated squamous cell carcinoma. Althousgh the tumor is well-documented in the oral cavity or larynx, its occurrence in the maxillary antrum is very rare. It of fa relatively nonaggressive tumor which seldom metastasizes to the neck or distantly With proper treatment, the prognosis is excellent.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verrucous carcinoma arising in maxillary antrum which was sucessfully treated with maxillectomy. In this paper,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eywords: verrucous carcinomamaxillary antrum

서     론

   

   우상암은 Ackerman에 의해 1948년 편평상피암의 한 종류로 처음 보고된 이후 두경부와 외음부에서 보고되었다. 두경부에서는 대부분이 구강과 후두암에 발생하고, 비강과 부비동에서의 발생은 드문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상암은 임상적으로는 악성소견을 보이나 병리소견에서는 양성소견을 보이는 질환으로 다른 상피암과는 달리 저위험 암군으로 전이는 드물고 재발은 간혹있는 경우가 있으나 적절히 치료받으면 대체로 예후가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최근에 저자들은 우측 비폐색과 협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악동의 우상암으로 진단된 1예를 문헌고찰과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64세 여자환자가 내원 1개월 전부터 발생한 우측 비폐색과 우측 협부종창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2개월 전부터 안화주위 동통과 유루(epiphora)로 안과에서 치료받았던 분으로 증상의 악화와 비폐색이 동반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과거력상 1년전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현재 약물투여 중으로 그외 음주력이나 흡연력 등의 특이 사항은 없었다. 이학적 소견은 비강 내시경에서 우측 중비도에 흰색가피를 동반한 궤양과 충혈의 유두상 종물이 관찰되었으며, 우측 협부에 종창과 압통이 있었고 경부촉진상 종물은 만져지지 않았다.
   각종 혈액검사, 뇨검사, 혈청검사, 간기능검사와 흉부 X-선상 정상소견을 보였으나, 심전도상 비정상 Q 파를 보였고, 심초음파에서는 경도의 대동맥판협착증, 대동맥판 역류증을 보였다. 방사선 소견은 후두비부방향촬영법(Water's view)에서 우측 상악동에 혼탁상(opacification)을 보였으며,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우측 상악동과 우측 비강내에 연부조직 음영이 가득 차 있는 양상이었으며 우측 상악동의 내측, 외측과 상부 골부가 연부조직에 의해 밀려 얇아져 있었다(Fig. 1). 자기공명촬영상(MRI) T1 강조영상에서 주위 근육보다 고신호강도를 나타내었고 T2 강조영상과 조영제 주입후 T1 강조영상에서는 중심부의 저신호강도와 주변부에 고신호강도가 관찰되었다(Fig. 2). 골동위원소(bone scan) 검사상 우측협골상악골에 골흡수의 증가소견이 보였다.
   외래에서 실시한 비강내 조직검사에서 처음에는 만성염증소견만이 보였고, 추가로 1개월 뒤에 2차례 시행한 우측 비점막 조직섬사에서도 각화 부전증의 비정형 편평세포(dyskeratiotic atypical squamous cell) 소견을 보였으며, 외래 통원 치료 중 우측 협부동통이 심해져 입원하였다.
   수술은 전신마취하에 내측 상악절제술을 통하여 종물을 제거였다. 종물은 우측 사골동 및 상악동의 전부를 차지하였고, 상악동의 전면, 내측, 외측과 안구저의 골부의 일부가 손상되어 있었으며 협근과 안와주위 골막은 종물에 유착된 상태였지만 박리가 용이하였으며, 안구와 경구개 및 사판은 잘 유지되어 있었다.
   조직병리소견상 육안적으로 쉽게 부스러지며 국소적 궤사가 있는 6×4 cm 크기의 종물로 관찰되었고, 현미경소견상 이상각화증, 과각화증을 동반한 유두상모양의 분화된 상피세포가 관찰되며, 기저세포 주위에 임파구 침범이 심한 우상암이 관찰되었다(Figs. 3 and 4).
   환자는 수술후 비폐색이 소실되었으며 퇴원후 약 2년간 재발의 소견없이 현재 외래 추적관찰중이다.

고     찰


   우상암은 1948년 Ackerman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구강내 국한된 31명의 환자에서 흰회색의 꽃배추모양으로 서서히 자라고 백반증을 동반하며 분화가 잘 되어있는 상피암의 일종으로 국소적으로 침윤은 있으나, 전이는 드문 질환이라 하였다.1)
   우상암이 발생하는 부위는 Elliott에 의하면 구강내(54%) 발생이 가장 많고 항문주위(12%), 후두(10%)에 비교적 흔하며, 이상화(pyriform sinus), 비소주(columella), 비루관, 식도, 피부, 음낭, 음경, 외음순, 질 자궁경부, 하지등에 발생하였다.2-6) 비강내의 우상암은 Krause6)에 의해 처음 발표되었으며, 특히 부비동에 발생한 경우는 상악동 개구부(maxillary antrum)와 전두동에 발생한 것으로 보고 되었다.2)7-11)
   발생원인으로는 구강내 우상암은 씹는 담배나 피우는 담배와 구강위생이 불결한 경구가 원인이 될 수 있으나, 그외 부비동을 비롯한 다른 병변의 경우는 원인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
   병리학적 소견으로 우상암을 육안적으로는 넓게 이식된 외장성 돌출성종물이지만, 현미경적 소견은 기저막은 잘유지되어 있으며 압축된 합입의 두꺼운 케라틴층에 의해 조양조직이 둘러싸여 있으며, 색분열(mitosis)와 이형성(dysplasia)은 드물고 결체조직은 염증소견을 보인다. 요철보양(zigzag surface)의 연속성은 잘 분화된 편평상피 세포의 아주 긴 사상(filiform)으로 유지되어 있으나 종양이 점차 확장되는 경우는 염증반응에 의해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1)6)10)12)13) 저자의 예와 같이 소량의 조직검사의 경우에는 과각화증이나 극세포증로 결과가 나와 양성 종양으로 오진될수 있으므로 적당한 크기의 검체가 필요하며, 우상암의 임상적인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진단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조직학적으로 양성으로 보이는 경우에 DNA 량이 이배체(diploid:4 n~8 n)이상이면 세포가 악성임을 나타내는 증거가 될 수 있다.14)
   우상암내에 편평상피세포암을 동반한 경우가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일반적인 편평상피세포암 치료와 동일하게 치료한다.
   부비동내에 발행한 우상암의 치료로 수술적 제거가 원칙으로 되어 있으며, 병변의 크기가 작은 경우는 첫 선택으로 기능적 내시경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병변의 크기에 따라 상악동근치수술, 상악절제술등으로 제거하였다.7)9)15) 방사선치료는 Ackerman의 경우 병변이 작고 표재성인경우 14%에서 재발하였으나 Ferlito와 Recher는 71%의 재발을 보였으며, 일부에서는 방사선에 의한 역형성의 변화(anaplastic chage)가 일어나 악성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 되었다.1)3)6)10) 그러나 schwade3)은 60 Co를 이용한 방사선치료로 66%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REFERENCES
  1. Ackerman LV. Verruc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Surgery 1948;23:670-8.

  2. Elliott GB, Macdougal JA, Elliott JD. Problems of verrucose squamous carcinoma. Ann Surg 1973;177:21-9.

  3. Schwade JG, Wara WM, Dedo HH, Phillips TL. Radiotherapy for verrucous carcinoma. Radiology 1976;120:677-9.

  4. Miniell GA, Harrison EG, Fontana RS, Payne WS. Verrucous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Cancer 1967;20:2078-87.

  5. Brownstein MH, Shapiro L. Verrucous carcinoma of skin: Epithelioma cuniculatum plantare. 1976;38:1710-6.

  6. Kraus FT, Perez-Mesa C. Verrucous carcinoma: Clinical and pathologic study of 105 cases involving oral cavity, larynx and genitalia. Cancer 1966;19:26-38.

  7. Lee WC, Lee KD, J JH, Y TH. A case of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sinus. Korean J Otolaryngol 1997;40:1352-6.

  8. Campbell BH, Kun LE, Toohuill RT, Hanson GA, Hansen RM, Malin TC. Diagnososis of malignant lymphoma of the nasal cavity, paranasal sinuses and nasopharynx. Laryngoscopy 1983;93:1276-80.

  9. Bacon MP, Chevretiion EB, Slack RWT, Macleod TLF. Verrucose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J Laryngol Otol 1989;103:415-6.

  10. Ferlito A, Recher G. Ackerman's tumor of larynx: A clinicopathologic study of 77cases. Cancer 1980;46:1627-30.

  11. Newman AN, Colman M, Jayish SA. Verrucous cancinoma of frontal sinus: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tature. J Surg Oncol 1983;24:298-303.

  12. Goethals PL, Harrison EG, Devine KD. Verrucous squamous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m J Surg 1963;106:845-51.

  13. Van Nostrand AWP, Olofsson J. Verrucous carcinoma of the larynx: A clinical and pathologic study of 10 cascs. Cancer 1972;30:691-2.

  14. Ferlito A, Antonutto G, Silvestri F. Histological appearances and nuclear DNA content of verrucous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arynx. ORL (Basel) 1976;38:65-85.

  15. Argawal MS, Martin FW. Unusual presentation of verrucous carcinoma of maxillary antrum. J Otolarygol 1992;21:371-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