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문 1. 다음 중 2형(type 2) 만성 비부비동염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혈청 총 IgE
② 혈중 호산구 수
③ 혈중 CXCL9
④ 비강 점막 내 periostin 발현량
⑤ 비강 점막 내 cystatin SN 발현량
문 2. 다음 중 비2형(non-type 2) 만성 비부비동염을 예측하는 데 가장 유용한 비강 분비물 바이오마커 후보는?
①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② Charcot-Leyden crystals (CLC)
③ Lipocalin-2
④ Cystatin SN
⑤ Periostin
문 3.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exacerbated respiratory disease (N-ERD)의 병태생리에서 cyclooxygenase-1 (COX-1) 억제에 의해 생성이 감소되며, 평소에는 항염증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은 무엇인가?
① Leukotriene C4
② Prostaglandin E2 (PGE2)
③ Interleukin-5
④ Lipoxin A4
⑤ Prostaglandin D2
문 4. 다음 중 N-ERD의 진단을 위해 가장 유용한 비침습적 바이오마커는?
① 비강 분비물 내 IL-17A 농도
② 혈중 C-reactive protein (CRP)
③ 소변 Leukotriene E4 (uLTE4) 농도
④ 혈중 CXCL10
⑤ 비강 점막 내 IL-8 발현량
Otology
문 1. 다음 중 이명도(tinnitogram) 검사의 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① Pitch matching
② Loudness matching
③ Residual inhibition
④ Tinnitus Handicap Index (THI)
⑤ Minimal masking level
문 2. 이명도(tinnitogram)에서의 이명의 크기(loudness)는 청력 역치에 비해 이명의 크기가 얼마나 더 큰지 표현하게 된다. 이 때 적절한 단위로 올바른 것은?
① dB HL
② dB nHL
③ dB
④ dB SL
⑤ dB SPL
Rhinology
문 1. 다음 중 양압기 치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간 졸음을 개선하여 주간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야간 증상을 호전시키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연관된 심혈관계 합병증은 개선시키지 못한다.
②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은 중추성 무호흡에는 효과가 없다.
③ Automatic positive airway pressure (APAP)는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심장질환 환자나 폐질환 환자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④ 처방 후 추적 관찰 시 하루 평균 사용 시간이 4시간 이상, 그리고 전체 사용 기간 중 70% 이상일 시 순응도 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한다.
⑤ 일반적으로 apnea hypopnea index (AHI)가 5 이상인 경우와 주간 졸림증이 없는 환자에서 순응도가 높다.
문 2. 다음 중 수면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Level I 수면다원검사는 검사자의 감독 없이 시행되는 수면다원검사이다.
② 수면무호흡 진단에 있어 수면다원검사는 필수적이지 않다.
③ 지속성 기도 양압기 시도할 때 수면다원검사를 같이 시행할 필요 없다.
④ 휴대용 수면검사(portable monitors)의 결과로 수면무호흡을 진단할 수 없다.
⑤ 다중수면잠복기검사(multiple sleep latency test, MSLT)는 주간기면을 나타내는 다양한 수면질환을 감별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다.
정답 및 해설
Review
문 1. 답 ③
해 설 CXCL9은 IFN-γ 유도 chemokine으로 1형 염증과 관련되며, 2형 만성 비부비동염의 병태생리와 가장 관련성이 떨어진다. 반면, 호산구, IgE, periostin, cystatin SN은 잘 알려진 2형 염증 관련 바이오마커이다.
문 2. 답 ③
해 설 Lipocalin-2는 중성구에서 유래하는 단백질로, 비2형 만성 비부비동염, 특히 3형 염증 내재형에서 증가된다. 반면, ECP, CLC, cystatin SN, periostin은 잘 알려진 2형 염증 관련 물질이다.
문 3. 답 ②
해 설 N-ERD는 천식, chronic rhinosinusitis with nasal polyp (CRSwNP), NSAID 과민성 반응의 임상 3징(triad)을 특징으로 한다. 병태생리적으로, NSAID는 COX-1 효소를 억제하여 PGE2의 생성을 줄인다. PGE2는 항염증 기능을 수행하며, 비만세포와 호산구의 탈과립 억제, 염증성 leukotriene 생성 억제 등의 조절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GE2가 감소하면 이러한 항염증 보호 기전이 상실되고, arachidonic acid 대사 경로가 5-lipoxygenase 경로로 우회되어 cysteinyl leukotrienes (LTC4, LTD4, LTE4 등)이 과도하게 생성된다. 이들 leukotriene은 호흡기 증상을 악화시킨다.
문 4. 답 ③
해 설 uLTE4는 N-ERD 환자에서 진단 및 모니터링용으로 보고된 비침습 바이오마커이다. Aspirin challenge 전후에 농도가 유의하게 상승한다.
Otology
문 1. 답 ④
해 설 이명도 검사는 청력 검사 부스에서 이명의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Pitch, loudness, minimal masking level, residual inhibition 등이 포함된다. THI는 개별적인 설문 검사이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891.
문 2. 답 ④
해 설 이명도 검사를 할 때 이명의 크기는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청력 역치와 비교해서 차이로 설명할 경우 dB SL (decibel sensation level)로 표현하게 된다.
참고 문헌: 대한이비인후과. 이비인후과학:이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199.
Rhinology
문 1. 답 ④
해 설 ① CPAP은 주간 졸음을 개선하여 주간 인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야간 증상을 호전시키며,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과 연관된 심혈관계의 합병증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② CPAP은 수술에 적응이 안되는 환자, 수술 후 무호흡이 재발된 경우, 중추성 무호흡에 사용해야 한다.
③ APAP의 경우 폐질환 환자나 심장질환 환자들에게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⑤ 일반적으로 AHI 15 이상인 경우와, 주간 졸림증이 있는 경우에 순응도가 높다.
참고 문헌: Kim JK, Choi MS. Residual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after positive airway pressure therapy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7):272-8.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61-2.
문 2. 답 ⑤
해 설 ① Level I 수면다원검사는 검사자의 관리 하에서 검사실에서 시행되는 표준수면다원검사(full attended polysomnography)로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출입, 가슴과 복부의 호흡운동, 뇌파, 안구운동, 혈중 산소포화도, 심전도, 근전도 등 7가지 이상의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다. Level II 검사는 level I 검사와 검사 항목은 동일하지만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검사자의 감독 없이 시행된다.
② 수면무호흡을 진단하는 데 있어 수면다원검사는 필수적이며, 환자의 심각도를 알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③ 수면다원검사는 수술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시행하여야 하며, 수면 중 폐쇄가 일어나는 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 압력 카테터를 인후부에 삽입 측정하거나, 지속성 기도 양압기를 시도할 때도 같이 시행되어야 한다.
④ 휴대용 수면검사의 경우 결과에 있어서 표준수면다원검사와 충분한 연관성을 보여 결과를신뢰할 수 있으며,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3의 수면무호흡 진단기준에서도 휴대용 수면검사 결과로 진단하는 것도 인정하고 있다.
참고 문헌: Park HJ, Shin SH, Ye MK. Et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ffect of treatment of patients with taste disorders.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2025;68(3):105-12.
대한이비인후과학회. 이비인후과학:비과. 개정2판. 파주: 군자출판사;2018. p.653-4.