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43(5); 2000 > Article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2000;43(5): 549-551.
A Case of CHARGE Syndrome.
Yong Jae Jung, Yong Woo Kim, Hee Kyu Kim, Sang Won Yoon
Department of Otorhinolaryngology, School of Medicine, Eulji University, Seoul, Korea.
CHARGE증후군 1예
정용재 · 김용우 · 김희규 · 윤상원
을지의과대학 을지병원 이비인후과학교실
주제어: CHARGE 증후군후비공폐쇄증이기형.
ABSTRACT
CHARGE syndroine, first described by Pagon, was named for its six dominant clinical features. They are coloboma of the eye, heart defects, atresia of the choanae, retarded growth and development including CNS anomalies, genital hypoplasia and/or urinary anomalies, and ear anormalies and/or hearing loss, We report a case of CHARGE syndrome with choanal atresia and ear anomalies in the otorhinolaryngologic field, with a review of the previously reported literature concerning CHARGE syndrome.
Keywords: CHARGE syndromeChoanal atresiaEar anomalies

서     론


   CHARGE증후군은 매우 드문 선천성 증후군으로 6가지 선천성 질환 즉, 안과적 결손증(Coloboma), 심장기형(Heart anomalies), 후비공폐쇄증(Atresia choanae), 중추신경계의 지연발달(Retarded develop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생식기 기형(Genital hypoplasia)과 귀의 기형(Ear anomalies) 중 최소 4가지 질환을 동반할 경우를 일컫는다. 최근 저자들은 신생아 여아 환아에서 이비인후과영역의 질환인 후비공폐쇄증과 이기형을 동반한 CHARGE증후군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증     례


   생후 1일된 여자환아로 개인 산부인과병원에서 정상분만 하였으나 출생 당시부터 발생한 호흡곤란과 수유시 발생하는 청색증이 있어 본원 소아과로 전원되어 흉부검사 실시한 결과 심장 혈관륜(vascular ring) 소견이 보여 흉부외과에서 동맥관 개존증 분리술(division of patent ductus ateriosus) 및 동맥고정술(arteriopexy)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에도 지속되는 호흡곤란, 구강호흡과 수유시 발생하는 청색증이 있어 본과로 의뢰되었다. 가족력상 특이소견 없었으며, 전신소견상 분당 60회의 빈호흡을 보였고 입을 막을 시 심한 청색증 소견이 보였다. 양측 비강을 통하여 5 French의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나 비인강으로 통하지 않았고 비내시경 검사로 양측 후비공 폐쇄를 확인하였다. 육안적 외이 소견상 좌측 이개가 우측 이개에 비해 아래에 위치하였고(Fig. 1), 양측 고막은 정상소견을 보였다. 뇌간유발청력검사상 양측 귀에서 전혀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안과적 검사상 양측 눈에 안과적 결손증(coloboma)의 소견을 보였다. 부비동 전산화단층촬영 및 부비동 sagittal reconstruction촬영에서 양측 후비공에 막이 보이고 서골이 약간 두꺼워져 있으며 양측 후비공이 막성으로 폐쇄된 소견이 보였다(Figs. 2 and 3).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양측와우가 기저회전만 발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4). 뇌초음파 소견은 전반적으로 초음파 음영이 감소된 소견을 보였다. 환아는 본과로 전과되어 양측 후비공폐쇄증 개방술을 시행받았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서 2.7 mm 비내시경을 이용하여 양측 막성 폐쇄판을 확인후 막성 폐쇄판에 십자형의 절개를 가하고 절개감자를 이용하여 막성 폐쇄판을 완전히 제거한후 확보된 개구부에 기관지내 튜브 3.5 번을 유치하였다. 수술후 6주째 삽입한 튜브를 제거하였고, 그후 12개월간 추적 관찰하였으나 재협착 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고 정상적인 비호흡을 하였다. 이과적 문제 및 타과적 문제는 계속 추적 관찰중이다.

고     찰


   CHARGE증후군은 1979년 Hall1)에 의해 처음 CHARGE association으로 기술되었으며, 1981년 Pagon 등2)에 의해 Coloboma, Heart defect, Atresia choanae, Retardation of development and/or growth, Genital hypoplasia, Ear anomalies and deafness의 첫 앞문자를 따서 CHARGE로 처음 명명되었다. 1990년 Blake 등3)은 6가지 선천성 질환이외에도 척추기형, 신장기형, 안면신경마비, 양안격리증(hypertelorism), short neck, widely spaced nipples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고 보고하였다.
   CHARGE증후군 환자의 대부분은 유전적 인자가 명확하지 않으나 일부에서는 유전적 이상이 밝혀졌다.2)4-7) 유전적 이상은 상염색체 우성과 열성 모두 나타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8)9) 핵형 분석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상소견을 보인다고 보고되어 있다.4)8)9) Hintter 등8)은 17명의 환자 중 2명을 제외하고 모두 정상 염색체 소견을 보였다고 하였고, Blake 등3)은 22번 염색체의 보전성(integrity)과 흉선과 부갑상성선의 기능장애가 이 질환의 진단에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본환자는 가족력과 염색체 검사상 특이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CHARGE증후군은 6가지 선천성 질환 중 4가지 이상의 질환이 존재하여야 한다고 정의하였고 그 중 안과적 결손과 후비공폐쇄증이 가장 흔하다고 한다.3) 각각의 선천성 질환을 보면 안과적 질환으로는 홍채결손, 안저결손, 안검결손 등이 안과적 결손증으로 나타나고,10) 선천성 심장 질환으로는 Fallot 4증후와 심실결손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중추신경계 지연으로는 정신지체, 지능장애와 발육장애 등이 나타난다. 비뇨기과적 장애로는 생식기 부전증 및 호르몬 이상증이 주로 나타나며 여아에서는 비뇨기과적 선천성 이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고 보고되어 있다.11)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는 후비공폐쇄증과 이기형 및 난청이 증후군에 속하며 후비공폐쇄증은 일반적으로 출생아의 7000에서 8000 명당 한 명의 비율로 나타난다고 하며, 선천성인 경우 약 10~15%에서 다른 선천성 기형과 동반한다고 보고되어 있다.12) 이 증후군에서도 후비공폐쇄증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선천성 기형으로 되어 있다. 선천성 이 질환으로는 외형적인 귀의 기형과 중이 및 내이의 기형으로 인한 선천성 난청이 나타난다고 한다.3) Blake 등3)은 50명의 CHARGE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6%환자에서 후비공폐쇄나 협착을 보였고, 그 중 57%가 양측으로 나타났다. 이 질환의 대부분에서 외형적 귀의 기형이 관찰되는데 68%에서 양측성이며, 3분의2 환자에서 중이의 이상으로, 38%에서 내이의 이상으로 인해 심한 청력장애를 동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Davenport 등13)은 외이 기형의 형태가 소이, 배상이, 저위이, 돌출이 및 이수나 대이륜의 형태변형 등의 이개기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중이에서는 이소골의 기형과 등골건 이상이 흔하며 이로 인해 전도성 난청이 유발된다고 하였다. 내이의 기형은 와우의 부전발달이나 전정기관 및 신경의 이상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청력장애의 형태로는 혼합성 난청이 대부분이며 청력검사상 공기전도는 모든 주파음에서 떨어져 있고 골전도는 저주파음에서 고주파음으로 가면서 떨어지는 쇄기형 청력도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CHARGE증후군 환아의 1년생존률은 70%정도이며 사망은 대부분 1세 이전에 일어나며 가장 많은 원인은 분비물의 흡인으로 인한 호흡기 장애라고 한다.3)
   본 환아에서는 CHARGE증후군의 6가지 기형 중 안과적 결손증으로 양측 안저결손의 소견과 선천성 심장질환으로는 심장혈관륜을 가진 동맥관개방증이 있었으며, 지능 및 발육이나 성장장애는 파악할 수 없었으며 비뇨기과적 선천성 장애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환아가 여아이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이비인후과적 질환으로는 선천성 질환인 후비공폐쇄증과 이기형이 모두 나타났다. 후비공폐쇄증은 양측에 막성폐쇄로 나타났고 이기형은 이개기형으로 저위이가 좌측에서 관찰되었고 내이에서 양측 와우의 부전발달이 있었으며 뇌간유발청력검사상 난청의 소견이 나타났다. 이와 같이 6가지 기형중 4가지의 기형소견이 보여져 CHARGE증후군에 합당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 저자들은 후비공폐쇄증과 이기형 및 난청을 동반한 CHARGE증후군을 가진 환아에서 비내시경 수술을 이용하여 비강으로 양측 후비공 폐쇄를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Hall BD. Choanal atresia and associated multiple anomalies. J Pediatr 1979;95:395-8.

  2. Pagon RA, Graham JM, Zonana J, Young SL.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Choanal atresia with multiple anomalies: CHARGE association. J Pediatr 1981;99:223-7.

  3. Blake KD, Russell-Eggitt IM, Morgan DW, Ratcliff JM, Wyse RKH. Who's in CHARGE?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HARGE association. Archieves of disease in Childhood 1990;65:217-23.

  4. Mitchell JA, Giangiacomo J, hefner MA, Thelin JW, Pickens JM. Dominant CHARGE association. Ophthalmic Pediatr Genet 1985;6:31-6.

  5. Metlay LA, Smythe PS, Miler ME. Familial CHARGE syndrome: Clinical report with autopsy findings. AMJ Med Genet 1987;26:577-81.

  6. Collum LMT. Uveal coloboma and other anomalies in three generations of one family. Br J Ophthalmol 1971;55:458-61.

  7. Ho CK, Kaufman RL, Podos SM. Ocular colobomata, cardiac defect, and other anomalies: a study of seven cases including two sibs. J Med Genet 1975;12:289-93.

  8. Hittner HM, Hirsch NJ, Kreh GM, Rudolph AJ. Colobomatous microopthalmia, heart disease, hearing loss and mental retardation: a syndrome.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79;16:122-8.

  9. Warburg M. Ocular coloboma and multiple congenital anomalies: the CHARGE association. Ophthal Pediatr Genet 1983;2:189-99.

  10. Ahn BS, OH SY.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ARGE Syndrome. Korean J of Ophthal 1998;12:130-4.

  11. Dobrowski JM, Kenneth NR, Joan JI. Otorhinolaryngic manifestations of CHARGE association. Otolaryngology Head and Neck Sugery 1985;93:798-803.

  12. Yeo SG, Park GY, Kim KJ, Kim JH. A Case of Congenital Choanal atresia. Journal of Clinical Otol, Head and Neck Surgery 1998;9:336-41.

  13. Davenport SL, Hefner MA, Mitchell JA. The spectrum of clinical feature in CHARGE syndrome. Clin Genet 1986;29:298.

TOOLS
PDF Links  PDF Links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Share:      
METRICS
2,143
View
11
Download
Related articles
A Case of Dual Ectopic Thyroid  2018 March;61(3)
A Case of the Thyroid Abscess  1996 ;39(10)
A Case of Type 1b Immotile Cilia Syndrome  1996 ;39(5)
A Case of Cervical Teratoma  1996 ;39(5)
A Case of Laryngeal Leiomyoma  1995 ;38(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