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8(3); 2025 > Article

Review

문 1. 소아에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을 위해 가장 권장되는 검사 방법은?
① 폐기능 검사
② 가정용 수면 무호흡 검사(home sleep apnea test)
③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PSG)
④ 혈중 산소포화도 검사
⑤ 체성분 분석
문 2. 다음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인지 및 행동 문제
② 심혈관계 합병증
③ 성장 지연
④ 야간 저산소증
⑤ 이명
문 3. 다음 중 소아에서 지속적 기도양압치료(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적용이 가장 적절한 경우는?
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후에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지속되는 경우
② 단순 코골이가 있는 건강한 소아
③ 성장장애가 있는 모든 소아
④ 야간 땀을 많이 흘리는 소아
⑤ 감기 증상이 있는 소아
문 4. 다음 중 수면다원검사(PSG)를 반드시 시행해야 하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과체중이지만 별다른 수면 문제가 없는 소아
② 단순 야경증(night terror)을 보이는 소아
③ 신경근육계 질환이 있어 야간 저산소증이 의심되는 소아
④ 수면시간이 비교적 짧은 소아
⑤ 성장 장애가 있는 소아

Otology

문 1. 85세 남자 환자가 난청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청력검사결과가 아래와 같고 어음명료도는 우측 38%, 좌측 40%이다. 적절한 청력재활 방법과 그 설명은?
kjorl-68-3-139i1.jpg
① 우측 보청기만 착용해도 충분하다.
② 양측 보청기의 사용을 권장하며, 보청기에 대한 효과도 뛰어나다.
③ 양측 보청기 사용을 권장하며, 보청기의 만족도가 뛰어나지 않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
④ 중이이식술
⑤ 골도보청기
문 2. 보청기를 처음 착용한지 1주째 내원한 환자가 보청기에서 “삐-” 하는 소리가 난다고 하였다. 가장 적절한 조치는?
① 저주파수 부위의 gain을 줄인다.
② 고주파수 부위의 gain을 낮춘다.
③ Phase cancellation 기능을 중지한다.
④ Vent 크기를 가능한만큼 크게 한다.
⑤ 보청기 사용을 중지한다.

Rhinology

문 1. 미각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미각 신경은 한 가지의 맛에 대해서만 특이적으로 반응한다.
② 각각의 미뢰는 하나의 구심성 신경에 의해 지배받는다.
③ 미각은 후각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④ 각각의 미각 신경에는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미각물질이 있다.
⑤ 모든 미각 신경은 기본적인 4가지 맛에 대해 똑같이 반응한다.
문 2. 미각장애에 대한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① 첨가제는 미각 증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② 짜고 쓴 맛의 이상미각증(salty and bitter dysgeusia)에는 penicillamine을 사용할 수 있다.
③ 타액 감소 시 타액대용품(salivary substitutes)을 사용하면 미각을 증진시킬 수 있다.
④ 미각 저하를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거의 없다.
⑤ 음식을 꼭꼭 오래 씹고,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미각 증진에 도움이 된다.

Head and Neck

문 1. 다음 중 Cisplatin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표적인 독성으로 신독성이 있다.
② 오심, 구토의 위장장애가 가장 심한 약제이다.
③ 말초신경합병증, 고주파 청각 상실 등도 나타날 수 있다.
④ Pyrimidine 유사체 대사길항제이다.
⑤ DNA 손상을 통해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문 2.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탈모는 모낭에 대한 항암제의 직접적인 세포 독성에 의하며, 영구적이다.
② 골수 기능 억제는 가장 흔한 용량 제한 독성(dose-limiting toxicity)이며 일반적으로 6-8주가 되면 정상으로 회복된다.
③ 오심과 구토는 항암화학요법의 주 부작용 중 하나로 예방이 힘들다.
④ Cisplatin과 methotrexate는 신장 독성을 보인다.
⑤ Cisplatin은 carboplatin에 비해 신독성, 이독성은 적지만 골수억제는 보다 흔하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③
해 설 수면다원검사(PSG)는 소아 수면무호흡증 진단의 gold standard로, 객관적인 호흡 지표 및 수면 생리학적 평가를 제공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에 필수적이다.
문 2. 답 ⑤
해 설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는 신경인지 기능 저하, 행동 문제, 심혈관계 위험 증가, 성장 지연, 야간 저산소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명(tinnitus)은 대표적인 합병증이 아니다.
문 3. 답 ①
해 설 CPAP는 tonsillectomy and adenoidectomy 후에도 OSAS 증상이 지속되거나, 해부학적 이상으로 인해 수술이 어려운 소아에서 효과적인 치료 옵션이다. 단순 코골이나 성장장애, 감기 증상과는 관련이 없다.
문 4. 답 ③
해 설 신경근육계 질환이 있는 소아는 호흡근 약화로 인해 야간 저산소증이나 저환기가 발생할 위험이 높다. PSG는 이러한 환자에서 호흡 상태를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필수적이다.

Otology

문 1. 답 ③
해 설 어음명료도가 유독 낮은 것으로 보아 신경성 난청이 의심된다. 보청기를 통한 소리의 증폭으로 청력개선을 기대할 수는 없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598-9.
문 2. 답 ②
해 설 고주파의 음이 소리되먹임의 원인이 될 수 있기때문에 고주파음을 줄이기 위해 주파수 조절기로 고음을 줄인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722.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① 미각 신경은 네 가지 기본 미각 물질에 대해 모두 반응함(broad tunning)이 알려졌다.
② 미뢰 내의 각 미각세포는 여러 구심신경 섬유의 지배를 받고 있다.
③ 인체가 맛을 느끼는 과정을 화학 분자를 감지하는 후각과 미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⑤ 미각 신경은 네 가지 기본 미각 물질에 모두 반응하나 정도의 차이는 있다.
참고 문헌: Park HJ, Shin SH, Ye MK. Et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treatment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3):105-12.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54-5.
문 2. 답 ⑤
해 설 ① 음식의 풍미를 느끼는 감각이 크게 감소했을 때 첨가제를 사용하면 음식의 수용성을 넓힐 수 있다.
② 짜고 쓴 맛의 이상미각증(salty and bitter dysgeusia)에는 clonazepam을 사용할 수 있다.
③ 타액대용품(salivary substitutes)을 사용하면 구강건조증 증상은 개선할 수는 있으나 미각을 증진하지는 못한다.
④ 많은 약물이 환자의 미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으며, 9%-22%의 미각장애가 약물 사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참고 문헌: Park HJ, Shin SH, Ye MK. Et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treatment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3):105-12.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60-1.

Head and Neck

문 1. 답 ④
해 설 5-FU에 대한 설명이다. Cisplatin은 platinum 기반 항암제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201-11.
문 2. 답 ④
해 설 탈모는 치료가 종결되면 회복된다. 골수기능 억제는 일반적으로 치료 후 10-14일 사이에 최저점에 도달하며 3-4주가 되면 정상으로 회복된다. 오심과 구토는 항암화학요법의 주 부작용 중 하나로 그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부작용의 예방과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최근 많이 사용되는 선택적 항세로토닌제인 ondansetron, granisetron 등이 있으며 dexamethasone이 병용될 수 있다. Carboplatin은 cisplatin에 비해 신독성, 이독성은 적지만 골수억제는 보다 흔하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두경부. 개정2판. 파주:군자출판사;2018. p.388-9.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257
View
13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5 April;68(4)
Self-Test Examination  2025 February;68(2)
Self-Test Examination  2025 January;68(1)
Self-Test Examination  2024 December;67(12)
Self-Test Examination  2024 November;67(11)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