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Editorial Office |  
top_img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Volume 62(4); 2019 > Article

Review

문 1. 인공와우 이식술의 발전에 대해 옳지 않게 설명한 것은?

① 1961년, 단채널 인공와우 이식술에 성공하였다.
② 1985년, 미국 식품의약청에서 성인에 대한 인공와우 이식술 승인되었다.
③ 1988년, 국내에서 최초로 인공와우 이식술이 성공하였다.
④ 2005년, 양이 인공와우 이식술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⑤ 2017년, 인공와우 이식술에 대한 보험 적용 연령을 19세로 확대하였다.

문 2. 다음 음악의 기본 요소들 중 정상 청력인과 인공와우 착용자 간에 차이가 별로 나타나지 않는 요소로 생각되는 것은 무엇인가?

① 리듬(Rhythm)
② 멜로디(Melody)
③ 화음(Harmony)
④ 음색(Timbre)
⑤ 고저(Pitch)

문 3. 다음 중 아동 인공와우 착용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성인 착용자들보다 아동 착용자들은 이식 전 청각적 노출 경험이 적은 경우가 많아 음악 인지 수행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② 성인 착용자보다 아동 착용자는 기계음 적응에 어려움을 보인다.
③ 청능 훈련을 통해 리듬 인지 수행력이 정상 청력 아동과 유사한 수준의 수행력을 보일 수 있다.
④ 청능 훈련을 통해 멜로디 인지 수행력이 정상 청력 또래의 절반 수준의 수행력을 보일 수 있다.
⑤ 음악 지각 훈련 시 가사와 리듬을 함께 제시하면 멜로디 인지 수행력도 향상될 수 있다.

문 4. 다음 중 보청기와 인공와우 착용으로 개선되는 지각 능력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보청기는 200~10,000 Hz의 주파수를 선별적으로 변환시켜 어음 이해를 돕는다.
② 보청기를 통한 음악 지각은 보청기 피팅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③ 인공와우 착용자의 음악 지각 능력은 음악 훈련으로 인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④ 인공와우 착용자의 음악 지각 능력은 주로 인공와우의 매핑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⑤ 보청기 혹은 인공와우만 착용하였을 때보다 보청기와 인공와우를 함께 착용하였을 때 음악 지각 능력은 더 어려움을 보였다.

Otology

문 1. 누난 증후군과 청력 장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누난 증후군의 증상으로 안면 형성이상, 저신장, 선천성 심장 이상 등이 있다.
② 누난 증후군에서 청력 소실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청신경 형성이상이다.
③ 누난 증후군에서 감각 신경성 청력 소실이 있을 때 와우 이식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
④ 누난 증후군의 50%에서 PTPN11 유전자 이상을 가지고 있다.
⑤ 누난 증후군에서 지적 장애가 나타날 경우 와우 이식을 해도 좋은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문 2. 돌발성 난청에 관여 하는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신경 기원의 돌발성 난청의 경우 바이러스 등의 혈류를 타고 전달되었을 것으로 생각 된다.
② 구형낭과 와우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은 다르다.
③ 외이/중이로부터 감염성 질환이 시작된다면, 와우와 전정기관의 이상을 같이 동반할 가능성이 높다.
④ 유모세포는 한번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만, 신경과 주변지지 세포 등은 재생이 불가능 하다.
⑤ 전정 기능 장애를 보이는 돌발성 난청의 경우 cVEMP가 예후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

Rhinology

문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의 설명중 틀린 것은?

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apnea-hypopnea index나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가 시간 당 5회 이상인 경우, 또는 증상이 없을 때 시간 당 15회 이상인 경우로 정의되며, 다른 수면 질환이 없어야 한다.
② 우리나라는 3.2~4.5% 가량 유병률을 보이며, 특히 남성, 높은 연령, 비만일수록 높다고 알려져 있다.
③ 직업운전자(commercial vehicle operators)의 경우 낮은 수면의 질과 수면무호흡의 고위험군에서 아차사고의 위험도가 높아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고위험군으로 여겨지고 있다.
④ 직업 운전자에서 흡연, 커피, 결혼유무, 교육정도, 여가활동도, 업무강도 및 직업만족은 사고와 아차사고의 위험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어 미리 선별 관리가 필요하다.
⑤ STOP Bang 설문이 단독으로 사용되기는 어렵지만,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문 2. 다음중 비중격 종양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가장 흔한 비중격 종양의 증상은 nasal obstruction이며 병이 진행할 경우 nasal swelling, epiphora, diplopia, proptosis, or palatal ulceration 등을 나타낸다.
② 비내시경을 이용한 비내검사 및 방사선학적 촬영, 비강내 조직학적 검사가 병의 진단 및 진행정도를 파악하는데 필수적이다.
③ 조직학적 소견으로 squamous cell carcinoma, malignant mela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adenocarcinoma, chondroma, chondrosarcoma, osteosarcoma, schwannoma, lymphoma, mucoepidermoid carcinoma 등이 있으며 주로 비중격 연골부에 악성종양이 많고 골부에 양성 종양이 위치한다.
④ 내시경을 이용한 비내 제거술은 기존의 수술 방법과 비교해서 미용학적으로 좋고, 회복기간이 빠르며, 합병증도 작고, 종양의 완전 절제가 가능해서 표준 치료법으로 인정된다.
⑤ 비중격 악성 종양은 조기에 국소 재발이 흔하며, 5년 생존률은 80% 정도로 다른 종양에 비해 양호하다.

Head and Neck

문 1. 급성 후두개염의 가장 흔한 증상은?

① 호흡곤란 및 천명음
② 발열과 오한
③ 인후통 및 연하곤란
④ 목소리 변화
⑤ 인두 이물감

문 2. 소아의 급성 후두개염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① 발열 및 천명음의 증상은 드물다.
② 성인에 비해 호흡곤란이 흔히 발생한다.
③ 과거에 비해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④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⑤ 3세 미만의 소아에서 호발한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④
해 설 2005년, 단이 인공와우 이식술에 대한 건강보험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문 2. 답 ①
해 설 Boex 등의 선행 연구를 통해 음악의 기본 요소들 중 리듬은 정상 청력인과 인공와우 착용자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문헌: Boe¨x C, et al. Acoustic to electric pitch comparisons in cochlear implant subjects with residual hearing. J Assoc Res Otolaryngol 2006:7(2);110-24.
문 3. 답 ②
해 설 자연음을 경험한 적이 없기 때문에 아동 인공와우 착용자는 성인 인공와우 착용자보다 기계음에 더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문 4. 답 ②
해 설 보청기를 통한 음악 지각은 보청기 피팅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Otology

문 1. 답 ②
해 설 누난 증후군에서 청력 소실의 가장 흔한 원인은 중이염이다.
문 2. 답 ④
해 설 외이/중이로부터 감염성 질환이 시작되는 경우 내이의 와우와 전정 기관이 같이 이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내이의 와우와 전정 기관은 액체가 차있는 하나의 주머니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난청이 발생하였을 때 그 원인이 되는 구조는 유모세포일 가능성이 높다. 신경기원의 돌발성 난청이라면 바이러스 등의 혈류를 통해서 전달되었을 것으로 생각 할 수 있고, 이 경우 구형낭과 와우의 혈류 공급은 서로 다르고 혈관에 가까운 신경이나 지지세포 등의 주변조직이 난청의 원인 병변일 가능성이 있다. 이 때 유모세포는 한 번 손상 되면 회복 하지 못하고, 신경과 주변지지 세포 등은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자에 비해 후자가 더 예후가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직업 운전자에서 흡연, 커피, 결혼유무, 교육정도, 여가활동도, 업무강도 및 직업만족도는 아차사고의 위험과 유의미한 관련이 없다.
문 2. 답 ③
해 설 주로 비중격 연골부에 양성종양이 많고 골부에 악성 종양이 위치한다.

Head and Neck

문 1. 답 ③
해 설 인후통 및 연하곤란이 가장 흔하며, 발열은 비교적 흔치 않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기도의 폐쇄를 통한 급격한 호흡곤란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다.
문 2. 답 ②
해 설 소아에서는 갑작스런 발열 및 천명음, 호흡곤란이 성인에 비해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소아의 성문 주변부 조직이 연하여 쉽게 부종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도의 직경이 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기도폐쇄가 쉽게 유발되기 때문이다. 3세 이상의 소아에서 호발하던 질환이었으나, Haemophilus influenza type B 에 대한 예방접종이 보편화 되면서 소아에서 발생빈도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기도확보가 필요하며, 항생제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XML Download  XML Download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Print
Share:      
METRICS
1,781
View
143
Download
Related articles
Self-Test Examination  2025 April;68(4)
Self-Test Examination  2025 March;68(3)
Self-Test Examination  2025 February;68(2)
Self-Test Examination  2025 January;68(1)
Self-Test Examination  2024 December;67(12)
Editorial Office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103-307 67 Seobinggo-ro, Yongsan-gu, Seoul 04385, Korea
TEL: +82-2-3487-6602    FAX: +82-2-3487-6603   E-mail: kjorl@korl.or.kr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n Society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