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8(7); 2025 > Article
58세 여성 환자가 수년간 서서히 진행한 좌측 귀 난청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귀내시경 검사상 다음과 같은 소견이 보여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였다. 환자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kjorl-68-7-290i1.jpg
① 긴장부형 진주종(pars tensa cholesteatoma)으로 상피침입설이 주된 병태 생리이다.
② 측반고리관의 미란이 관찰되어 누공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③ 상고실의 연부조직 소견과 상고실 측벽의 골침식이 확인된다.
④ 광범위한 골파괴를 동반한 외이도 진주종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다.
⑤ 중이 음압으로 인한 유착성 중이염으로 연골을 이용한 고실성형술이 필요하다.

정답 및 해설

해 설 고막 이완부(pars flaccida)의 합입(retraction)으로 인해 발생한 진주종 중이염으로, 측두골 전산화단층촬영상에서는 상고실 측벽의 미란 및 상고실 내 연부조직 소견이 확인된다. 본 증례에서는 이소골의 파과가 의심되지만, 측반고리관 미란은 관찰되지 않았다.
참고 문헌: 대한이과학회. 이과학. 서울: 세종의학;2022. p.481-6.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559
View
13
Download
Related articles
Quiz  2025 August;68(8)
Quiz  2025 June;68(6)
Quiz  2025 May;68(5)
Quiz  2025 April;68(4)
Quiz  2025 March;68(3)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