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ology
문 1. 다음 중 이관 기능 검사법으로 적절한 것은?
① Valsalva test
② Pure tone audiometry
③ Gelle test
④ Rinne test
⑤ Weber test
문 2. 다음 중 이관 개방증 치료로 적절한 것은?
① Balloon e tuboplasty
② Ventilation tube insertion
③ Wait and see, steroid spray
④ Swallowing maneuver
⑤ Stop topical estrogen drop
Head and Neck
문 1. 다음 중 기관절개술의 합병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기관절개술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 튜브 폐쇄, 튜브 변위의 순이다.
② 기흉, 무기폐, 기관협착이나 기관식도누공 등은 1% 이하로 드물다.
③ 기관절개술 후 발생하는 출혈의 대부분은 전경정맥이나 갑상선에서 발생한다.
④ 응급수술의 경우 급하게 수술을 하다 보면 정중앙이 아닌 기관의 측면으로 진행을 하여 한쪽 혹은 양쪽 반회후두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⑤ 기관절개술 후 발생하는 피하기종은 기관절개를 너무 적게 하거나 기관삽관 주위의 피부나 연조직을 제대로 봉합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
문 2. 다음 중 소아 기관절개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성인에 비하여 작은 해부학적 구조와 짧은 목, 불안정한 기관과 인접한 주요 구조물들로 인하여 더욱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② 기관삽관등을 먼저 시행하여 기도를 확보한 후 전신마취하에 수술실에서 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③ 성인과 다르게 일반적으로 수직절개가 선호된다.
④ 기관전벽의 제거나 피판 사용은 기관협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⑤ 소아에서는 성인과 다르게 움직임이 많을 수 있으므로 기낭(cuff)이 있는 tube를 주로 사용하여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답 및 해설
Otology
문 1. 답 ①
해 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3-4.
문 2. 답 ②
해 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395.
Head and Neck
문 1. 답 ⑤
해 설 기관절개술 수술 중에 경부의 연조직으로 공기가 들어가서 발생하는 피하기종은 비교적 흔한 합병증이며, 지나치게 기관 절개를 크게 하거나 기관삽관 주위의 피부나 연조직을 촘촘하게 봉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85-6.
문 2. 답 ⑤
해 설 소아용 튜브로는 일반적으로 기낭(cuff)이 없는 것이 선호되며, 기낭이 있더라도 팽창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